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 |||||
7호선 | |||||
장암 방면 도봉산 | ← 1.6 km | 수락산 (711) | → 1.4 km | 부평구청 방면 마 들 |
水落山驛 / Suraksan Station
수락산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Suraksan |
한자 | 水落山 |
중국어 | 水落山 |
일본어 | スラクサン / スラッサン |
역번 | |
서울 지하철 7호선 | 711 |
300px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 1662 (舊 상계동 1132-9) | |
서울 지하철 |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
7호선 개업일 | 1996년 10월 11일 |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 711번.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 1662(舊 상계동 1132-9번지) 소재.
2 역 정보
인근에 있는 산인 '수락산'을 역명으로 부여했고 1996년 10월 11일에 개업했다. 구조는 2폼 3선식 승강장으로 |선로|승강장|선로|승강장|선로| 의 구조이다. 청담역, 동막역과 같은 구조+방식으로 운용한다.
한때 도봉산역과 함께 종착역으로 쓰였으나, 어느순간 종착 횟수를 줄이더니 2009년 7월부터 완전히 사라졌다. [1] 도봉산가는데 방해된다나 뭐래나. 그 후로는 도봉산행 기준으로 맨 오른쪽 승강장을 안쓰고 상대식 승강장처럼 운영되고 있다. 서울 1호선 외대앞역, 대전 1호선 중앙로역과 똑같은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
초기에는 노일초등학교 옆에다가 역을 건설하려고 했는데, 알 수 없는 어른들의 사정으로 0.5km 북쪽으로 옮겨서 건설했다. 노일초등학교 옆의 노일지하보도가 초기 수락산역의 흔적이다.
2.1 승강장
도봉산 ↑ | ||||||
ㅣ | 하 | ㅣ | 상 | ㅣ | ||
↓ 마들 |
서울 지하철 7호선 |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
상 | 서울 지하철 7호선 | 도봉산·장암 방면 |
하 | 서울 지하철 7호선 | 태릉입구·고속터미널·부평구청 방면 |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있는 수락산 덕분에 도봉산역처럼 등산객들이 많이 내리는 역이기도 하고, 부작용으로는 주말에만 되면 술취한 등산객들이 거리에 많이 보인다. 부대시설이 매우 잘 돼 있기도 하다.
대기실이 2개로 나눠져 있는데(도봉산역 쪽, 마들역 쪽), 도봉산역 쪽에는 편의점이 설치되고 마들역 쪽에는 화장품점이 설치되어 있다.
도봉산역 쪽 대기실은 아직 업무를 하고 있지만, 마들역 쪽 대기실은 업무를 하고 있지 않다. 덕분에 개념 없는 시민들이 마들역 쪽에서 무임승차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개념 없는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지폐교환기를 설치하지 않은 것 때문에 돈을 바꾸려면 반대편 대기실로 걸어가야 한다. 두 대기실 간 거리가 160m나 되기 때문에 꽤 귀찮은 일이다. 화장실은 그 중간에 있다.
서울 노원구에서는 가장 북쪽에 있는 역이고 의정부, 포천과 가깝기 때문에, 의정부/포천에서 버스 타고 오는 많은 사람들이 환승하는 역이기도 하다. 3100, 3200, 3500, 3600번을 타고 왔을때 서울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역이 수락산역. 수락 공항터미널이 생겨서, 의정부/포천 쪽 사람들이 인천공항 버스를 탈 때도 찾아온다.
여담으로, 이 역에서 탈 수 있는 유일한 간선버스로 146번이 있다.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7호선[2]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9,642명 | 11,808명 | 12,934명 | 14,440명 | 16,317명 | 17,131명 | 17,172명 | 16,290명 | 15,754명 | 15,503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5,643명 | 15,727명 | 15,585명 | 15,696명 | 15,613명 | 15,155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