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조선어에서 넘어옴)

세종대왕이 창제한 문자에 대해서는 한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한국어족
한국어제주어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한국어
조선말 / 조선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대한민국, 북한
원어민약 7,800만 명
어족고립어 혹은 한국어족[1]
한국어
문자한글
언어 코드
ISO-639-1KO
ISO-639-2KOR
ISO-639-3KOR
주요 사용 지역

파란색 : 주민 대부분이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
하늘색 : 주민 일부가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
한국어한국말, 조선어, 조선말, 고려말
중국어韩语,[2] 韩文
일본어韓国語, 朝鮮語
러시아어Корейский язык
스웨덴어Koreanska
노르웨이어koreansk
세르비아어Корејски језик
크로아티아어Korejski jezik
우크라이나어Корейська мова
프랑스어Langue coréenne
스페인어Idioma coreano
포르투갈어Língua coreana
이탈리아어Lingua coreana
영어Korean language
독일어Koreanische Sprache[3]
베트남어Tiếng Hàn Quốc[4], Tiếng Triều Tiên[5]
태국어ภาษาเกาหลี
그리스어Κορεατική γλώσσα
터키어Kore dili
페르시아어زبان کره ای
아랍어لغة كورية
타지크어Забони Кореягӣ
라틴어Lingua Coreana
에스페란토Korea lingvo

1 개요

나무위키 대다수의 이용자가 말하고, 보는 언어

한국어는 대한민국, 북한, 중국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공식 언어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한국인 [6]과 해외 거주 및 체류 중인 한인교포[7]한국계 동포들[8]이다. 국적이 한국도 아니고 한국계도 아닌 사람들이 한국어를 모어로 많이 사용하는 집단은 한국화교들이다.
글 쓰는 법으로 표음문자한글을 쓰며, 제한적으로 표음 문자인 로마자[9]표어문자한자를 사용한다. 한글이 창제되기 전에는 일본어처럼 한자를 기반으로 한 이두나 구결, 향찰 등을 표기 수단으로 삼았다.

제1 언어 화자 수는 대한민국과 그 외의 지역들을 모두 포함해 7,700~8000만 명 정도로 세계 13위 정도다.[10] 이 수치는 생각보다 높은 순위인데, 어느 정도인지 감이 안 잡히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인지도는 차치하고 모국어 화자 수로만 비교하면, 국제 언어로 평가받는 프랑스어보다 조금 작은 정도다.[11] 가끔 한국어를 쓰는 사람이 적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건 대한민국 내 한국어 화자 수만 따져서 적게 느껴질 뿐이지[12], 북한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화자도 포함해서 화자 수가 적은 것은 아니다.

권재일 전 국어원장에 의하면 21세기 내에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에 의해 법률, 과학 등의 분야에서 완전히 밀려나서 집안에서나 쓰이는 일상어로 전락할 수 있다고 한다.# 단, 상기 주장은 한국어 보존에 노력해야 한다는 맥락에서 나온 말이다. 현재 해당 언어로 논문이 작성되는 학술 언어로 발달한 언어는 50여 개 정도며 한국어도 당연히 포함된다. 한국어는 전산화되고 학술 언어로 활용되고 있으며 2007년에는 국제특허협력조약(PCT)의 국제 공개어로 공식 채택됐다. PCT의 국제 공개어[13]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한국어, 포르투갈어로 모두 10개다. 한국어의 위상은 소수언어라기보다는 다수언어의 말석 정도. 화자 수가 한국어의 반도 안되는 그리스어 등도 사멸 걱정은 할 필요조차 없다. 간단하게 생각해봐도 한 언어 안의 사투리도 잘 안 없어지는데, 언어 하나가 사멸하는 건 민족이 멸족되어야 가능한 수준이다. [14]

2 명칭에 대한 논란

한국인들은 특히 한글과 한국어를 혼동하는데, 한글은 손으로 쓰고 눈으로 읽는 문자(글)의 이름이며 한국어는 입으로 말하고 귀로 듣는 언어(말)의 이름이다. 알파벳, 한자, 가나영어, 중국어, 일본어의 차이를 생각해보면 쉽다.

북한, 중국 조선족, 재일동포들은 이 언어를 한국어라고 하기보다는 '조선어', '조선말'이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나이 든 어르신들도 가끔 조선말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이들에게서 한반도 지역이나 국가를 나타내는 명칭은 '한'이나 '한국'보다는 '조선'이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도 한국어를 가리킬 때 '조선어'라는 명칭을 쓰는 경우가 꽤 있다. 이는 가끔 혐한들이 현대 한국인에게 일부러 '조선인' 이라고 하는 사례처럼 비하하는 말로 쓰기보다는 그들이 한반도를 가리키는 지역명으로 '조선'을 쓰기 때문이며, 주로 학문적으로 한국어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이는 중국도 마찬가지로 중국서도 한반도를 가르켜 조선반도(朝鲜半岛)라는 단어를 쓴다.[15] 진짜 비하하는 말은 따로 있다.

그러나 북한이 '조선'이라는 명칭을 가져갔기 때문에 현대 한국인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조선어'라는 명칭이 달갑지 않으며, 북한 역시 '한국어'라는 말에 대해 비슷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어느 쪽도 지지하지 않는 일본 입장에서는 NHK처럼 아예 한글어(ハングル語)라는 잘못된 명칭을 쓰는 경우도 있으며[16] 그냥 한글, 혹은 '조선'과 '한국'의 의미를 모두 담을 수 있도록 코리아어(コリア語)이라고도 한다.그냥 코리안이라고 하면 안되는거야? '한글어'나 '한글'이라는 명칭은 문자언어를 혼동한 기괴한 명칭이지만, 남북한의 정치 상황과 일본의 대(對) 한반도 배려가 얽힌 시대의 산물인데, 엄밀히 말하자면 북한에서는 한글을 '조선글'이라 하므로 이마저도 중립적인 명칭은 아니다.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한국어 표기 병행이 쓰인 문서를 보면 朝鮮語(조선어)나 韓国語(한국어), ハングル(한글)로 문서마다 다르게 표기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ハングル(한글)은 제대로 ハングル(한글)항목으로 문서가 작성되어 있으나, 조선어가 한국어로 리다이렉트되는 나무위키와는 반대로 韓国語(한국어)를 클릭하면 朝鮮語(조선어) 문서로 리다이렉트 된다. 이는 곧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韓国語(한국어)문서가 따로 없다는 것을 알 수 있고, 韓国語(한국어)와 朝鮮語(조선어) 두 표기가 혼용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공식적인 경우고, 현실에서는 북한보다 한국이 일본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크기 때문에 일본에서 대중적으로 한국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는 朝鮮語보다는 韓国語가 더 많이 쓰인다. 어차피 공식적 자리가 아닌 이상에야 명칭문제에 관심 가질 사람도 없다.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은 '고려말'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굉장히 드물게 한말이라는 명칭을 쓰는 경우가 있는 모양. 물론 보통 사람들 사이에서 인지도는 바닥이다. 구한말

3 계통

한국어는 계통 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고립어language isolate에 속한다. 2010년대 극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의 검정 국어 교과서에서는 한국어가 알타이 제어에 속한다고 가르치고 있었고 많은 한국인이 이 설을 사실처럼 받아들이고 있지만, 이는 과거의 견해이고 현재로서는 비주류 학설에 불과하다.

