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린히읗에서 넘어옴)
옛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모음:
옛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 · ·
기타
HCF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1 개요

훈민정음의 자모 중 하나로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여린히읗, 된이응이라고도 한다. 과는 다른 자음이다.ㅎ

2 발음

발음 듣기

이름이 보통 '여린히읗'이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숨을 ㅎ보다 약하게 내쉬는 소리(?)라고 상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성문 파열음 (Glottal Stop) [ʔ][1]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즉, 넘어졌을 때 "아!" 하는 소리이다. 즉, 사실 성문 파열음은 현대 한국어에서도 종종 무의식적으로 발음된다. 인식을 못 해서 그렇지... 다쳤을 때 나는 소리는 사실 '아!'가 아니라 'ㆆㅏ!'로 발음된다. 대표적으로 일(一)과 일(業)의 발음이 다른데, 一이 'ᅙᅵᆯ'로 발음된다고 한다.[2] 음소리에서 특히 이 소리가 많이난다. 예를들어 꼬집었을때 등등.

ㆆ는 동국정운의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해 중국어의 36개 자음에 맞춰 구상된 글자로, 거센소리로 보았을때 ㅎ의 예사소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었다.[3] 주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쓰였고 세조 이후부터는 쓰이지 않았다.

3 본문

이후에 소실된 낱자인 이나 과는 달리 광범위하게 쓰인 글자는 아니다. 고유어에서는 관형사형 전성어미 'ㄹ'에 붙어, 뒤 글자의 초성을 된소리로 만드는 부호.(니르고져호ᇙ배이셔도=니르고져홀빼이셔도) 즉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ㅋ, ㅌ, ㅍ, ㅊ으로 거센소리화 되는 것처럼, ㄱ, ㄷ, ㅂ, ㅅ, ㅈ이 ㆆ을 만나면 ㄲ, ㄸ, ㅃ, ㅆ, ㅉ으로 된소리화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는 뒤 글자와 끊어 읽으라는 절음 부호(몯ᄒᆞᇙ 노미 하니라)로 쓰였다. 한자어에서는 종성에서 ㄹ 소리가 나는 한국 한자음을 중국어의 입성처럼 표기하기 위해 받침으로 나타내는 데에 썼고(이영보래), 간혹 초성에 사용(安ᅙᅡᆫ)하기도 했다. 그 밖에도 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에서는 끝소리가 나지 않는 일부 한자 아래에 붙어 사잇소리를 나타내기도 했지만, 이는 이후의 자료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 용례다.[4] 북한 초창기의 조선어 신철자법에서는 불규칙 활용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도 쓰였다.

4 그 외

현행 한글 맞춤법에 사용하지 않는 글자이기 때문에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는 이 글자를 어떻게 표기한다는 규정은 나와있지 않다. 특히 반치음이나 순경음 ㅂ과 달리 이쪽의 추정 음가인 성문 파열음은 언어마다 표기법이 그야말로 제각각인 게 문제. 굳이 표기하자면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서 안 쓰는 어포스트로피(')를 쓰거나, 아니면 c,q,x처럼 남아도는 글자를 쓰거나, 그도 아니면 ȟ처럼 h를 변형한 글자를 쓰는 방식 등으로 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예일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q'로 표기한다. 'ㆆ'가 쓰이지 않는 현대국어를 예일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할 때 'q'는 한글 표기상으로 드러나지 않고 자음동화 규칙으로도 설명할 수 없는 된소리되기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쓰인다.
  1. 아랍어에서 자주 나타나는 특징이다.
  2. 참고.
  3. 당시 중국 음운학에서 무성 무기음은 전청(全淸), 무성 유기음은 차청(次淸)이라고 불렀는데, 한글에서는 ㄱ, ㄷ, ㅂ, ㅅ, ㅈ, ㆆ이 전자, ㅋ, ㅌ, ㅍ, ㅊ, ㅎ이 후자에 속했다.
  4. 실제로 두 자료에서 사잇소리는 ㄱ, ㄷ, ㅂ, ㅸ, ㆆ, ㅿ, ㅅ 등으로 다양했는데, 이는 한국어의 역사를 통틀어 유이한 것이다. 사잇소리는 대체로 ㅅ으로 통일되어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