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청역

수도권 전철
7호선
장암 방면
굴포천

0.9 km
부평구청
(759)

1.6 km
시종착
석남 방면
산 곡
인천 1호선
계양 방면
갈 산

1.0 km
부평구청
(I118)

1.1 km
국제업무지구 방면
부평시장

富平區廳驛 / Bupyeong-gu Office Station

부평구청역
(세림병원)

다국어 표기
영어Bupyeong-gu Office
한자富平區廳
중국어富平区厅
일본어富平区庁(プピョングチョン)
역번
서울 지하철 7호선759
인천 도시철도 1호선I118
300px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지하 200
(舊 청천동 112)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구청역
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 527
(舊 청천동 199-3)
수도권 전철
운영기관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7호선 개업일2012년 10월 27일
운영기관인천교통공사
인천 1호선 개업일1999년 10월 6일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 759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 527 (舊 청천동 199-3번지) 소재.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18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지하 200 (舊 청천2동 112번지) 소재.

2 역명

역명은 4,5번 출구 앞에 위치한 부평구청을 따서 지었으며, 인천 도시철도 측의 부역명은 부평구청 맞은 편에 위치한 병원의 이름에서 딴 부평세림병원이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은 부역명이 존재하지 않는다. 근데 네이버나 다음 지도로 검색하면 7호선에도 알아서 부역명이 붙어있다. 대신 해당 건물과 부역명의 건물들 모두 7호선의 출구로 나가면 바로 앞에 존재한다는 것은 놀랍다. (예를 들어서 총신대입구역이라던가 원인재역의 힘찬병원이라던가.)

주변에 관공서도 많고, 사거리를 중심으로 모두 다른 동이다보니 특정 지명을 따지 않고 인근에서 가장 상징적인 구청으로 역 이름을 지정한 것이 특징이다. (서북쪽 블럭은 청천동, 동북쪽 블럭은 갈산동, 남쪽 블럭은 부평동이다.) 동네이름으로 역을 지정했다가는 아줌마들끼리 키배를 뜰지도 모른다. 청천동, 갈산동 아줌마가 아닌 부평구청 여자 공무원의 승리.

3 역 정보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연장되면서 대한민국 유일의 서로 다른 지자체 관할의 지하철 간 환승역이 되었고(서울 지하철 - 인천 도시철도)[1] 7호선은 중간 환승 없이 같은 색깔의 노선으로 인천광역시의정부장암역을 잇는 초거대 노선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7호선 연장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2014년 10월 30일부터 추가 연장 공사가 시공되어 서쪽 방향으로 일단은 인천 2호선 석남역까지 7호선이 연장되며 2020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하지만 석남까지 공사가 끝나도 연장이 끝나지 않을 것 같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이 부평구청 사거리에서 조금 북쪽으로 치우쳐진 부평대로 방향에 있다보니 출구가 비교적 사람들의 왕래가 적은 곳에 위치해 있었으나,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사가 길주로 상에 지어진 후 부평구청이나 부평세림병원, 여성문화회관 등 근처에 새로운 출구가 생겼다. 현재는 총 9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고, 기존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구청역의 3번 출구와 4번 출구는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에 따라 각각 9번 출구와 8번 출구로 번호가 바뀌었다.

그러나 1호선 부평구청역에서 내려서 실제로 부평구청으로 가려면 ㄱ자로 된 통로를 길게 지나가야만 한다. 부평구청역인데 부평구청에 가기가 어려운 현실. 심지어 경사로도 있다.

7호선 부평구청역에서는 평일 기준 도봉산행 64회, 장암행 41회로 이전 버전에서 쓴 것과는 달리 장암행이 그리 드물다고 하기는 힘들다.(오후 시간대에 몰려있을 뿐) 대신 토요일과 공휴일에 도봉산행 62회, 장암행 25회로 편차가 크다. 그런데 어차피 장암역이 아닌 의정부시로 가려면 그냥 도봉산행을 타고 온수역이나 도봉산역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면 되고, 굳이 장암역이 목적지인데 장암행이 한참 뒤에 온다면 그냥 수락산역에서 1154번 등을 타는 게 낫다. 그리고 온수발 장암행도 있긴 있다.

평일 출근시간대에 6~8분의 배차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데, 이 역에서 좌석은 다 차고, 입석도 어느 정도 발생한다. 그러다 보니 승강장에서 대기중인 열차를 앞에 두고도 출입문 앞에 길게 줄 지어있는 진풍경을 목격할 수 있다. 그래서 굴포천역부터는 국물도 안 남는다. 평일 낮에도 시루떡이다 1호선도 터져나가고 2호선도 터져나가고 이 노선도 터져나가고 부천 시내도 터져나가고~

역 내부는 깔끔하며 여러 사진전시회를 자주 갤러리에 여는 편이니 이 곳에 자주 가는 위키러들은 알아두면 좋다. 또한 공연장도 설치되어 있는데, 공연은 마술 등이 가끔 열리는 편.[2]

화장실은 초록색 물비누를 비치해 두고 있다.

