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키부네

1 개요

02_02_03_ship02.jpg
어?
関船
일본에서 전국시대에도시대에 걸쳐서 사용했던 중소형 군선이다. 중세 일본군의 주력 전투선[1]이었다. 한자 그대로 관선이라고도 부른다.타면 관짝이 된다해서 관선이 아니다 대략 우리나라의 조운선들이랑 비슷한 크기였으며, 2층 구조를 쌓고 전투에 적합하게 개조한 함선이었다고 볼 수 있다.

2 상세

2.1 규모

안택선 좌현으로 도선을 시도하는 배가 세키부네이다.

에도막부 시기 목할법의 도입 이전에는 같은 배라도 배 크기가 들쭉날쭉이었지만 세키부네의 크기는 주로 36척부터 69척[2]정도였으며 탑승 인원은100명 정도 였을것이다. 중형 세키부네의 경우에는 노를 30정부터 60정 정도까지 장착 가능하였고 이보다 더 적은 노를 사용하는 소형의 세키부네는 아래 설명할 고바야라고도 불렀다. 판옥선의 배수량이 대략 80~280t가량이니, 그보다 훨씬 작았던 세키부네의 배수량은 더욱 작았다. 여기에 100명이나 올라탄게 기적이다.

2.1.1 고바야 부네(小早船)

02_02_03_ship03.jpg
IE001274741_STD.jpg
보통 노를 14~30정 정도를 부착한 소형 세키부네이다. 주로 척후선이나 연락선으로 사용되었지만 간혹 전투 임무로도 사용이 되었다.

참고로 조선에도 비슷하게 방패선, 병선, 창선이라는 보조용 선박들이 있었다. 이쪽은 신기전을 비롯한 화약무기를 신호용으로 휴대하고 있었으며, 더욱 작은 배로는 사후선이라는 초소형 정찰선도 존재했다.

2.2 구조

IE001274727_STD.jpg
일본 화선들이 그렇듯이 첨저선 형태와 쇠못으로 결합된 선체를 사용했다. 또한 삼나무로 선체를 만들었는데 속도는 이덕분에 빨랐지만 결정적으로 내구도를 약화시킴과 동시에 장애물 위에서 항해가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생겼다. 이런 내구도 덕분에 대포를 거의 탑재하지 못하였다.

좌우현의 방패판은 안택선과같이 문이 달려있어 도선할 때 쉽게 넘어 갈 수 있다. 물론 동급함선 한정이다. 안택선, 판옥선과 마찬가지로 격군실과 전투갑판의 이층구조로 나누어져 있기는 하지만 높이가 훨씬 낮다.

3 임진왜란의 종이 군함

20090806193839.jpg
판옥선과 세키부네 비교도안

세키부네는 일본에서 무척 효과적인 함선이었지만, 임진왜란 시기에는 상대한 판옥선이 영주들의 권세를 나타내는 안택선에 필적하는 체급에 훨씬 더 강력한 화포들을 탑재하여 접근조차 어려웠다. 낮은 뱃전 때문에 위를 보고 사격하거나, 아예 갈고리를 적선에 걸고 공성전을 하듯이 싸워야 했다. 더구나 해전이 있던 한반도 남부는 암초가 많고 소용돌이가 심한 해역이었기에, 첨저선인데다 가벼운 세키부네에게는 매우 불리한 환경이었다. 원균은 역으로 당했지만 지휘자가 워낙 포악하고 무능한 병X이라서.

세키부네 입장에서 더욱 소름끼치는 사실은, 판옥선에 접근하더라도 타격을 줄 방법이 없었다. 판옥선의 화포는 세키부네가 접현을 성공하더라도 괘념치 않고 병사와 함선을 통째로 갈아버릴 수 있었다. 가까우면 조란환, 멀면 포환 때로는 섞어서 또한, 판옥선은 일본에서 칼조차 부러트린다는 평판을 지닌 튼튼한 나무들을 이용해서 만들었기에, 잘못 부딪치기만 해도 위험할 정도로 일본배들과는 튼튼함이 차원을 달리했다. 단순히 체급으로만 따져도 훨씬 무거웠던 점은 덤이다. 하마치타의 싸움[3]

하지만 세키부네를 사용한 일본의 판단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일본은 기본적으로 원정국이었으므로, 빠르고 생산량이 좋은 세키부네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은 타당한 전략이었다. 전쟁 후반기에는 대형화 되어서 갈고리로 도선할 필요가 없어진 관선도 등장했다. 또한, 당시 동아시아의 수상전은 일종의 전차 싸움처럼, 빠른 배들을 여러척 이용하여 기동력으로 상대를 포위하는 개념이었다. 세키부네의 전투방식이 심하게 뒤떨어진 것은 아니었다는 뜻이다. 조선이 이상할 정도로 함포를 보편적으로 보급했을 뿐이다.