현재 학계에서는 고구려어, 백제어, 부여어, 신라어, 예맥어 등의 사어들과 한국어, 제주어를 합쳐서 한국어족을 설정하고 이를 인도유럽어족, 일본어족, 중국티베트어족과 마찬가지로 완전히 독립된 어족으로 본다. 영어 위키백과 한국어족(Koreanic languages) 페이지 이 경우 역시 한국어는 자신의 어족에 속해 있는 언어가 자기 하나뿐인 고립어가 되지만, 제주어를 한국어와 다른 언어로 봐서 한국어족에 포함하기도 한다.[17] (이렇게 하면 제주어라는 친척이 있으므로 엄밀히 말해서 한국어는 고립어가 아니다!) 다만 제주어는 비록 언어로서는 한국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지만, 언어와 방언을 구분 짓는 요소는 언어의 형태뿐만이 아니라 정치적이고 문화적인 요소들 역시 포함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인식이 학계에서나 한국어 화자들에게서나 주류적인 인식은 아니라고 할 수 있겠다. 한반도 및 그 부속도서들은 아주 오랜 시간을 정치적·문화적으로 통일된 채 살아왔기 때문이다.[18]

알타이어족 설은 18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언어학계에서 통용되던 가설이다. 일단 소위 '알타이 어족'으로 불리는 언어들이 여러 공통점을 공유한다는 사실 자체는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지만, 알타이어족 설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이들이 하나의 조어에서 비롯된 언어들이라고 주장하는 한편, 알타이어족 설을 부정하는 학자들은 공통된 조어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기 때문에 비슷해진 것이라고 주장한다.

알타이어족 설은 한때 상당히 신빙성 있는 가설로 여겨졌지만 밝혀진 공통점 이상으로 같은 어족임을 입증할 수 있는 추가적인 증거가 발견되지 않아서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못하였다. 한국의 학계에서는 알타이 어족이 존재한다면 한국어가 알타이 어족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단 21세기에 들어와서 한국어의 계통에 대해 명쾌하게 단정을 내리는 학자가 있다면 그 전문성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과거 알타이어족 설을 주장했던 학자들이 연구가 깊어짐에 따라 점점 신중론으로 돌아선 것을 보아도 그렇다.

소수 견해로 드라비다어족에 속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특정 학자의 견해일 뿐이며 학계 일반에서는 무시되고 있다. 드라비다어족 설에 문제가 있는 까닭은 한국 언어학자 가운데 인도의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계통론까지 논한 학자가 없기 때문이다. 드라비다어족은 단일 언어가 아니라 현대 인도에서 수많은 언어로 나뉘어 있고, 그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 문헌이 남아있는 타밀어 정도가 연구대상이 될 수 있을 텐데, 옛 타밀어를 제대로 연구하고 저런 주장을 하는 한국 학자가 있는 것인지 의문이다.

사실 드라비다어족 설은 농사의 기원이 인도에 있다는 가정 아래 벼농사를 전수한 집단이 한반도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란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한 짜 맞추기에 지나지 않는다. 삼국유사 등에 나타나는 가락국(가야, 가라)에서 인도계 왕비(허황옥)를 맞아들였다는 기록도 그런 주장을 펴는 근거가 되는데, 인도와의 소수 인적 교류가 어휘적으로도 상당한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도 의문이며 그 영향이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북인도의 것인지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남인도의 것인지도 불확실하다.

또한, 드라비다어족 설에는 일제강점기 때 제기된 이른바 한민족의 남방, 북방혼합설의 그림자도 보이는데, 이 설은 일본학자들이 한국 신화에 나오는 난생(卵生) 설화 등이 타이완이나 동남아 등의 난생설화와 유사하다는 것을 가지고 한민족은 남방계에서 이주해 온 것이라는 주장을 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남방계, 북방계라는 개념 구분도 매우 모호한 것일뿐더러, 식민사학은 피지배 민족의 독자적 문화를 부정하고 외래기원과 문화 이식을 주장하기를 즐기므로, 드라비다어족 설에는 식민사학의 냄새가 없다 할 수 없다. 결국, 일본에서 흘린 떡밥 주워 먹기일 수 있다는 얘기.

일본에서는 몇 해 전 죽은 오노 스스무란 학자가 타밀어를 파서 일본어의 타밀어 기원설을 주장한 바 있는데, 한국에서도 타밀어 전문연구자가 최소한 둘은 나와 주어야 이런 주장을 내밀 수나 있을 것이다. 2001년에는 경희대 강사인 김지형 박사가 한국어가 중국티베트어족과 친연관계가 있다는 주장을 했으나 아직 인정받지는 못하는 듯하다.

이외에도 한국 언어학계의 원로 교수 중 하나인 故 김방한 교수는 한국어는 원시 한반도 어라는 미지의 언어와 알타이 제어 계통의 한 언어가 합쳐져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으며, 그 미지의 원시 한반도 어를 니브흐(길랴크)어로 추정했다. 故강길운 교수는 여기서 더 나아가 진짜 고유 한국어는 700~800개밖에 안 되며, 한국어에는 터키어, 만주어, 드라비다어, 아이누어 등이 혼재돼 있다고 주장했다.

경제력이 상위권인 국가들의 국가 공용어 가운데 유일한 고립어가 바로 한국[19]어다. 경제력 상위권인 국가 중 절대다수가 유럽이나 유럽인이 이주해 세운 국가(미국, 캐나다, 호주 등)라 대부분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를 쓰기에 벌어지는 현상이다. 지방까지 따지면 스페인 바스크 지방의 바스크어가 있긴 하지만 인구로 따지면 약 8천만 명 이상이 화자인 한국어는 겨우 100만 명 이하가 사용하는 바스크어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 세계에서 규모가 손꼽힐 정도로 큰 고립어 어족으로, 남북한을 제외한 곳에 거주하는 한국어 화자만 700만 이상에 달할 정도다.[20]

4 역사

한국어의 어휘들이 처음으로 역사기록에 등장한 것은 중국 전한 말기의 학자 양웅(揚雄)이 지은 《방언》에 실린 고조선지역의 어휘들이다. 그러나 아직 《방언》의 어휘가 현대 한국어의 어떤 단어에 대응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심하게는 현대 한국어와 별 상관이 없다는 의견도 있다. 이 외에도 《삼국지》의 <위지 동이전>에 여러 정체불명의 고유명사와 어휘들이 등장하지만, 역시 현대 한국어의 어떤 어휘에 대응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덕분에 이들 시기는 한국어의 역사에서 선사시대로 이해되며, 삼국시대가 되어야 비로소 역사시대로 취급된다. 중, 고등학교의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고대-중세-근대의 삼분법은 일제강점기의 연구자들로부터 시작된 매우 보편적인 시대구분법이나, 각각을 어느 시대에 산정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고대국어(고려 시대 이전) - 중세국어(10C초부터 16C말) - 근대국어(17C초부터 19C말) - 현대국어(갑오개혁 이후)로 나뉜다.