3.1 승강장

3.1.1 서울 지하철 7호선

굴포천
↓ (산곡) 종착역
서울 지하철 7호선온수·고속터미널·건대입구·장암 방면
서울 지하철 7호선당역종착

3.1.2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갈산
부평시장
인천 도시철도 1호선작전·계산·박촌·계양 방면
인천 도시철도 1호선부평·인천시청·원인재·국제업무지구 방면

4 출구 정보

출구 번호소재지주변 지역
1번인천광역시 부평구 갈산2동부평세관
2번인천광역시 부평구 갈산2동인천여성문화회관
3번인천광역시 부평구 갈산2동인천여성문화회관
4번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4동부평구청, 북구도서관
5번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4동부평구
6번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2동부평세림병원
7번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2동인천지방법원 북인천등기소
8번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2동부평경찰서
9번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2동한국GM 본사 및 부평공장

5 환승

인천 도시철도 1호선서울 지하철 7호선은 그냥 승강장의 끝에서 갈아타면 되는 형태이다. 다른 3개의 환승역들과 달리 지상이나 고가역의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계양방향 첫번째칸에서 환승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환승에 대한 난이도가 상당히 낮은편에 속한다. (환승 통로가 부평시장역 방향으로 나 있다.) 하지만, 서울 지하철 7호선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경우는 방향 구분이 확실하고 잘못 방향을 잡으면 계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므로 계양역국제업무지구역 방향 구분을 확실히 해두도록 하자. 덤으로 환승루트는 막장환승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환승 시간조율이 막장이다. 인천1호선이든 7호선이든 환승하려고 열차에서 내리는 순간 대부분 20~30초 뒤에 출발하므로 타임어택을 감수하고 뛰어야 한다. 장암/도봉산행 배차간격은 12~13분이니 말 다했다. 보통 인천1호선 플랫폼에서 7호선으로 경주가 시작되는데 사람들이 도착은 했으나 대부분 7호선 열차는 문닫고 가버리는 경우가 부지기수.

6 요금제

정기권의 경우 다른 경기도의 7호선 역과 마찬가지로 연장구간에서 사용할 시 '서울시내' 구간으로 취급되어, 서울전용 정기권을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 말이 많았으나 공식적으로 확인한 결과 하차시 서울 시외구간으로 적용되어 횟수가 추가 차감되며, 승차는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밝혀졌다. 이럴 경우 교통카드를 쓰든지 해야 한다.[3][4]

7 역 주변 정보

인근에는 신트리공원, 인천광역시 북구도서관, 북인천세무서, 부평경찰서 등의 공공시설이 있으며, 한국GM 본사 및 부평공장이 근처에 있다. 2015년 이 역 인근에 인천문예전문학교가 이전했다.

이 역의 동쪽으로 굴포천이 합류하는 곳이 있는데, 수질은 옛날에 비해 많이 좋아진 편. 하지만 여름철엔 아직 악취가 심하다.

8 연계 버스

출구 번호연계 노선
1번7번,12번,30번,34번,67-1번,111-2번,582번
3번24번,28번,35번,582번,1200번,5000번
4번24번,28번,35번,45번,1200번,5000번
6번1번,28번,40번,43번,46번,103번,112번,555번,560번,585번,586번,904번,904-1번,3800번
9번7번,12번,30번,34번,67-1번,111-2번,81번,90번,111번,3000번

9 사건사고

2012년 12월 이 역에서 일명 지하철 7호선 폭행남이 난동을 부렸다. 여친과 싸움이 일어나서 여친을 마구 때렸는데 싸움을 말리려던, 해당 역사에서 근무하는 공익근무요원까지 폭행을 한 것. #

10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7호선[5]
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7,274명9,286명10,861명11,840명---
인천 도시철도 1호선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7,830명7,460명7,164명7,025명6,983명6,597명6,273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
6,294명6,588명6,777명6,874명7,155명7,399명-
  1. 수도권 전철 1호선경인선 구간이나 인천국제공항철도 같은 것들은 서울특별시 관할(서울 지하철)이 아닌 국유 철도이다. 다만 7호선 인천구간의 소유는 인천이다. 운영을 서울에서 할 뿐.
  2. 「홍미영 부평구청장 “빠르고 안전한 시민의 발 되길 기대”」, 2013-10-31, 경향신문
  3. 역 관계자와 통화한 내용, 디시인사이드
  4.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공식 답변, 디시인사이드
  5. 역별 수송수입현황, 서울도시철도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