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 | |||||||||||||
수도권 | 문화방송 | ||||||||||||
강원권 | 춘천문화방송 | 원주문화방송 | MBC강원영동 | ||||||||||
충청권 | 대전문화방송 | MBC충북 | |||||||||||
대경권 | 대구문화방송 | 안동문화방송 | 포항문화방송 | ||||||||||
동남권 | 부산문화방송 | 울산문화방송 | MBC경남 | ||||||||||
호남권 | 전주문화방송 | 광주문화방송 | 목포문화방송 | 여수문화방송 | |||||||||
제주권 | 제주문화방송 |
파일:Attachment/14646 10094 1036.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감포로(민락동)에 위치한 사옥
정식명칭 | 부산문화방송 주식회사 |
영문명칭 | Bu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
설립일 | 1959년 4월 15일 |
업종명 | 국내방송업 |
상장유무 | 비상장기업 |
홈페이지 |
안드로이드 공식 앱(TV 시청/라디오 청취 가능) '부산MBC'
진정한 문화방송의 역사
1 개요
1959년 4월 15일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상업방송(민영방송)으로 개국하였다.[1][2] 서울에 본사를 둔 문화방송보다 2년 더 빨리 개국하였으므로, MBC의 시작은 서울이 아니라 부산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부산문화방송의 역사는 방송의 역사 중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 문화방송은 1961년 창립으로 계산하고 부산을 흑역사 취급한다. 농담이 아니라 진짜로(…). 사실 이는 문화방송과 부산문화방송이 정식적으로는 각각 다른 개별의 방송사이기 때문이다. 다른 문화방송 계열 방송사들도 민간방송 시절 회사가 설립되고 개국한 날짜를 창립일로 취급한다. 창립 주년 기념 년수가 각 계열 방송사 마다 다른 것도 이 때문.
오히려 부산문화방송의 1959년 개국 당시 사명이 ‘문화방송’이었고, 문화방송의 1961년 개국 당시 사명이 ‘한국문화방송’이었다. 사실 한국문화방송도 부산일보, 문화방송과 마찬가지로 김지태가 창업하였다. 한국문화방송이 개국하면서 부산에 있는 문화방송과 방송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3] 하지만 1962년 6월 30일 문화방송 창립자가 5.16 군사정변 직후 중앙정보부에 끌려가면서 그 소유권을 사실상 강탈당하는 형태로 5.16장학회(현 정수장학회)로 넘어갔다.[4] 1965년 3월 5일 사명을 부산문화방송주식회사로 바꾸었다.[5]
TV방송은 1970년 1월 24일 부산문화TV방송주식회사를 설립하여 개국하였다. 즉, MBC 가맹사이지만 라디오 방송회사와 TV 방송회사가 따로 있었다는 소리.[6] 이 둘은 한동안 공존하다 1985년 9월 1일에야 합병된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문화방송(서울)과 부산문화방송(을 비롯한 문화방송 계열 방송사)는 지금의 SBS와 마찬가지로 뉴스와 프로그램을 교류하는 가맹사 체제로, 부산문화방송 쪽은 편성에서 상당한 자율성을 보장받았으나, 1980년 12월 1일에 행해진 언론통폐합에 의해 전국의 모든 지역MBC 주식의 51%를 문화방송이 먹는 형태로 계열화되어 부산문화방송 또한 문화방송의 지역국으로 전락하였다. 지못미. 그래도 다른 지역 계열사의 사장이 문화방송에서 내려오는 것과는 달리 사장은 부산문화방송 출신들이 계속 이어오고 있다. 다만 2014년 현재 사장은 본사 출신인 문철호 사장.
MBC의 정통성을 증명하는 듯 이 방송국에서 최초로 개국한 채널이 있다. MBC 라디오(AM)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MBC FM4U는 1970년 4월 15일 부산문화방송에서 먼저 개국하였다.[7] 참고로 TV와 표준FM은 서울이 최초다.