도움글 : 이재운의 우리말의 탄생과 진화

4.1 고대 한국어

한국어 어휘에 대한 기록이 시작되는 삼국시대~남북국시대까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80년대 이후의 연구에서부터는 고려시대인 13세기까지를 고대 한국어로 이해하려는 움직임들이 강하다. 고대 한국어 시대에는 고유어를 나타낼 수 있는 문자가 따로 없었기 때문에, 한자를 통해 적힌 이두, 구결, 향찰, 서기체, 기타의 어휘표기와 같은 극도로 제한된 자료로써만 비로소 그 형태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자음 방면에서는 유무성음의 구분 존재 유무, 유무기음의 구분 존재 유무, 반치음과 순경음의 존재 유무 등을 둘러싸고 학자들 간에 일치된 견해가 제시되고 있지 못하며, 모음 방면에서도 모음추이의 존재 유무 등과 같은 현안을 두고 십인십색의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니 물론 문법적인 면까지 접근하는 건 꿈같은 이야기였지만, 다행히 근년에 구결 자료가 발견되어 재조명되면서 비로소 문법적인 면을 조금씩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이때의 한자음 재구를 연구한 학자들은 이 시대의 한국어가 일본어와 유사한 개음절어였다는 가설까지 제시했다.[21] 이전에는 고구려어와 백제어, 신라어 자료가 각각의 국가에 전수되고 있었으나[22] 이 중 신라가 최종적으로 승리하면서 고대 한국어 중에는 신라어 관련 자료가 그나마 가장 많이 남게 되었다.

4.2 중세 한국어

계림유사에 적혀있는 고려어의 어휘 모음(출처1, 출처2)

계림유사에 기록된 단어 중에 가히, (도야지), [23]를 제외하면 현대 한국말과 완전히 똑같다. 그렇다고 해서 타임머신을 타면 고려시대 사람이랑 말이 잘 통할 지는 알 수 없지만.

신라경주 말이 중심이 됐던 시기를 벗어나 개성 말이 한국어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던 시기다. 시대 구분으로는 고려 시대~16세기 설과 13세기~17세기 설 두 가지가 대립하고 있다. 전자는 왕조 교체를 중시한 구분이고, 후자는 음운적 변화를 중시한 구분이다. 주류학계에서는 주로 후자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고려시대의 이두 문헌, 중국인고려를 방문하고 고려어의 어휘를 적은 《계림유사》, 한글 창제 직전에 명나라에서 만든 《조선관역어》 등이 초기의 자료로 활용되지만, 세종에 의한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는 문헌자료가 증가하기 때문에 매우 전면적으로 그 모습을 살펴볼 수가 있다. 이 시기에는 오늘날에는 존재하지 않는 자음(순경음, 반치음)이나 모음(아래아)이 존재하였으며, 평성, 상성, 거성의 성조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중세 한국어를 특징짓는 음운적 요소들은 17세기를 전후하여 소실되고, 오늘날과 유사한 형태가 된다. 또한 중국의 강력한 문화적 영향 때문에 이 시기 동안 고유어가 한자어로 많이 대체되었다.

네이버 국어사전의 옛말 항목 훈민정음 언해본 왕실의 한글 편지

이 시대의 한국어를 소리로 들어보자. 물론 그때 소리를 녹음했을 리는 없고, 현대 언어학적 연구에 의한 추정 음. 훈민정음 항목에서 국제음성기호로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소리냈을 수도 있다 하는 것이지, 진짜 그런진 모른다. 참고로 저 영상에서 아래아를 'ㅏ'로 읽었는데 아래아는 ㅏ 발음이 아니다.


중세국어의 특징을 몇 개 꼽아 보자면,

  • 소리

훈민정음 창제 시 등장한 글자를 그대로 쓰고 있다보니 소리의 바뀜을 생각치 못할 수 있는데 중세국어의 자음과 모음 발음법은 현재와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자음
    1. 중세국어에는 ㅎ탈락처럼 ㄱ탈락 현상이 있었다. 또한 ㄱ과 같은 어금닛소리 계열인 ㅇ이 오히려 목구멍소리인 ㅎ의 형태 기본꼴로 나타나는 것을 통해 현재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ㄱ, ㅋ, ㅇ 음이 당대에는 목구멍 더 깊은 곳에서, 즉, 구개수음 등으로 발음되었을 지도 모른다.(배영환, 중세국어 후음 ‘ㅇ'에 대한 몇 가지 문제, 2011)
    2. ㅈ, ㅉ, ㅊ 다음의 이중 모음 항목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당시의 ㅈ, ㅊ 음은 지금보다 입 앞쪽의 잇뿌리에서 조음되었다. (이는 학계 통설이다.)
    3. 어두에 여러 자음을 함께 표기한 어두자음군이 나타나는데, 크게 ㅅ계, ㅂ계, ㅄ계로 나눌 수 있다. 어두자음군이 단순히 된소리 표기법인지 실제 그 음소를 모두 발음했는지는 아직까지 알 수 없다.
  • 모음
    1. 단모음 혹은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는 ㅐ, ㅔ, ㅚ, ㅟ, ㅢ 따위는 모두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을 수 있거나 하강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을 수도 있다. (핵모음이 ㅏ, ㅓ, ㅗ, ㅜ, ㅡ로 현재 ㅚ, ㅟ, ㅢ의 핵모음이 ㅣ인 것과 다르다.)
    2. ㆍ음가는 그 이름 아래아와 달리 ㅏ와 보다는 현재의 ㅓ와 가깝다. 또한 아래아라는 이름은 나중에 지어졌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원순모음화가 일어날 때 ㅡ는 ㅜ로 변하는데, ㆍ는 ㅗ로 변화하는 것을 통해 ㆍ와 ㅗ가 원순성 유무로 대립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ㆍ와 ㅗ의 혀의 자리가 같다는 것을 뜻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ㆍ가 소멸될 때의 그 음가가 비어두음절에서 ㅡ로, 어두에서 ㅏ로 합류하고 있어 대강 그 가운데 어디쯤에 ㆍ가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ㆍ의 음가는 /ʌ/ 와 /ə/ 사이의 어느 혀 위치에서 발음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3. ㅓ의 음가는 지금의 ㅓ보다 혀가 덜 들어가고 입을 더 적게 벌리는 소리, 즉 /ə/로 추정되지만 중설모음일지 좀 더 전설모음적인 요소를 인정하는지는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다.(김성규, 중세국어 음운론의 쟁점, 2009)
  • 8종성 법

받침에는 , , , , , , , (옛이응) 이렇게 8개만 허용한다는 규정. 간혹 가다가 용비어천가월인천강지곡에서는 반치음이 쓰이기도 한다. 이것이 근대 한국어에서는 7종성 법으로 바뀌고 현대에서는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라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를 쓰고 있다.(ㅅ은 ㄷ에 흡수됐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ㅅ 받침이 /s/ 발음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바로 위의 중세 한국어 복원해서 읽기를 재생해 보면 '나라말싸미'처럼 들리는데 바로 이러한 추정에 근거하여 읽은 것. 중세 한국어의 옛이응은 현대 한국어의 ㅇ 받침과 같다.

