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사레나

기동전함 나데시코 극장판 The Prince of Darkness에 등장하는 텐카와 아키토 전용 커스텀 기체.

1 사양

파일:O5Pqobh.jpg
기체명 : 블랙 사레나
기체타입 : 시험기
제작자 : 네르갈 중공
전고 : 8m
파일럿 : 텐카와 아키토
무장 : 핸드 캐논 x2, 앵커 크로

기체명 '블랙 사레나'라는 이름의 유래는 흑백합으로 꽃말은 '저주', '사랑'.

2 기본 설정

통상적으로 모함(母艦, Mother ship)에서 전송해주는 중력파 빔의 영향권 안에서만 활동이 가능한 에스테바리스를 단독행동이 가능하도록 마개조한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우선 모함의 지원을 받기 곤란한 만큼 대량의 에너지팩을 증설해 단독으로도 상당시간 작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했고, 항상 복수로 활동하는 야천광들과의 전투를 상정하여 7:1이라는 다구리 상황 속에서도 버틸 수 있도록 전신에 중장갑을 추가하여 방어력을 잔뜩 키웠다. 이 장갑 때문에 떨어진 기동성을 보충하기 위해서 기체 곳곳에 스러스터를 추가하고, 부유기능을 통한 중량 경감 효과를 목적으로 중력파 방사기를 탑재했으며, 그 결과 오히려 소체가 되는 에스테바리스를 상회하는 뛰어난 운동성을 얻었다. 다만 장갑과 스러스터가 증설되면서 중량과 추진력이 크게 늘어난 결과 고기동 및 고가속 시 기체에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되었고, 그 때문에 기체 전신에 추가 장착된 외부장갑이 팔과 다리 등 사지 말단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강도를 높이는 역할도 겸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에스테바리스의 사지를 반쯤 구속하는 억압복 비슷한 형태로 완성되었다. [1]

또한 파일럿인 텐카와 아키토가 A급 점퍼이기 때문에 그 장점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단독으로 보손 점프가 가능하도록 소체가 되는 아키토 전용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에 관련 기능도 추가했다. 그렇게 단독행동을 할 수 있게 한 뒤 생존성과 기동력에 모든 것을 투자한 결과, 무장은 통상의 에스테바리스에 비하면 오히려 빈약해져서 아키토 전용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에 장비되었던 두 자루의 빔 건, 그리고 빔 건을 양 팔에 장비함으로써 손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버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체 후면에 손을 대신할 클로 앵커를 증설한 것이 전부다. 탑재 화기가 줄어든 만큼 에너지가 넉넉해진 결과 빔 건이 마음껏 연사가 가능해진 게 유일한 장점 아닌 장점.

모종의 루트를 통해 아키토에게 넘어가 화성의 후계자들로부터 유리카를 구하기 위하여 전투에 투입되지만, 본래보다 다소 파워업했다고는 해도 기본 소체 자체는 구형인 에스테바리스가 신형기인 야천광 등에게 성능상 상대가 될 리 없었고, 7대 1이라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어찌어찌 살아남은 것은 순전히 단단한 방어력 위주의 개량과 보손 점프를 기반으로 한 기동력 덕분이었다. 그 뒤로도 지속적으로 전투를 치르며 수복과 개수를 거듭한 결과, 원래 형태를 찾아볼 수 없는 전혀 다른 기체로 거듭나게 된다.

참고로 개조에 쓰인 부품은 거의 대부분 기존의 군용병기나 시험기 등에서 유용한 것으로 보이며, 기체에 파츠를 증설하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자체 충당해야 하는 몇몇 부품을 수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3 개조 과정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이 대패한 후, 네르갈에서 '1대 다수, 생존'의 컨셉으로 세 차례의 개수에 들어갔다.

