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협상

Triple_Entente.jpg[1]


1914년 당시의 유럽 세력도. 녹색이 삼국 협상 가입국이며 황색이 삼국 동맹 가입국이다. 그리고 이탈리아는 뒤통수를 쳤다.

1 개요

Triple Entente[2]

1907년 체결된 프랑스 제3공화국, 러시아 제국, 대영제국 사이의 동맹. 삼국 동맹에 대항하기 위한 성격이 짙었으며, 이러한 두 동맹 간의 세력 대결 구도는 1차 대전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배신 때린 이탈리아 왕국 빼고

2 배경

1871년 보불전쟁의 승리 이후 독일 제국이 창설된 이후 유럽의 세력 구도는 천재적인 외교 수완을 자랑하는 독일의 재상 비스마르크에 의해 이십년 가까이 좌우된다. 이른바 비스마르크 체제라고도 불리는 이러한 세력 구도에서 비스마르크가 가장 노력한 점은 바로 프랑스를 외교적으로 철저히 고립시키는 것이었다. 이미 이 시기에 비스마르크는 본능적으로 보불전쟁에서 패배한 프랑스가 독일을 향해 보복(Revanche)의 칼날을 겨르고 있음을 크게 우려했던 것. 이러한 맥락에서 비스마르크는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삼제동맹을 체결한다. 삼제동맹은 발칸반도를 둘러싼 오스트리아와 러시아 사이의 대립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파기되기도 했지만, 독일제국은 1887년 오스트리아 및 러시아와 불가침조약의 하나인 재보장 조약을 맺는데 성공한다.[3]

하지만 비스마르크 체제라는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러한 외교전략은 오로지 비스마르크 개인의 천재적인 외교 수완에 의해서만 가능한 일이었다. 그리고 비스마르크가 젊은 빌헬름 2세에 의해 실각되자마자 비스마르크 체제는 흔들리기 시작한다. 젊고 혈기왕성했던 새 황제는 이른바 세계정책(Weltpolitilk)이라는 명목으로 비스마르크가 구상했던 모든 외교 정책을 송두리째 뒤엎어버린다. 그 중에서도 첫 번째 단계가 러시아와의 재보장 조약의 갱신을 거부했던 것.[4] 빌헬름 2세는 '니들이 그래봤자 다른 나라랑 동맹 맺겠어?'라는 생각[5]으로 자신만만하게 재보장 조약을 파기했던 것인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1894년 전격적으로 러불동맹이 체결된 것. 그리고 독일의 양면전쟁 공포는 현실이 됐다.

3 창설

하지만 1894년 러불동맹이 창설되던 시점에서 영국이 가담할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존재하지 않았다. 전통적으로 영국은 고립주의를 준수해왔던데다가, 프랑스, 러시아 모두와 사이가 극악[6]이었기 때문. 한편 19세기 후반이 되면서 영국은 더 이상 18세기 중반과 같이 독보적인 국력의 소유자가 아니게 됐고, 이로 인해 영국 내부에서 '우리도 동맹을 하나 만들어야한다!'라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에 추파를 던진 것이 바로 독일. 애초에 당시 영국 왕실하노버 왕국 출신이었던데다가, 양국 모두 게르만 족 계통의 민족[7]이었기 때문에 서로간의 호감이 어느 정도 존재[8]하는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양측은 진지하게 동맹을 맺기 위한 협상에 돌입하지만 막판단계에서 결렬되고 만다.[9]

비록 동맹 체결은 결렬됐지만, 최소한 영국을 우호적인 중립국으로 남겨둬야하는 상황에서 빌헬름 2세의 외교적 실책이 연달아 터져나온다. 당시 영국의 국왕 에드워드 7세를 사탄이라고 까지를 않나, 대놓고 '대양함대 건설'을 부르지으며 영국와 건함 경쟁을 벌였던 것. 그리고 이는 또 하나의 엄청난 외교적 혁명을 가져온다. 영국이 오랜 원한을 잊고 프랑스영불협상1904년 체결한 데 이어, 1907년에는 러시아와도 영러협상을 체결한 것. 아아 독일 망했어요.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이탈리아 왕국의 삼국 동맹과 자웅을 겨루는 또 하나의 거대한 강대국 사이의 동맹체인 삼국협상이 전면적으로 등장한 것이다.