중세 한국어를 외계어처럼 보이게 하는데 지대한 공을 끼친 표기법. 쉽게 말해 표음 적 표기법(소리 나는 대로 쓰는 표기법)으로, 이어쓰기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할 따름이니라'를 중세 한국어대로 쓰면 '할 따르미니라' 이런 식으로 쓴다. 소리 나는 대로 쓰고 띄어쓰기도 없이 세로로 표기되어 있는데다가 한자와 함께 뒤섞여 있으니 중세 한국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이 보면 이것이 한국말인지 아니면 한글로 낙서를 한 것인지 의심스러울지도.

  • 동국정운 식 한자 표기법

한자어 표기를 좀 더 중국어답게 이상적으로 표기하기 위해 만든 표기법. 반드시 초성 + 중성 + 종성으로 표기하며 받침이 없는 음절에도 ㅇ 받침을 붙였다. 여기서의 ㅇ는 현대 한국어에서 종성에 쓰이는 연구개 비음 /ŋ/가 아니라, 제로, 즉 음가가 없다는 의미다. 초성에서의 ㅇ를 생각하면 된다.[24] 덕분에 국어사 지식이 없는 사람이 '세종어제 훈민정음'을 '솅종엉졩 훈민졍음'으로 읽는 경우가 많이 있다. ㄹ로 끝나는 한자에 대해서는 ㅭ와 같이 ㆆ(여린히읗)을 붙여 입성 표시를 하였다. 본래 당시 중국어에서는 이를테면 '一(일)'을 [it]과 비슷한 발음으로 읽었는데, 조선에서는 'ᅙᅵᆯ[ʔil]'로 읽었으므로, 이를 바로잡고자 한 것.[25] 이것이 이영보래(以影補來).[26] 결국 一을 당시의 'ᅙᅵᆯ' 대신 'ᅙᅵᇙ'으로 쓰고 'ᅙᅵᆮ'으로 읽으라는 얘기였으나, 언중들이 어색하게 여겼던지 잘 지켜지지 않았다고 한다. 오늘날까지도 '一'을 여전히 'ᅙᅵᆯ[ʔil]'로 읽고 있는 것을 보면 그렇다.

  • 주격 조사 '가'가 없다.

인선왕후 어필에서 '가'가 등장하기 이전의 문헌들은 주격조사를 모두 이, ㅣ, ∅ 로 썼다. '이'의 형태는 현대국어처럼 주어가 자음으로 끝날 때 사용되었으며 'ㅣ'의 형태는 주어가 모음으로 끝날 때 사용되었다. 현대국어에서는 이 경우에 '가'의 형태를 쓴다. 마지막의 ∅는 표기 자체를 않는다는 의미로, 제로 주격 조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니까, '너가 그랬잖아=너 그랬잖아'로 썼단 얘기. 또는 이 경우에 'ㅣ'모음 뒤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주격 조사들이 사용된 용례를 따져보면 현대국어에서는 '공자가'라고 쓸 것을 '공재(공자+ㅣ)'처럼 사용했고, 모음 ㅣ가 겹칠 경우 영 형태로 나타났다. 지금도 이러한 형태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인칭 대명사인 내(나+ㅣ), 네(너+ㅣ), 제(저+ㅣ) 등이 그것.

  • 부사격 조사 와/과

중세 국어에서는 체언의 나열이나 접속을 나타낼 때 마지막까지 격조사 '와/과'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철수와 영희가 놀러 갔다'를 중세 문법으로 표기하면 '철수와 영희와과 놀러 갔다' 이런 식으로 표현을 했다.

  • ㅎ 종성 체언

ㄴ, ㄹ, ㅁ로 끝나는 고유어 체언에 등장하는 것으로, 16세기까지 가끔 보이다가 근대 한국어에 들어서 자취를 감추었다. 나라ㅎ, 돌ㅎ, 땅ㅎ, 살ㅎ[27] 이런 식으로 나타났다. 조사가 붙었을 때는 '나라해 이셔', '하늘콰 땅콰 돌콰', '나라히' 이런 식으로 표기했다. 다만 근대 한국어에 들어와서 자취를 감춘 것은 순전히 당대 표기법의 문제로 보이는 것이, 그 당시에는 7종성법과 소리나는대로 글을 써서 바로 믿쭈리 그어진 이 문장처럼 그를 쓸 때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경우가 마낟끼 때무니다.[28] 이런 표음주의 표기법에서는 ㅎ 종성 체언의 'ㅎ'이 격음화 등을 거쳐 다른 자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지므로 표기상으로 드러날 일이 잘 없기 때문에, 표기법에서 ㅎ 종성 체언이 사라지고 그것이 입말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간단하게 생각해서, 저 당시에 연철 표기가 아니라 분철 표기를 택했더라면(=소리를 그대로 옮기기보다는, 형태소 경계를 명확하게 보여 주는 형태의 표기법을 적용했다면) 앞서 말했던 '살'과 '살코기'는 각각 '삻'과 '삻고기'(…)로 표기되었으리라는 얘기다. 그랬더라면 오늘날의 표기에서도 ㅎ 종성 체언을 좀 더 자주 볼 수 있었을 것이다.

4.3 근대 한국어

17세기 이후 ~ 갑오개혁 이전의 한국어를 일컫는다. 현대 한국어의 전신이며, 오늘날 한국어의 음운적인 특성은 이 시기에 대부분 완성되었다. 특히 아래아의 고유한 음가가 사라지고(제1음절에선 ㅏ, 제2음절 이상에서는 ㅡ로 합류), 이중모음이었던 ㅐ, ㅔ, ㅚ, ㅟ 등에 모음조화가 일어나 단모음화되었으며, 자음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사극 등에 나오는 하오체가 이때 쓰였다.[29]

중세 한국어보다도 자료가 넘쳐흐르지만, 너무 많아서 비교적 관심을 덜 받는 시기이기도…

4.4 현대 한국어

갑오개혁 이후 ~ 현재의 한국어를 말한다. 이 시기에는 음운적 변화보다도 외래 문물 유입에 따른 어휘나 문법적 표현의 차용이 두드러지는데, 특히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상당히 많은 외래적 요소가 한국어 안에 주입되었다. 조선총독부에 의해 1912년에 최초의 정서법이 공포되었으나, 중세 한국어에 기반을 둔 극도로 보수적인 표기였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고 여겨졌으며, 결국 조선어학회가 1933년에 제정한 정서법이 공인되어 오늘날까지도 표준어 정서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북한의 '문화어'도 사실 이 정서법을 기초한다.

같은 시대로 묶여있지만,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의 한국어 자료를 찾아보면 알아먹기가 아주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고, 5~60년대 한국어만 해도 상당히 문법이나 표현이 고풍스럽다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멀리서 찾을 것도 없이, 개신교 신자라면 개역 한글판 성경을 읽어보자. 불과 100여 년 전에 번역되었지만, 어투부터 시작해서 사용하는 어휘가 사뭇 다르다. 반면 영어는 현대 영어라는 틀 안에서 100년 전에 쓴 글이나 어제 쓴 글이나 느낌의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다. 심지어 영어의 경우는 16세기에 영국인들이 북아메리카로 오면서 쓴 기록도 쉽게만 읽힌다. 이것은 일본어, 중국어 등 비유럽 어 대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근대적 표기가 정착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덧붙이자면 억양 측면에서도 특히 서울말은 80년대 이후로 큰 변화를 겪었다. 7, 80년대 방송에 나오는 서울 말씨만 들어봐도 이는 쉽게 확인 가능하다. 서울 사투리랑 햇갈리지 말자

5 음운론

5.1 모음

현대 한국어에는 총 10개의 단모음이 있는 것으로 연구된다. 반모음으로는 /j/와 /w/가 있으나, 예외적으로 ㅢ의 발음 [ɰi]에서만 나타나는 /ɰ/ 반모음도 존재한다.[30] 자음과는 달리 1자 1음운의 형태를 보인다. 서울 방언이 아닌 지역 방언의 경우에는 아래에 서술된 단모음체계에 없는 음운이 약간씩 있다.

