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머니즘

Shamanism

1 개요

샤먼신(神)이나 초자연적인 존재의 대행자로 자리잡아 집단의 중심이 되는 원시종교체계를 말한다. 한국에선 무당이나 굿이 이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샤머니즘은 네이티브 아메리칸들의 부족의 신앙숭배이다. 이러한 샤먼은 초자연적인 존재와 만나기 위해 마약을 하거나, 가혹한 고행을 하며 트렌스 상태에 접하기 위한 기행을 하기도한다.

농업이 체계화되고 과학의 기본체계가 자리 잡히면서 점차 설 자리를 잃었고, 국가체제가 도입될 무렵 집단의 핵심적 위치에서 집단의 중심에 조언과 자문을 주는 역으로 물러났으며 신화일신교등의 종교체계가 갖추어지며 신관이란 전문직종이 나오자 조언과 자문을 주는 역에서도 밀려나 종래엔 민간에서 작두를 타는 사람들만 남게 되었다.안습

1.1 샤머니즘의 흔적

초월적인 존재를 숭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 원초적 신앙체계이다보니 체계화 되지않은 다신교 혹은 일신교 계열에서 흔적을 찾아보기 쉬우며, 이나 족장의 체계가 잡혀가며 충돌하다 쇠락해 집단의 중심에서 집단의 중심을 이루는 대상을 돕는 조언가의 위치에 서게 되었으며 이것은 각국의 건국신화와 전설에 자주 보이는 왕을 보좌하는 현인격인 인물이다.

대표적인 것은 아서왕 전설드루이드 멀린이 이에 해당한다.

일각에선 삼국지연의제갈량도 샤먼으로 분류하는데, 초자연적인 현상인 동남풍을 불게한 전적과 유비가 제갈량의 보좌를 얻어 내기 위해 삼고초려를 한 모습등이 현자의 가르침을 얻기 위해 고생하는 왕이나 영웅의 모습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2 한반도의 샤머니즘

단군신화를 시작으로, 초월적인 존재의 지시를 받거나 피를 이은 자가 집단의 수장이 되는 형태로 샤머니즘이 전해졌다. 또한 국사교과서에서도 고대사 파트에서 가르치는 대표적인 제천의례인 동맹과 무천도 근본은 수확을 기념하며 풍작을 가져다 준 혹은 흉작을 가져다준 존재를 어르고 달래는 종교행사였다.

중국과 인접해 빠르게 중국, 인도의 불교 등 선진문물을 받아들인 고구려와 고구려의 체계를 일정부분 가져와 빠르게 국가수립을 한 백제와 달리 신라는 국가의 틀이 잡히기 전까지 고유의 샤머니즘의 흔적이 진하게 남아있는데, 2번째 왕인 남해 차차웅차차웅이란 칭호가 남자 무당을 가리키는 것이다.[1]

고대 국가의 초기에 왕이 신관의 대표 혹은 대행자를 자처하며 제례의식의 중심이 되는 것은 전세계에서 찾아볼수 있는 일이지만, 스스로 무당이란 칭호를 달고 활동한 것은 찾아보기 드물며 비슷한 굳이 인물을 찾자면 일본의 히미코여왕이나 남아프리카의 얀카얀카 전설, 시르크족의 샤먼킹[2]등이 있다.

현대에도 내려오는 샤머니즘으로는 제사나 차례가 있다. 하지만 성리학이 조선으로 넘어오면서 한국인 특유의 샤머니즘과 겹쳐서 조상들의 제사나 묫자리에 상당히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조선초기에는 소송이 주로 노비소송이 주를 이루었으나 성리학 중심의 사회질서가 조선에 자리잡아갈수록 산송문제가 주를 이루었다. 정작 유교의 시조 공자는 "괴력난신은 말하지 않는다"[3]고 했건.. 근현대에 기독교(가톨릭, 개신교 포함)가 전파된 뒤에도 기복신앙과 샤머니즘이 섞이는 일이 일어났고, 샤머니즘을 미신이라며 배척한 것은 유교와 기독교 모두 마찬가지였는데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정한 조선에서 무당은 천민으로 분류되었으며 기독교와 한국 샤머니즘의 갈등은 김동리의 소설 무녀도에서 근대의 상황을 알 수 있다.

2016년 10월에 최순실 게이트가 터지자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국이 아닌 최순실에게 농락당한 샤머니즘 국가가 되었다며 조롱하는 네티즌들도 생겼다.

일부 학자들은 한국 기독교의 문제점의 뿌리를 샤머니즘으로 보기도 한다.[4]기복신앙과 그릇된 은사주의, 목회자 숭배와 형식적인 정교분리[5]등이 샤머니즘과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3 미디어의 샤먼

  1. 단 차차웅이란 말을 한자로 표현 할 때 巫(무)와 祭(제) 두 가지를 사용했는데, 이 중 巫는 여성 차차웅을 뜻한다는 학설도 존재한다.
  2. 만화이야기가 아니라, 진짜 샤먼을 왕으로 삼았다
  3. 해석하기 나름이다. '금지한다'라고는 하지 않았으니...
  4. 관련 논문도 다수 열람 가능할 정도로 오래된 문제점인데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도 관련 내용을 넣었다가 교인들의 거센 항의를 받은 적이 있었다.
  5. SNS에 루머를 올려서라도 사회 질서를 바꾸려 하는 교인들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