4 여담

  • 1904년 영불협상 체결 당시, 양측 모두 서로에 대한 원한이 쌓일 대로 쌓였던 터[10]라 자국 외무장관한테 '너 머리에 총맞았냐'라는 식의 비난이 쇄도했지만 워낙 공공의 적이었던 독일 제국에 대한 두려움이 컸던지라 생각보다 쉽게 여론의 반발을 무마됐다고 한다.
  • 당연히 독일도 바보가 아니라서 삼국협상을 무너뜨리기 위해 시도를 여러번 했었다. 러일전쟁 이후 금융위기에 빠진 러시아에게 막대한 금융조건을 해주는 댓가로 러불동맹에서 탈퇴할 것을 요구했던 것. 하지만 프랑스의 막대한 쇼미더머니에 밀리고 만다.[11] 한 번은 빌헬름 2세차르 니콜라이 2세를 꼬셔서 러불동맹을 깨뜨리는 데 성공까지 했지만, 러시아의 두마 측에서 강력히 반발해서 없던 일(...)로 처리. 1905년 7월 24일, 빌헬름 2세와 니콜라이 2세간 직접 담판으로 이뤄진 비밀군사동맹 비외르쾨 밀약이 바로 이것이다.
  • 독일은 당장 1906년모로코 위기 때부터 자국이 실질적으로 왕따임을 실감해야만 했다.[12] 북아프리카에서 프랑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모로코의 독립과 문호개방을 요구했는데 영국이 프랑스의 편을 들어줘서 개쪽 망신만 당하고 만 것.
  1. 1차대전 발발 당시 러시아에서 등장한 포스터. 우유부단한 제스쳐의 프랑스(좌), 영국(우)와 달리 궁서체 단호한 표정의 러시아(중)가 인상적이다.
  2.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모두 동일하다.
  3. 상호불가침 조약은 아니었고, 제3국과 상대국 사이의 전쟁이 발발했을 때, 중립을 지킬 것을 명시한 조약이었다. 그리고 이 제3국은 말이 좋아 제3국이자, 그냥 프랑스를 의미했다.
  4. 당시 러시아 제국은 독일과의 재보장 조약의 갱신을 원했었다. 말 그대로 호구짓
  5. 영국과는 크림전쟁 이후 발칸반도 진출을 둘러싸고 계속해서 으르렁거리던 사이였으며, 프랑스와는 프랑스 혁명 이후 퍼져나온 각종 자유주의 이념으로 인해 차르 독재체제를 고수하려던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거리를 뒀었다. 뭐 프랑스와도 크림전쟁에서 한판 붙기도 했었고.
  6. 프랑스와야 뭐, 모두가 알다시피 몇백년동안 라이벌 관계였고 러시아와도 러시아의 세력확장을 막느라고 크림전쟁, 그레이트 게임, 거문도 사건 등등 전세계에서 머리채(...)잡고 싸웠다.
  7. 영국 앵글로섹슨의 섹슨이 바로 독일의 작센이다.
  8. 대놓고 당시 독일 왕실과 총리가 '우리 같은 튜튼족인데 친하게 지내요'하고 다녔다.
  9. 황제의 권력이 강하고 민주주의가 약했던 독일은 이 동맹을 비밀로 유지하길 원했던 반면, 영국은 공식적인 의회의 재가를 받기를 원했던 점이 컸다. 만약의 의회의 재가를 받지않고 동맹을 유지했을 경우에는 영국에서 정권교체가 일어났을 때 언제든지 동맹이 파기될 수 있었던 상황.
  10. 당장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전면전이 터질뻔한 파쇼다 사건이 채 10년도 지나지 않은 상황이었다.
  11. 물론 당시 독일이 프랑스보다 경제규모도 크고 산업화도 잘됐지만, 독일은 공업 위주의 경제체제였던반면 프랑스는 금융업 위주의 경제체제여서 돈게임에서 밀리고 말았다(...)
  12. 오스트리아야 뭐 19세기 후반부터 내림세를 타던 국가라서 별다른 힘이 없는 상황이었고, 이탈리아 왕국 역시 영국/프랑스에 비하면 아무래도 국력이 후달린 것은 물론이거니와 전반적으로 동맹국 지원에 대해 무관심(...) 그리고 1차대전에서는 기어이 배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