최근에는 노년층을 제외하고는 ㅔ와 ㅐ의 구별이 애매해지고 ㅚ와 ㅟ를 단모음이 아닌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추세로 가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7개의 단모음 체계를 가진다고 주장하는 설도 있다.[31]

5.2 자음

비교적 간단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는 모음에 비해, 자음은 초성·중성·종성에 따라 음성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서 일괄적으로 설명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대체로 타 언어와는 달리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없는 대신 평음·격음·경음의 3가지 대립이 존재한다. 평음인 파열음의 경우 초성과 종성에는 무성음, 모음과 유성 자음 사이에는 유성음으로 구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성으로 오는 모든 파열음은 조음기관을 개방하지 않는 불파음[38]으로 발음된다. 어두에 오는 비음 ㄴ, ㅁ은 비음성이 줄어들어 유성파열음에 가까워진다.

총 19개의 자음이 있는 것으로 연구된다.

가끔 모음과 모음 사이에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ɣ])으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예: 아기 → [ɐ.ɣi])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연구개 불파음([k̚])으로 발음한다.
모음 ㅣ가 결합하면 몇 가지 예외[39]를 제외하고는 치경구개 비음([ȵ])으로 발음된다. 어두에서는 비음성이 약해져서 [d]에 가까운 [n͊]으로 발음된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치경 불파음([t̚])으로 발음한다. 형태소간 경계에서 선행 형태소 마지막 음절의 종성에 오고 후행 형태소 첫 음절이 ㅣ 또는 ㅣ 계열 이중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일 경우 연음되는 과정에서 구개음화가 일어나 치경구개 파찰음([d͡ʑ])으로 발음된다. (예: 굳이 → [ku.d͡ʑi])
초성·모음과 모음 사이에는 치경 탄음, 종성에는 설측 접근음, 모음 ㅣ와 결합될 때에는 치경구개 설측 접근 음으로 발음된다. 다만 ㅎ 앞에 오는 ㄹ 받침은 예외적으로 탄음으로 발음된다.[40](例. 괄호 [kwaɾɦo])
어두에서는 비음성이 약해져서 [b]에 가까운 [m͊]으로 발음된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양순 불파음([p̚])으로 발음한다.
기식이 많이 들어가는 유기음이다. 유성음이 아예 존재하지 않으며,[41] 뒤에 모음 ㅣ가 붙으면 치경구개음이 된다. 영어처럼 후치경음([ʃ])으로 발음하지 않는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치경 불파음([t̚])으로 발음한다.
초성일 경우에는 '초성 부분에 소릿값이 없음'을 나타내며, 종성으로 올 때는 연구개 비음이 된다.
문화어에는 이것을 치경 파찰음([t͡s], [d͡z])으로 발음하지만 남한에서는 거의 치경구개음으로 발음한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치경 불파음([t̚])으로 발음한다.
그래서 표준어에서는 '자'와 '쟈'가 변별되지 않지만, 문화어에서는 변별된다.
기식이 많이 들어가는 유기음이다. 문화어에서는 ([t͡sʰ])으로 발음한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치경 불파음([t̚])으로 발음한다.
기식이 많이 들어가는 유기음이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연구개 불파음([k̚])으로 발음한다.
기식이 많이 들어가는 유기음이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치경 불파음([t̚])으로 발음한다. 단, ㄷ과 마찬가지로 형태소간 경계에서 선행 형태소 마지막 음절의 종성에 오고 후행 형태소 첫 음절이 ㅣ 또는 ㅣ 계열 이중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일 경우 연음되는 과정에서 구개음화가 일어나 치경구개 파찰음([t͡ɕʰ])으로 발음된다. (예: 쇠붙이 → [sø.bu.t͡ɕʰi])
기식이 많이 들어가는 유기음이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양순 불파음([p̚])으로 발음한다.
모음과 모음 사이에는 유성음이 된다. 또한 ㄹ 받침 뒤에 오는 ㅎ도 유성음으로 발음된다. 한편 뒤에 모음 'ㅣ'가 붙으면 무성 경구개 마찰음으로 발음한다. 모음 'ㅡ'가 붙으면 무성 연구개 마찰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모음 'ㅜ' 또는 [w/ 계열 이중 모음(ㅘ, ㅙ, ㅝ, ㅞ) 앞에 올 경우 일본어의 ふ(fu)처럼 무성 양순 마찰음([ɸ])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예: 후진 → [ɸu.d͡ʑin])
긴장도가 높은 발음이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연구개 불파음([k̚])으로 발음한다.
긴장도가 높은 발음이다. 종성에는 오지 않는다.
긴장도가 높은 발음이다. 종성에는 오지 않는다.
긴장도가 높은 발음이다. 종성에 오는 경우에는 무성 치경 불파음([t̚])으로 발음한다.
긴장도가 높은 발음이다. 종성에는 오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한국어 고유의 자음 음소 이외에도, 무성 순치 마찰음([f])가 일반 언중 사이에서 사용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주로 영어에서 들어온 외래어[42]를 중심으로 이런 현상이 늘어나고 있는데, 다른 외국어 음성([v], [θ] 등…)과 비교해도 유독 [f]가 한국어 언중들 사이에서 친숙하게 사용되고 있다. 뭔가 입에 짝짝 붙나 보다
그래서 [f]가 한국어 음소로 들어오는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외래어의 영향으로 고유 음소 목록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는 다른 언어에서도 일어났다. 그러나 완전히 [p]와 [f]를 구분하는지, 즉 [f]에 [p]와는 다른 독립적인 자질이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예를 들면 구분되어야 하는 '퍼포먼스'(performance)의 두 ㅍ를 똑같이 [f]로 읽어버리는 등.[43] 이에 대해서는 이 글을 읽어보면 좋다.
하지만 그리스어베트남어의 사례에서 보듯 ㅍ[ph]가 완전히 [f]로 바뀔 가능성도 없진 않다. 현재 그리스어와 베트남어는 유기파열음이 변해서 모두 마찰음으로 바뀌었다.