최초의 강화는 에스테바리스 월면 프레임과 같은 컨셉으로 여러가지 중화기를 장착하고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장갑을 추가. 이 때문에 중량이 늘어나자 기동성을 보완하기위해 스러스터를 늘린 것이 S형 블랙 사레나이다. 하지만 이 S형은 장갑과 무장을 추가하여 기동성과 화력을 보완한 대신 인간형 병기의 장점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야천광 및 육인중의 기체와 제대로 된 백병전을 벌일 수가 없었다. 결국 이 버전에서도 아키토는 패배를 맛보게 되었고, 화력보다 스피드에 중점을 둔 재개조에 들어간다.[2]

여전히 1대 다수 상황이기에 장갑은 포기할 수 없으니 늘어난 중량을 감당하기 위해 스러스터를 더 추가하고 무장은 양손에 빔 건을 장착. 이것이 블랙 사레나 A1이고, 이후 테스트를 거치면서 장갑과 스러스터를 추가한 기체가 블랙 사레나 A2형이다. 그러나 A2형 역시 주된 무장이라고는 아키토 전용 에스테바리스의 팔 부분에 장비한 빔 건 2정뿐이며, 주먹을 이용한 격투전을 벌이기 위해서는 그나마 장비되어 있던 유일한 무장인 빔 건을 분리해야만 한다. 결국 기동성과 방어력에 집중하면서 생존성 만큼은 향상되었지만 전투력은 격감한 지독히 극단적인 기체가 되어버렸다.[3]

그래도 최종전에서 육인중의 연계 공격에 석장이 4개나 박히고 야천광이 먼저 블랙사레나의 흉부 장갑에 주먹을 팔목 중간까지 들어갈 정도로 박아넣었지만, 장갑을 분리한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의 동체에는 상처가 없었던걸 보면 생존성 특화에 집중한 보람은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4 야천광과의 전투

블랙 사레나 A2형이 완성되었지만, 이조차도 7대1 상황에서 신형기인 야천광과 대결하면서 딱히 우위를 점하지 뭇했다. 연사력을 중시한 저출력 빔 건의 공격은 디스토션 필드로 방어할 수 있으며, 유일하게 제대로 된 타격을 줄 수 있는 강력한 위력을 가진 디스토션 필드 어택을 사용했을때는 급조된 블랙 사레나의 추가장갑이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의 필드와 필드 사이에서 버티지 못하고 먼저 파손되어 버린다.

이런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아키토는 오로지 미스마루 유리카를 되찾기 위해 싸웠다.

마지막 전투에서 호쿠신과 육인중을 제외한 전 화성의 후계자의 병력이 호시노 루리에 의해 무력화되면서, 몸을 빼어 달아나는 그들의 앞을 막아서면서 혈전을 벌이게 된다. 여전히 열세에 놓여 장갑에 석장이 4개나 박히는 불리한 상황에도 분전하다가, 멋지게 등장한 료코 일행이 육인중을 상대하는 사이에 호쿠신과 일대일로 대결을 벌인다. 호쿠신이 먼저 일격을 먹이지만 블랙 사레나의 두터운 장갑에 막히고, 뒤이어 아키토가 야천광의 흉부에 주먹을 꽂아넣어 디스토션 필드를 뚫고 콕핏째로 호쿠신의 몸을 뭉개버리며 복수를 달성한다.

파일:Fjjw5HB.jpg
그 순간 블랙 사레나의 파손된 외부장갑이 퍼지되는데, 그 속에서 드러난 것은 바로 에스테바리스 커스텀. 이 때 구동계의 오일이 역류하여 아이 카메라를 통해 분출되어 흡사 눈물을 흘리는 듯한 연출을 보였는데, 이는 '본 기체 자체가 아키토의 절망과 몸부림을 상징하는 증거'라고.

여담으로, 고기동 파츠를 장착하고서 처음으로 등장할때는 드러나는 에스테바리스의 팔 부분이 회색빛으로 도색되어있었지만 호쿠신과의 최종결전때는 아키토 커스텀 원래의 색인 분홍빛으로 바뀌었다. 극장판 중에서도 계속해서 개량중이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을 듯.

5 모형화

초창기엔 트레이딩 피규어 정도로만 있거나 고가의 레진 킷뿐이였지만 코토부키야에서 프라모델을 발매하고,[4] 혼 SPEC으로도 입체화되어 많은 이들의 구매욕구를 자극하고 있으나, 가격이 만만치 않아서 아키토보다 더한 절망과 몸부림에 빠져들수도 있다. 게다가 혼 SPEC은 이젠 구하기도 힘들다. 참고로 코토부키야제는 부품교체로 블랙 사레나 ↔ 에스테바리스 커스텀 교체이지만, 혼 SPCE은 그냥 장갑을 입히면 OK.[5] 그리고 별 의미는 없지만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용 라이플도 들어 있다.

