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00a495;padding:9px;margin-bottom:0px" [[나무위키:프로젝트|width=40px&align=left]]{{{#!html{{틀:프로젝트 문서/설명문서}}현재 <a href="/w/@프로젝트1@">@프로젝트1@</a> · <a href="/w/@프로젝트2@">@프로젝트2@</a>가 진행 중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해 주세요!
金井터널 / Geumjeong Tunnel
1 개요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터 시작해서 동구 수정동에 있는 부산진역까지 이어지는 부산시 시가지 전체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총연장 20.323km 짜리 고심도 터널이다. 이름은 금정산에서 따왔다.
영동선 솔안터널(16km)과 천성산의 원효터널(약 13km), 경기도의 일직터널(10.3km)은 이 터널 앞에서는 아무것도 아니다. 그러나 2015년 6월 23일에 수도권고속선 율현터널(무려 50.3km! 금정터널의 약 2.5배!)이 관통되면서 2위 자리를 넘겨주었고, 경강선 대관령터널(21.755km)이 관통되어 3위로 밀려났다.
600px
빨간 선이 바로 금정터널. 통과하는데 약 10분이 소요된다.
이 터널이 나오게 된 계기는 부산시내로 경부고속선을 집어넣기 위해서이다. 고가로 지나가자니 땅값이 워낙 쩌는 데다 주민들의 반대가 예상될 수 밖에 없어고 건물이 많은 부산시내를 지나가기 때문에 고가보다는 터널로 뚫게 된것 같다.
대략적으로 볼 때 금정구 노포동부터 시작해서 동래구, 연제구, 부산진구를 지나 동구 수정동까지 간다. 말 그대로 부산 중심가를 거의 뚫어버린 셈. 부산역에서 출발하여 이 터널 지나면 바로 부산시계 넘는 거다.
2 건설, 개통
경부고속철도 1단계 공사가 거의 마무리되어 가던 2002년부터 굴착에 들어갔으며 연제구 거제동과 북구 화명동에 사갱[1]을 뚫고 해당 위치에서부터 앞뒤로 동시굴착하는 방식을 썼다.
오차가 엄청날 줄 알았으나, GPS 등의 최신기술로 단 몇 cm 단위로 줄여버렸다. 흠좀무. 그리고 2008년 마침내 관통했다! 이후 레일 부설 등을 거쳐서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선 2단계가 운행을 개시하게 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두 곳의 사갱 이외에 네 곳의 수직갱(차량진입 불가)이 있으며, 구난 대피소도 네 곳이 있다.#
3 중간역 추가 계획
이 터널은 동해남부선 부전역 바로 밑으로 통과한다. 부전역에 KTX가 정차한다면 터널 옆으로 잠시 나왔다가 부전역을 지나서 다시 터널로 진입하게 되어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참으로 다행스럽게도 터널 공사시에 부전역 설치를 감안하여 공사하였다.[2]
파일:Attachment/bujeon.jpg
금정터널 부전역 구간. 이는 2009년 개통 전에 분기기만 만들어 둔 상태의 사진으로 2012년에 측면 터널. 즉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부본선을 부산광역시의 돈으로 설치해 놓은 상황이다. 그 돈이 무려 2천억 원이다.
원래는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부전역을 추가시켜 줄 생각은 없었지만 부산광역시가 분기기와 승강장 설치할 비용을 내기로 하면서 설계를 변경시킨 것이다. 부전역 확장공사가 끝나는 2012-2015년과 동시에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인 줄 알았는데 부전역 환승센터 계획 자체가 경제가 어렵다며 지지부진해졌다.
게다가 금정터널이 부전역을 거쳐 가기 위해 2번의 드리프트를 하게 되었는데, 부전역 건립이 취소될 경우 손해도 생길 것이다. 이는 부산시의 재정이 매우 좋지않기 때문. 2000억원이 부산시민의 혈세이기 때문에 나가리되면(...)
4 기타 사항
부산진역에서 지하로 들어가고 나서는 동해남부선을 지하로 따라 부전역까지 올라온다. 이후로는 거제동[3]과 사직동등의 부산 시내와 금정산을 지하로 헤집고 나가며 금정산 중간에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을 하부로 교차해서 통과한다.
노포동 출구 인근에 금정구청에서 역을 신설할 것을 요구했으나 상큼히 묵살당했다. 네이버 지도나 구글어스 등에서 항공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역을 신설할 만한 공간이 거의 안 나오는데다 확보한다고 쳐도 역간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워져서[4] 결국 묵살당하고 말았던 것. 로드뷰 찍어도 터널이 보이는 길을 찾기 어렵다.
2011년 3월 이 터널 안에서 서울행 KTX가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해서 상행선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사고열차는 신호 오작동으로 멈춰선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열차를 탔던 승객들은 불안에 떨었다고 한다.
2012년 7월에도 부산행 KTX가 터널 한복판에서 멈춰서 한시간 반 동안 멈춰섰다고 한다. 일단은 전기가 차단되어 열차가 멈춰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한다. #
지금까지 금정터널 내에서 나오는 지하수 유실수를 사용할 곳이 없어서 하수도로 버렸었다. 그런데 최근 동구에서 추진중인 초량천 복원사업이 있는데 복원 후 초량천에서 사용할 하천물을 금정터널의 유실수를 끌어와 사용한다고 밝혔다.- ↑ 차량 진입도 가능하므로 개통 후에는 터널 유지보수 및 재난대비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 ↑ 지하 구간에 역 추가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터널식으로 지하 구간을 시공했을 경우(2기 지하철과 9호선의 둥글게 생긴 터널 단면)에는 절대로 지하에 추가 역 건설이 불가능하다. 이매역의 경우는 해당 구간이 개착식으로 공사가 이루어져서 가능했던 것. 물론 추후 역 추가를 노리고 터널을 설계한다면 당연히 역 추가가 가능하다.
- ↑ 아시아드경기장을 관통한다.
- ↑ 이렇게 되면 부산역에서 노포동에 신설된 역까지의 거리는 길게 잡아도 20km. 울산역은 30km. 더 큰 문제는 부산역 방향은 부전역마저 있어서 부전역까지의 거리는 15km 정도까지 줄어든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