이들 자음을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양순음치경음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ㄴ*   
파열음ㅌ*ㄷ*ㅋ*ㄱ*ㅇ*
파찰음 (ㅊ)(ㅈ)   
마찰음ㅎ*  ㅅ* ㅎ* ㅎ* ㅎ*
접근음    (ㅣ) (ㅡ)
탄음      
설측접근음  ㄹ* ㄹ*   
  • ㅇ은 종성에 올 때만 연구개 비음으로 발음되고 초성에 올 때는 음가가 없다.
  • 유성음과 무성음이 대립하는 자음의 경우 무성음을 왼쪽에, 유성음을 오른쪽에 표기하였다.
  • 유기음과 무기음이 대립하는 자음의 경우 유기음을 왼쪽에, 무기음을 오른쪽에 표기하였다.
  • (*)표시는 해당 자음의 변이음으로 실현됨을 의미한다.
    • 무성 무기음(ㄱ, ㄷ, ㅂ, ㅈ): 어두에서는 무성음이지만 어중이나 어말에서는 유성음화된다.
    • 치경음(ㄴ, ㄷ/ㄸ/ㅌ, ㅅ/ㅆ, ㅈ/ㅉ/ㅊ) → 치경구개음: 전설 고모음(ㅣ, ㅟ) 또는 경구개/양순 경구개 접근음이 포함된 이중 모음(ㅑ, ㅒ, ㅕ, ㅖ, ㅛ, ㅠ)과 결합할 경우 치경구개음으로 바뀐다. 단, ㅈ, ㅉ, ㅊ의 경우는 어떤 모음과 결합해도 치경구개음으로 바뀐다.
    • 치경 탄음(ㄹ) → 설측 치경/치경구개 접근음: 종성에 오거나 종성 ㄹ 다음에 초성으로 올 경우 설측 치경 접근음으로 바뀐다. 단, 종성 ㄹ 다음의 초성 ㄹ이 전설 고모음 또는 경구개/양순 경구개 접근음이 포함된 이중 모음과 결합할 경우 설측 치경구개 접근음으로 바뀐다.
    • 연구개음(ㄱ/ㄲ/ㅋ) → 경구개음: 치경음 → 치경구개음과 조건이 동일하다.
    • 무음(ㅇ) → 성문 파열음: '일'(1), '이'(E), '오'(O)와 같이 일부의 경우 초성이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1'의 경우 성문 파열음이 독립된 음소로 존재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조선 시대에 'ᅙᅵᆯ'이라고 썼던 당시 표기의 잔재이며, 'E'와 'O'의 경우는 각각 2(二)와 E, 5(五)와 O가 발음상으로 변별되게 하기 위하여 힘을 줘서 발음한 결과 성문 파열음이 실현되는 것이다. 2의 2승, 2의 e↗승, e↗의 2승, e↗의 e↗승. 이외에도 40대 이하 화자들이 예전의 표기인 -ㅆ읍니다 어미를 발음할 때 ㅆ과 읍을 분별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이 발음이 나오기도 하고, 모음으로 끝나는 음절 뒤에 같은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후속할 경우(예: 시인, 우울 등) 마치 장음처럼 발음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강세를 줄 때도 무의식적으로 이 발음이 나오기도 한다.
    • 성문 마찰접근음(ㅎ): 무성 무기음 → 유성 무기음과 조건이 동일하다.
    • 성문 마찰접근음(ㅎ) → 양순 마찰음: 후설 원순 고모음(ㅜ) 또는 양순 연구개 접근음이 포함된 이중 모음(ㅘ, ㅙ, ㅟ, ㅝ, ㅞ)과 결합할 경우 양순 마찰음[ɸ])으로 바뀐다.
    • 성문 마찰접근음(ㅎ) → 경구개 마찰음: 치경음 → 치경구개음과 조건이 동일하다.
    • 성문 마찰접근음(ㅎ) → 연구개 마찰음: 후설 평순 고모음(ㅡ) 또는 연구개 접근음이 포함된 이중 모음(ㅢ)과 결합할 경우 연구개 마찰음으로 바뀐다.

6 방언

한국어사투리
북부육진 방언동북 방언서북 방언
중부황해 방언서울 방언경기 방언영동 방언
남부충청 방언동남 방언서남 방언제주 방언
해외중앙아시아 한국어중국 조선어재일 한국어미주 한인어

한국어의 방언 간 격차는 중국어의 방언이나 일본어의 방언적 차이보다 적으며,[44] 만일 중국식으로 한국어의 방언을 규정한다면 잘해야 '차차 방언'의 모임으로 규정되거나, 심하게는 제주 방언 정도를 제외하면 방언이 없는 지역으로 인정될 수도 있다. 한국어의 방언으로는 일본의 언어학자 오구라 신페이가 제정한 북부-중부-남부의 삼 구분에 제주도 방언을 추가하는 것이 관례화되어 왔으나, 오구라 이후에는 전면적인 방언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한반도 전역에 관한 방언 조사 및 세밀한 분류는 현재도 요원한 상태다. 2008년 이익섭 교수 외 네 분에 의해 한국 언어지도가 편찬되어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소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다만 시흥군의 해체[45], 도농통합 등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해당 방언지도의 기반이 된 행정구역 경계는 1970년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12월 제주어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레드북’에 등재됐다.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언어 5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한 위기에 처한 언어’(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라고 한다. 흠좀무.

6.1 표준어와 문화어

한국어는 분단국가라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크게 대한민국표준어북한문화어로 나누어서 별도로 표준화되었다. 하지만 양자는 방언 수준의 작은 차이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서로 별 문제없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세계적으로는 화자 수가 (문화어의) 2배를 넘고, 국제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 문화적인 영향력도 큰 표준어가 훨씬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때문에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한국어는 '대한민국 표준어'이다. 북한문화어는 부차적인 방언 수준으로 여겨지고 연구나 학습 면에서도 관심을 많이 덜 받고 있다.

동유럽이나 중국 등 옛 공산권에서는 문화어를 가르치고 배웠던 시절도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죄다 표준어를 배우고 있으며, 중국 조선어의 정서법이나 맞춤법도 원래는 문화어와 비슷했지만 남한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남한 표준어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고 있다.

위키백과의 경우만 해도, 각 언어별 위키의 예상 독자는 국적에 상관없이 해당 언어를 해석할 수 있는 사람들이기에,[46] Korean language로 편집된 위키 항목들의 내용 역시 특정 국가만의 Korean language에 따른 형태가 아닌, 대한민국식 표준어 맞춤법과 북한식 문화어 맞춤법에 모두 맞는 것이어야 하겠으나, 사실상 100% 한국의 표준어 맞춤법과 표기법을 따르고 있다. 북한식 문화어는 일부 개별 항목 초반부에 '본 항목명의 문화어 명칭은 이것'이라는 식으로 간단히 언급되기만 하는 정도다. 뭐 애초에 한국어 위키 이용자의 절대다수가 대한민국 사람들이니. 북한인이 위키를 편집하는 모습은 뭔가 어색하긴 하다. 김일성 항목에 대한 찬양 식 반달이 이루어진 사례를 보면 어느 정도 편집에 참여하는지도? 사실 미디어위키는 ko 외에 ko-kp가 별도의 언어 설정으로 있으니 한국어 위키백과는 남한측 화자들을 위한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6.2 중국 조선족 한국어

여러 한국계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쓰고 있으나, 표준어, 문화어 이외에 나름대로 어느정도 독자성이 있는 규범을 가지고 있는 것은 중국 조선어정도인데 남한 표준어와 북한 문화어가 절충되었다고 볼 수 있다.