이외에도 라디오 한정으로 특이사항이 여럿 있는데, 전국에서 유일하게 잠깐만을 들을 수 없고, 예전에 22시 57분 별밤 2부가 끝나고 거리를 배회하는 청소년의 귀가를 독려하는 일명 통금방송(…)을 했었다. 매우 음울한 멜로디의 BGM은 덤.[8] 야구 시즌에는 KNN처럼 표준FM을 통해(물론 AM으로도 들을 수 있다) 롯데 자이언츠의 프로야구 중계도 해 준다. 둠씨라는 별명을 가진 성공한 꼴갤러 롯데팬 최효석씨가 해설을 해준다.[9]
1980년대 중반만 해도 라디오에서 자체제작한 로고송이 존재했는데 부산문화FM방송(부산MBC FM4U)로고송이 존재했다.링크 7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문화방송 계열사 중 TV 자체제작 프로그램이 가장 많고 라디오(특히 FM4U)는 의외로 자체제작 프로그램이 적다.[10] 대표적인 TV 프로그램으로는 좌충우돌 만국 유람기같은 프로그램, 라디오는 로컬장수 프로그램으로 자갈치 아지매, 부산 정오의 희망곡이 있다.
부산문화방송는 매년 5월마다 파워콘서트 행사를 열고 있다. 각종 인기가수들을 초청하며 무료 공연이기는 하나 입장권 없이는 들어갈 수 없다.[11]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정기간행물인 「어린이 문예」를 발행하기도 한다.
재미있는 점은, 서울이나 부산이나 TV 채널이 11번, 표준FM 주파수가 95.9MHz로 같다. 노린 것...은 아니고, 전술했듯이 MBC의 시초인 덕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서울 - 부산 간 거리가 380~400km나 되는지라 FM 전파 혼신의 염려도 거의 없고... 다만 AM의 경우, 장거리까지 도달하는 중파방송의 특성(특히 야간에는 더하다) 때문에 주파수가 다르다. 같은 주파수를 쓰면 혼신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12]
2014년 1월 새해 초에 5대 약속이라면서 하는 광고에서 열정적인 듀얼리스트들 BGM이 쓰였다. 약속은 함정이다. 지키지 않겠다.
1979년부터 중앙동6가 사옥을 쓰고 있다가 1997년 3월 31일에 현재의 민락동으로 이전해 왔다. 민락교 근처에 사옥이 있다.
2 방송 송출 시설망
A. 아날로그 TV 채널은 2012년 12월 31일까지 모두 종료되어 기재하지 않았다.
B. 디지털 TV의 모든 물리채널에 부여된 가상채널은 11-1번이다.
C. 채널과 주파수 앞뒤에 붙는 ch.와 ㎒ 등의 단위는 생략한다.
D. 송출이 예정되어 있는 채널과 주파수는 ※로 표기한다.
부산문화방송에서 송출하는 방송 전파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부, 경남 양산시, 김해시, 거제시 일부를 가시청권으로 한다.
전국의 문화방송 네트워크 계열사들의 송출 현황은 이 항목과 각 방송사별 문서를 참조한다.