혼 SPEC은 일반 버전외에 고스트 버전이라는 명칭으로, 고기동 파츠를 빼고 블랙 사레나 파츠를 반투명 소재로 바꾸고 스탠드 색을 바꾼 버전이 있다. 그리고 2014년 6월에 FIERCE BATTLE라는 색놀이이름으로 재발매 되었으나, 문제가 있다면 혼웹 한정이라는 점과 이전 제품보다 가격이 대폭 상승했다.구판 판매 시기의 가격에서 거의 60%이상.

6 게임에서의 성능

대부분 시리즈에서 최강급이지만 최 후반에야 아군이 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그전까지는 원작재현이랍시고 NPC로 컴퓨터의 조종을 받는데, 그 덕에 토비카게급은 아니지만 상당히 짜증을 유발할정도로 먹튀를 진행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여러모로 좋은기억보단 안좋은 기억이 훨씬 많은편.

6.1 슈퍼로봇대전 R

파일:Zz195SL.jpg
초반에 잠깐 등장했다가 사라진다. 이후 시나리오가 진행되면서 라운드나이츠가 역사를 바꿔버린 덕분에, 처참한 꼴을 당한 극장판 아키토가 아닌 TV판 아키토가 후반부에 그냥 탑승하게 된다. 게다가 다이고우지 가이 역시 살아남아 원래 역사에선 타카스기 사부로타가 탔던 슈퍼 에스테바리스를 타고 나오는지라 그냥 분리해서 열혈과 우정의 더블 게키강 플레어를 날리는 편이 오히려 효율이 좋다.(…)

고기동형 블랙 사레나 → 블랙 사레나 → 에스테바리스 커스텀까지 3단계로 분리되어 생존력은 최강. 단 고기동형은 특정 루트로 가야 쓸 수 있고, 나머지 루트는 그냥 블랙 사레나로 나온다. 그리고 아래 두 작품이 죄다 블랙사레나의 정식 가입 시기가 극후반인 관계로 그나마 블랙 사레나를 주력으로 많이 굴려먹을 수 있는 유일한 물건이다.

6.2 슈퍼로봇대전 MX

최강급 기체 중 하나이지만 화력이 약간 떨어지고, NPC로만 줄창 나오다 최종화 2화 남긴 시점, 게임 다 끝나가는 마당에야 정식으로 아군으로 들어온다는 난점이 있다.(…)

6.3 슈퍼로봇대전 W

전작들에 비해 엄청나게 약화되었으며, 이벤트상으로는 보손 점프를 잘만 하는데 정작 합류한 뒤에 보면 보손 점프가 불가능하다(…). 게다가 중간에 찔끔찔끔 참전하더니 역시나 2화 남기고 들어온다(…). 사실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이 화력도 동일하고 합체기도 있기 때문에 퍼지하는 편이 여러 모로 효율이 좋지만,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일때는 디스토션 어택의 콤보 속성이 사라지는 단점이 존재하는데다 빅토리 건담의 보톰 어택과 같은 원리의 '아머 퍼지'라는 기술도 생겨서 적당히 자코를 처리해 기력을 쌓은 뒤 퍼지해서 합체기를 날리는 식으로 운영하는 게 편하다.

그러나 공격시 연출 하나하나는 뛰어난 편.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의 더블 게키강 플레어 연출도 끝내주며, 디스토션 펀치의 피니시 연출은 극장판 마지막의 그 장면이다.

덧붙여 R처럼 고기동형 블랙 사레나 → 블랙 사레나 →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으로 변화하는 뛰어난 생존력을 보여준다.

뭐 이런저런 장점도 있지만 마지막회 2회 전에야 추가가 되고 2부 내내 NPC 상태로 나오므로 사실상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는 편. 정작 들어오면 보손점프마저 사라져 NPC로 나올때의 그 위용조차 없다. 또 그렇다고 애정으로 모아둔 돈으로 개조를 해버리면, 다음회차에 개조치가 그대로 반영되어 토비카게급 먹튀를 선보인다. 일단 등장화수도 1부의 먹튀요원이었던 오건의 3배이다. 그나마 예측 불가능할 정도는 아니지만.... 이때 블랙사레나를 생각하면 치가 떨리는 사람이 꽤 많다.