7 한국어의 문법

7.1 난해한 표현법

파일:M4nNWBR.png[47]

하거나, 하거늘, 하거니, 하거니와, 하거던, 하거드면, 하거든, 하거들랑, 하거라, 하건, 하건대, 하건마는, 하건만, 하건, 하걸랑, 하것다, 하것마는, 하게, 하게끔, 하게나, 하게시리, 하겠-, 하고, 하고는, 하고도, 하고말고, 하고서, , 하고서는, 하고야, 하고자, 하고저, 하곤, 하관데, 하구나, 하구려, 하구료, 하구만, 하구먼, 하구면, 하군, 하기, 하기는, 하기로, 하기로니, 하기로서, 하기로서니, 하기로선들, 하기에, 하긴, 하길래 고만해 미친놈들아
이건 어간 '하-' 뒤에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합쳐진 단어들만 모아놓은 것이다. 게다가 '하겠-' 뒤에는 방금 쓴 양만큼의 어미가 붙을 수 있다. (예: 하겠거나, 하겠거늘, 하겠거니, 하겠거니와...)
거기에 반도의 미친 방언을 합친다면?

12c3e3931836e94d6d258fe9591b6099.jpg
[48]뭐야 이거 무서워… 잠깐, 하게체, 하오체가 빠졌는데? 하소서체는? 그런 건 우리도 안 쓰는데 외국인이 배울 필요는 없잖아 왜 우리도 미국인도 안쓰는 문법 배우잖아 '하냐'는? 다르십시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한국어는 명사에 조사를 붙이거나, 동사나 형용사에 선어말어미를 여러 개 붙여서 문법을 표시하는 교착어이다. 모국어이기 때문에 느끼지 못하겠지만, 사실 한국어 문법은 인도유럽어족을 모국어로 삼는 자들에게는 난해하다. 유럽이나 미국인의 경우 조사의 뜻을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 심지어 앞 문자에 받침이 있느냐 없느냐 때문에 조사의 표기와 발음이 바뀌어 버린다.[49] 물론 많이 쓰이진 않지만 '~으로부터', '~로의' 등의 조사가 조합된 경우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조사를 이하생략해도 문제가 없다. 이 생략에도 딱히 특별한 규칙이 없으며 생략되었을 경우, 전부 다 문맥으로 파악해야 한다. 예를 들어 '나 밥 먹어?'라든지.

조사 또한 인도유럽어족 언어를 쓰는 사람들에겐 고역이지만, 선어말어미도 문제다. 대표적으로 '-어-'같은 경우, 앞 말의 '모음'에 따라서 ㅏ인지 ㅓ인지 정해지고, ㅂ 받침이 있는 경우 /ㅜ/소리가 첨가 된다. 그런데 거기에 불규칙이 있다. '곱다→고와'인데 '고맙다→고마워'인 것을 외국인에게 납득시켜 보자. 게다가 현대 표준어의 경우 선어말어미 '-어-'가 그냥 어미로 쓰이고, 억양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예뻐? 예뻐. 밥 먹었어? 밥 먹었어. 이는 '-요'도 마찬가지다. 언뜻 보기에 규칙이 없어 보이는 부분이 실제로 규칙을 따르기보다는 관용적으로 굳어진 부분이라서 그러한지, 아니면 쉽게 찾아낼 수는 없으나 무의식적으로 일정한 규칙을 따르는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50]

실제 훈민정음 창작 당시에는 이러한 문법형태소의 삽입 및 음운규칙이 꽤나 규칙적이었다. 선어말어미뿐만이 아니라 다른 성분의 활용도 그러하였다. 국문학자들이 집필한 초기 한글에 대한 연구서적을 보면 정교한 그 규칙들을 고찰하여 해제를 달고 있다. 다만 당시 언중도 그렇게 분명하게 발음하였는지는 녹음기가 없었던 이상 누구도 확신할 수 없다. 이러한 규칙들은 현대국어에서도 분명히 잔존해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나라의 언어나 예외는 창발하기 마련이라서, 한글 창작 당시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이 희미하게만 상존한다. 그러니 ㅂ은 불규칙으로든 규칙으로든 이 궤안에서 활용된다. ㅂ이 느닷없이 ㄴ으로 변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사실 우리한테도 전치사 고역이긴 매한가지다. 저렇게 반복무쌍하진 않지만

'높임법'의 경우는 어느 나라 말이나 다 존재하지만,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 문법 저변까지 침투해 있어서 어렵다. 현대에는 한국인들도 제대로 못 지켜서 '거스름돈 500원님이 여기 계십니다'라든지 '옷이께서 너무 예쁘십니다' 까같은 어색한 존댓말이 등장하기도 하고, 존댓말의 '수준'이 안 맞는 경우도 있다. '습니다'체와 '해요'체가 난잡하게 나오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문제는 외국인에게 존댓말을 이해시킬 때다. 문법책에서 '아주 낮춤', '예사 낮춤', '예사 높임', '아주 높임', '해체', '해요'체가 있다고 가르치지만 정작 한국인은 왔다 갔다 하니... '해체'와 '해요체'만 가르치자니 공식 석상이나 한국에서 직장을 구해서 면접을 봐야 되는 사람들은 곤란하다. 그렇지만 높임법 선어말어미의 경우 -시-로 통일 되어있기 때문에 간단하다. '하십니다' '하십니까' 하십시다' 등. 문제는 존댓말+각종 선어말어미가 붙는 경우이다. '오랜 친구를 만나셔서 기분이 좋으셨겠어요(-시-었-겠-어요)'

참고로 로망스 어 계통의 '굴절'과 한국어의 '선어말어미'는 다르다. 내용적 의미는 없이 문법적 정보를 담으면서, 시제가 나타나는 것이 비슷하지만, 언어학적으로 다른 것으로 취급된다. 일단은 굴절은 격(格)표시가 핵심적으로 어려운인데 한국어는 격조사로 쓰기 때문이다. 따라서 라틴어, 이탈리아어 등의 굴절을 보고 있노라면 아무리 선어말어미가 풍부한 한국인이라도 머리가 하얘진다. 게다가 굴절로 표현하는 시제도 한국어에 비해서 라틴어 계통 언어들이 훨씬 풍부하다. 현재-과거-미래/완료-미완료/가정 등을 섞어서 쓰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보면 한국어에 비해서 시제가 많고 격이 많아서 어렵다고 하긴 힘든데, 아무리 원어민이라도 시제 조합을 절대 다 외우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실제로 그들이 한 동사를 듣고 생각해 낼 수 있는 굴절이 한국어의 선어말어미 활용이 비슷하다. 인간의 는 다 거기서 거기이므로

다행이게도 한국어는 문법적 성(性)이 없다. 남녀가 쓰는 어투나 어휘가 상이할 수 있지만 모든 명사에 성이 있고, 대명사를 그에 맞춰 쓰는 거에 비하면 훨씬 간단하다. 물론 가족 호칭/지칭에 관해서는 노답이다. 호칭 항목 참조.[51][52]

한편 한국어는 주어를 생략주어는 없다하는 일이 많다. 웬만하면 대부분 주어를 생략하는데, 이는 주어를 꼭 넣어야 말이되는 영어, 프랑스어[53]와는 큰 차이로, 서양 사람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특히 애를먹는 부분이다.반면에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주어 찾느라고 머리가 아프다. 가주어는 정말 혐오스럽다 한국어는 맥락에 많이 의존하는 문화이자 언어이기 때문이다. 외국인이 이해 못한다는 '눈치' 문화나, '눈치껏' 하는 문화를 생각하면 알 수 있다. 다만 그리스어나 러시아어, 혹은 로망스 계 언어들처럼 굴절성이 강한 언어들의 경우 동사 인칭 변화를 통해 문장의 주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주어를 생략하곤 한다. 가령 스페인어의 Ahora no puedo ir a la casa. 나, 그리스어의 Δέν μπόρω να πάω το σπίτι μου τώρα. 터키어[54]의 Şimdi evime gitmeyebilirim. 라고 하면, 주어가 없음에도 puedo, μπόρω, gitmeyebilirim 이 poder, μπόρω, gitmek 동사의 1인칭 주격 - 터키어의 경우 가능형이라고 한다. '뭐뭐 할 수 있다.' - 변화라는 것을 보고 '지금 나는 집에 갈 수 없다' 라고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건 문법적으로 주어를 파악할 수 있으니까 생략하는 것이지, 한국어처럼 문맥에 맡겨놓고 생략하는 것과는 조금 다르다.