4 임란 이후에는?

travel-urabe60bj.jpg
travel-urabe60bi.jpg
에도 막부 정권에서 안택선 건조 금지명령[4]을 내리자 반대급부로 세키부네가 좀더 실질적인 주력함이 되자 장식성은 물론이고 크기까지 이전의 관선들 보다 크기가 훨씬 커지고 화려해지게 되었다.[5] 이런식으로 대형화된 세키부네를 천지환이라고도 부른다. 이런 대형화된 세키부네들은 막부말 근대식 전투함이 등장할 때까지 운용되었다.

5 매체에서의 등장

안택선만큼은 아니더라도 임진왜란이나 전국시대를 배경으로한 작품에는 자주 등장한다.

b0058760_4d92eb3a57366.jpg

  • 불멸의 이순신에서도 등장. 역사적 사실 그대로 허구한날 터져나가는 모습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작품에 등장하는 들과 크기가 같게 나오는 치명적인 고증오류로 남아있다.[6]

93756_S77_102738.jpg
627762892_9165af2b_130411-B8EDB7AEC8B8BFC0B8AEB9D9B4D9+2810029.JPG
http://img1.joyreactor.cc/pics/comment/фильм-гифки-азиатское-кино-адмирал-1623287.gif
#!HTML <img src="http://cfile232.uf.daum.net/image/2564963353A90CE0156B40">

  • 명량에서도 당연히 일본측 수군의 주력 전투선으로 등장했다. 그래도 여기에서는 고증이 좀 개선되어 임란 후반기에 대형화된 관선정도 크기로 등장했으나 그래도 판옥선을 공성하는 모습을 보지 못한것이 아쉬웠다는 반응이 많았다. 작중에서는 수백척이 떼를지어 조선수군의 12척의 판옥선들을 위협하였고, 이중 한 척은 화공선으로 개조되어 이순신의 대장선에게 위협을 가했다. 그러나, 물론 여기서도 대포에 얻어맞고, 조란환에 군사들이 쓸려나가고, 판옥선의 충각 전술에 아작이 나고, 회오리에 휩쓸려 산산조각나는 야라레메카의 확실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K-20.jpg

  • 징비록(드라마)에서도 등장했는데 크기 비례는 비슷하게 맞춰두었지만 노가 없고 한선 배꼬리가 달리는 고증 오류가 나왔다. 함미는 오히려 위의 명량의 세키부네가 재현을 더 잘해두었다.
  • 토탈 워: 쇼군2에서는 고바야(소조선)와 세키부네(조선=관선) 두분류로 나누어져서 유닛으로 등장한다.
width=100%width=100%width=100%

고바야부네 계열 유닛으로 좌측부터 순서대로 활, 조총, 포락옥으로 무장한 경우이다. 고바야 계열은 기동성이 좋아 무역선 호위함이나 게릴라식으로 운용하기는 좋지만 체력이나 화력은 부족하다.

width=100%width=100%width=100%

세키부네 계열 유닛으로 좌측부터 일반 관선, 왜구가 사용하는 관선, 아구라부네[7]이며 기동성이 느리기는 하지만 고바야 보다는 체력이 높기 때문에 주력으로 자주 편성된다.

파일:FncfH8E.png
그리고 오 아타케 부네라고 이름이 붙은 이 함선은 사실 위에서 말한 임란이후 등장한 대형 관선인 천지환이다.

토탈 워 2에서 등장한 이후 한국에서도 관심이 많이 생겼다. 빠른 속도로 전차전을 치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배라나. (...).
  1. 안택선은 주로 대장선(기함)으로 사용되었다.
  2. 1척을 약0.3m으로 볼 때11m에서21m정도이다. 참고로 안택선이나 판옥선의 길이가 100척(30m내외)정도였다.
  3. 한선들이 지나칠 정도로 내구성을 강조했던 것은 암초가 많고 해류가 강력한 한반도 남부의 지정학적 상황 때문이다. 이렇게 험악한 연안지대를 돌아다니기 위한 선박기술이 발달했으니, 항해를 생각했던 중세 일본배들과는 기본적인 강도 자체가 달랐다.
  4. 정확히는 500석급 이상의 함선을 건조하는 것을 금지했는데, 당시 안택선은 1천석급이 넘어가는 대형 전투선이였다. 이런 명령을 내린 것은 지방영주들의 반란을 막기 위해 무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5. 물론 여기에는 지방영주의 세력을 과시하기 위한 의도도 숨어있었다.
  6. 그래도 안택선은 실제 형태와 어느 정도 비슷하게는 나왔다.
  7. 영어로는 Siege Tower Bune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