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한글 자모
옛한글 기본 자모 | |
자음: ᄼ · ᄾ · ㅿ · ㆁ · ᅎ · ᅐ · ᅔ · ᅕ · ㆆ / 모음: ㆍ | |
옛한글 겹자모 | |
자음 | ㅥ · ᅞ · ㅩ · ᄙ · ㅭ · ᄛ· ᇚ · ퟠ · ㅱ · ㅸ · ㅹ · ㅺ · ㅼ · ㅽ · ㅾ ᄽ · ᄿ · ᅂ · ꥶ · ᅄ · ᅅ · ᅇ · ᅊ · ᅋ · ᅏ · ᅑ · ꥹ · ㆄ · ㆅ · ꥼ |
모음 | ᆥ · ᆂ · ힱ · ᆃ · ᆆ · ㆉ · ᆍ · ㆌ · ᆗ · ힽ · ᆜ · ퟄ · ᆝ · ᆢ |
기타 | |
HCF | |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
ㆆ
1 개요
훈민정음의 자모 중 하나로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여린히읗, 된이응이라고도 한다. ㅎ과는 다른 자음이다.ㅎ
2 발음
이름이 보통 '여린히읗'이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숨을 ㅎ보다 약하게 내쉬는 소리(?)라고 상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성문 파열음 (Glottal Stop) [ʔ][1]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즉, 넘어졌을 때 "아!" 하는 소리이다. 즉, 사실 성문 파열음은 현대 한국어에서도 종종 무의식적으로 발음된다. 인식을 못 해서 그렇지... 다쳤을 때 나는 소리는 사실 '아!'가 아니라 'ㆆㅏ!'로 발음된다. 대표적으로 일(一)과 일(業)의 발음이 다른데, 一이 'ᅙᅵᆯ'로 발음된다고 한다.[2] 음소리에서 특히 이 소리가 많이난다. 예를들어 꼬집었을때 등등.
ㆆ는 동국정운의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해 중국어의 36개 자음에 맞춰 구상된 글자로, ㅎ을 거센소리로 보았을때 ㅎ의 예사소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었다.[3] 주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쓰였고 세조 이후부터는 쓰이지 않았다.
3 본문
이후에 소실된 낱자인 ㅿ이나 ㆁ과는 달리 광범위하게 쓰인 글자는 아니다. 고유어에서는 관형사형 전성어미 'ㄹ'에 붙어, 뒤 글자의 초성을 된소리로 만드는 부호.(니르고져호ᇙ배이셔도=니르고져홀빼이셔도) 즉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ㅋ, ㅌ, ㅍ, ㅊ으로 거센소리화 되는 것처럼, ㄱ, ㄷ, ㅂ, ㅅ, ㅈ이 ㆆ을 만나면 ㄲ, ㄸ, ㅃ, ㅆ, ㅉ으로 된소리화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는 뒤 글자와 끊어 읽으라는 절음 부호(몯ᄒᆞᇙ 노미 하니라)로 쓰였다. 한자어에서는 종성에서 ㄹ 소리가 나는 한국 한자음을 중국어의 입성처럼 표기하기 위해 ㅭ 받침으로 나타내는 데에 썼고(이영보래), 간혹 초성에 사용(安ᅙᅡᆫ)하기도 했다. 그 밖에도 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에서는 끝소리가 나지 않는 일부 한자 아래에 붙어 사잇소리를 나타내기도 했지만, 이는 이후의 자료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 용례다.[4] 북한 초창기의 조선어 신철자법에서는 불규칙 활용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도 쓰였다.
4 그 외
현행 한글 맞춤법에 사용하지 않는 글자이기 때문에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는 이 글자를 어떻게 표기한다는 규정은 나와있지 않다. 특히 반치음이나 순경음 ㅂ과 달리 이쪽의 추정 음가인 성문 파열음은 언어마다 표기법이 그야말로 제각각인 게 문제. 굳이 표기하자면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서 안 쓰는 어포스트로피(')를 쓰거나, 아니면 c,q,x처럼 남아도는 글자를 쓰거나, 그도 아니면 ȟ처럼 h를 변형한 글자를 쓰는 방식 등으로 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예일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q'로 표기한다. 'ㆆ'가 쓰이지 않는 현대국어를 예일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할 때 'q'는 한글 표기상으로 드러나지 않고 자음동화 규칙으로도 설명할 수 없는 된소리되기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