송신소 | 채널ㆍ주파수 | 송신소 위치 | |||
TV | 표준FM | FM4U | DMB | ||
황령산 | 17 | 95.9 | 88.9 | 12A | 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 |
만 덕 | 28 | - | - | - | 부산 동래구 온천3동 산193 |
천마산 | 49 | - | - | - | 부산 사하구 감천2동 산99-1 |
녹 산 | 46 | 106.5 | - | - | 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27 (봉화산) |
장 산 | 32 | - | - | - | 부산 해운대구 우2동 산140-50 |
동 삼 | 17 | - | - | - | 부산 영도구 동삼1동 |
기 장 | 35 | - | - | 12A | 부산 기장군 일광면 횡계리 산28-1 (일광산) |
기장군청 | - | 106.5 | - | - | 부산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 1 |
대변항 | 35 | - | - | - | 부산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304-20 |
정 관 | 22 | 106.5 | - | 12A | 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32-2 |
양산시청 | - | 106.5 | - | - | 경남 양산시 중부동 505 |
양산타워 | 27 | - | - | 12A | 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30 |
3 제작 프로그램
3.1 보도
3.2 시사 / 교양
- 전국시대
- 공간다큐 그곳(울산MBC)
- TV닥터
- 생방송 와이드쇼 행복한 금요일
- 좌충우돌 만국유람기
- 어부의 만찬
- MBC 스포츠 중계석
- 시사포커스
- 테마여행 길(울산MBC)
- 리얼토크 만나봅시다
- 부산, 부산문화
- 오감만족 맛을 찾아라
- 사람, 산(OBS 경인TV)
- 살맛나는 세상(OBS 경인TV)
3.3 예능
3.4 라디오
- 뉴스패트롤
- 자갈치 아지매
- 손에 잡히는 경제(부산)
- FM 가정음악실
- 정오의 희망곡 이지희, 김진웅입니다
- 오후만세
- 경제패트롤
- 라디오시민세상
- 가요공감
- MBC 라디오 행복한 저녁입니다
- 지방시대 부산
- 추억의 콘서트
- 뉴스 네트워크(울산MBC, MBC경남과 공동 제작, 동시 송출)
- ↑ 이름은 일본의 문화방송을 본따서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대한민국의 문화방송 쪽이 넘사벽의 인지도를 갖고 있다...
- ↑ 여담으로, 일본의 문화방송은 서울의 문화방송과 협력을 맺은 일본 후지 테레비가 속한 후지-산케이 그룹의 계열사이다.
- ↑ 1963년부터 대구,광주,대전,전주,마산에도 방송(정확하게는 MBC AM라디오)이 개국되었으나, 계열사가 아니라 한국문화방송 소속의 직할국 차원으로 설립하여서 문화방송(부산MBC)와는 다르다.
- ↑ 사실 지금도 말이 많은 부산일보 문제도 이때 같이 터졌다. 당시 창립자였던 김지태가 부산일보와 문화방송(부산), 한국문화방송(서울)을 같이 하고 있었기 때문.
- ↑ 참고로 서울에 있는 한국문화방송은 1974년 11월 1일 ㈜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사명을 바꾸었다.
- ↑ 비슷한 시기에 설립된 타지역(대구,광주,대전,전주) 민간방송도 마찬가지지만 이들 방송사(마산 제외)는 1년도 못가 해당지역 문화방송 계열 방송사와 합병되어 부산문화방송과 같은 체제의 회사로 설립되었다. 마산의 경우 경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경남문화TV)가 1972년 10월 5일에 개국해서 부산보다 두번째로 늦은 1983년 3월 2일 마산MBC와 합병되었다.
- ↑ 서울에는 1971년 9월 19일에 개국하였으므로 두번째.
- ↑ 스크립트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 여러분 여러분은 우리의 희망이며 내일의 주인공입니다. 여러분의 한걸음 한걸음은 언제나 소중한 것입니다. 지금 이시간 거리를 방황하는 청소년은 없습니까? 부지런히 공부하고 일하는 지혜로운 청소년이 되어야겠습니다.’
- ↑ 2013 시즌부터는 롯데 자이언츠의 시즌 전 경기를 중계한다. 이를 위해 원음방송에서 야구중계를 했었던 김세원 캐스터를 영입하였다.
- ↑ 라디오 자체제작은 대구문화방송이 가장 많다.
- ↑ 표는 후원사 매장이나 방송참여를 통해서 마구잡이로 뿌리는 편.
- ↑ 그 외에는 KBS 제2라디오 수도권 FM 주파수 106.1MHz가 창원시에서 똑같은 주파수로 운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