6.4 A.C.E.2

기본무기가 연사이고 핸드 캐논이 다수록온이 되며 앵커 크로가 전방위 공격 가능, 디스토션 필드 + 보손 점프라는 엄청난 생존성, 3타를 치는 몸통박치기의 위력이 엄청난 A급 기체이다. 다만 일정한도이상 데미지를 입으면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으로 분리되니 주의. 돌격 속도는 최강급이지만 선회력이 꽝이라서 보손 점프를 잘 이용해야 한다.

6.5 A.C.E.3

고기동형 블랙 사레나와 블랙 사레나, 아키토 전용 에스테바리스가 있는데 솔직히 다루기가 좀 힘들다. 2에 비해서 무장도 적어졌고 접근공격도 3타에서 1타로 줄어서 엄청나게 약화되었다. 고기동형 블랙 사레나가 비행형으로 취급되는 것도 한가지 원인일듯.
일단 원작의 아머 퍼지를 재현해서 고기동형 블랙 사레나 → 블랙 사레나 → 에스테바리스로 장갑을 1단계씩 해제할 수 있다. 무장은 빔 건과 기관총(?), 그리고 몸통박치기.

6.6 슈퍼로봇대전 V

슈퍼로봇대전 W이후 실로 오랜만에 참전. tv판은 빠지고 극장판만 참전한다. 1차 pv에서 멋들어진 핸드 캐논 사격으로 적시기를 격추시키는 전투씬을 보여주었다. 다만 아키토의 영정사진대화 컷인을 보면 정말 아키토 본인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수준...어쨌든 자세한 성능은 발매 후 추가바람.

7 기타

왠지 중2병 분위기를 풍기면서도 멋진 외견과 원작에서의 활약, 게임에서의 강력함때문에 설정상으로도 강력한 최종병기 같은 기체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스펙이나 개발배경을 따지고 보면 강하기는 커녕, 허접하고 처절하기가 그야말로 눈물나는 수준.

분명 중장갑과 고기동성을 양립시켜 생존성을 크게 높이는데 성공했지만 대신 화력을 포기하는 바람에 정작 적기에는 제대로 데미지를 주지도 못한다. 열심히 쏘아대는 빔 건은 아무렇지도 않게 필드에 막히고, 돌격하면 오히려 자기 장갑이 망가지고(...) 사실 블랙 사레나는 다대일의 전투에서 생환하는데 포커스를 둔 일종의 생존 특화 기체이지 절대로 적진을 휘저으며 무쌍을 찍어대는 일발역전의 결전병기가 아니다.

아키토가 어떤 의미에선 결함기에 가까운 이 기체만으로 싸울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이 기체에 뭔가 특별한 게 있어서가 아니라 단지 시간도 부족하고 이 기체 이외에 네르갈에서 지원을 더 받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이었다. 오로지 자신과 사랑하는 사람의 인생을 망친 화성의 후계자들에게 복수하고 유리카를 구하겠다는 일념만으로 이런 기체를 타고 승산없는 싸움에 몸을 던진 것. 실로 집념의 기체라 할 만하다.
  1. 덕분에 블랙 사레나 상태에서는 무릎 관절도 고정되어서 다리 자체가 보행유닛으로써의 본래 기능을 포기하고 통짜 스러스터 유닛이 되어버렸다.
  2. 극장판 시점에서는 이미 과거의 이야기인 S형의 블랙 사레나는 등장하지 않는다.
  3. 작중에서도 아키토는 신형기인 야천광과 육련들을 상대로 분전하지만 아키토가 쏘는 빔 건을 맞아도 적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버티고, 적들이 성능과 숫적 우세를 앞세워 가하는 집중공격에 블랙 사레나는 만신창이가 되어가면서도 꾿꾿하게 버티면서 싸우는 구도가 반복된다.
  4. 정가 7800엔으로 건프라 mg급의 박스크기 정도이다,
  5. 장갑 장착시 에스테 커스텀 머리를 빼라고 하지만 안빼도 장착엔 전혀 문제없다. 에스테바리스 커스텀의 안테나가 좀 휘기는 해도 연질이라서 부러질 염려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