예를 들어 "어디 갔다 왔어?", "잠깐 요 앞에 갔다 왔는데요."는 아주 자연스러운 구어체 한국어이지만 이를 영어로 표현할 경우에는 반드시 you와 I라는 주어가 들어가야 해서,[55]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외국인으로서는 주어를 마구 생략하는 한국어가 대단히 혼란스럽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또 이웃한 일본어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모호하다. (예> 한국인은 쌀밥을 주로 먹는다, 한국인들은 쌀밥을 주로 먹는다.)"어머니 뭐 사 오셨어요?" "반찬 좀 사왔다." "몇 개요?"

하지만 생략이라고 그냥 막 하는 것은 아니다. 일단 1인칭 2인칭의 경우 생략이 많은데, 이는 대화를 하는 경우 쉽게 문맥 파악이 된다. 듣는 사람과 말하는 사람이 뭐에 대해 말하는지 굳이 안 말해도 되며, 필요한 경우는 한국어도 생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뭐 먹을래?'의 경우 질문이니 당연히 '청자'에게 하는 말이고, '짬뽕'은 질문에 대한 대답이니 당연히 본인에 대해 하는 말이다. 그리고 옆에 있던 친구의 경우 '난 자장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짬뽕과 대비를 강조하기 위해서 주어에 보조사를 붙여서 발어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무엇보다 문어를 보면 주어가 잘 나와 있다. 예를 들어 "반찬 좀 사왔다." 어머니가 말했다. 아들은 어머니를 보고 물었다, "몇 개요?" 2인칭의 경우 낮춤 법에 많이 남아있고 높임법인 '그대'나 '당신'은 거의 쓰지 않는다. '그대'는 노래에서 많이 쓰이고, '당신'은 부부관계 정도. 아니면 말다툼할 때 당신 말이야. 높여 불러야 하는 상대에게는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나 '호칭'이나, '직업'+님을 쓴다. "형 뭐 해?", "사장님 식사 하셨어요?" "선생님 이거 잘 이해가 안 돼요." 등.

동사 어미라는 문법적 장치를 통해 인칭을 드러낸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가령 '춥다'의 경우, '추워(1인칭: -아/어), 춥니(2인칭: -니), 춥대(3인칭: -대)'와 같이 어미에 따라 인칭이 갈린다고 보는 것인데, 서울시립대학교 목정수 교수의 견해가 그렇다. 한국어 문장에서 어미만큼은 절대로 생략될 수 없는바, 인칭 정보 역시 기본적으로는 어미에 표현되며, '나 추워, 너 춥니, 걔 춥대'의 '나, 너, 걔'와 같은 인칭 대명사는 수의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이기에 써도 되고 안 써도 된다는 이론. 하지만 '-아/어'의 경우 2인칭 질문에도 충분히 쓰일 수 있으며 '-니'의 경우 오히려 여성적인 인상을 준다. 본인이 남자라면 '추워?'를 많이 쓰는지 '춥니?'를 많이 쓰는지 생각해보자. '춥냐?' 그리고 '-대(하다고 해)'의 경우 3인칭을 생략할 때는 주어가 보편적이거나 특정하기 힘든 경우이다. 예를 들어 소문. '김 사장 박 비서랑 그렇고 그런 사이래.' 이런 말이 소문의 주인 귀에 들어가면 "누가 그런 소리를 해!"라고 주어를 찾는 것을 보면, 3인칭의 경우 주어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56] 영어에 딱히 의미 없는 it/they가 주어로 쓰거나, 수동태를 쓰는 것과 비슷하다. 'it is said that'이나 'it is found that'같은 것. 그렇지 않고 3인칭이 누군지가 명확한 경우는 표시해야 한다. 친구가 당신에게 뜬금없이 와서 '밥 먹었대.'라고 하면 100% '누가?'라고 할 수밖에 없다.

아무튼 일상적인 한국어에서 주어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는 적다. 심지어 주어가 생략되어야 어색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면 불특정 다수를 향한 명령문 같은 경우가 있다.너는 밥 먹기 전에 손을 씻어야 합니다 영어로 번역할 땐 you should면 쉽게 번역되는데 one should나 it is advised that 같은 억지 문장을 만들어버리는 참사가 자주 벌어진다.

한국인들도 일상 언어생활에서는 조사를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요즘은 영어의 영향인지 조사를 씹어 먹는 경우도 많아졌다. 조사만 제대로 쓸 수 있어도 어디 가서 한국어 좀 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조사의 개념이 없는 굴절어고립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한국어가 배우기에 몹시 어려운 언어이다. 많은 언어에서 명사와 연결되는 단어/형태소들은 해당 언어가 모국어인 화자가 아닌 경우 매우 어렵게 느껴진다. 한국어의 조사, 인구어의 정관사/부정관사와 전치사, 라틴어의 전치사와 단어 변화, 몽골어의 소유접미사, 중국어의 양사의 사용 등.

미 국무부 외국어 직무수행 평가서에서도 분석대상인 69개 언어 중에서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와 함께 초고난도 언어(superhard languages)로 지적되었고,해당 보고서 PDF 자료 [57] 미국 국방부 언어교육원 외국어 센터(Defence Language Institute Foreign Language Center : #)에서 가르치는 외국어 중에서 가장 어려운 언어의 하나로 꼽혔다.[* 이 역시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등과 함께 가장 어려운 category 5이다. ##

참고로 가장 쉬운 category 1은 스페인어, 이탈리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등] 가장 큰 이유는 어순의 차이로, 유럽 언어에서는 어순이 주어+서술어+목적어 순이지만, 한국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 순이다. 더 나아가 한국어는 그나마 있는 주어도 생략하는 일이 많다.

하지만 터키어일본어는 똑같이 경어라는 개념이 있고,[58] 어순(터키어, 일본어, 한국어 다 주어+목적어+동사)과 문법 체계가 꽤 비슷해서, 터키인들이나 일본인들, 몽골인들은 그래도 다른 외국인들보다 쉽게 한국어를 익힐 수 있다. 물론 그들에게는 발음이 가장 관건이지만.

어차피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말"이라는 것은 언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현재 어떤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소 허구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인에겐 일본어는 가장 배우기 쉬운 언어지만, 영어권 사람들에겐 매우 어려운 것처럼 말이다. 대체로 모국어와 비슷할수록 쉽고, 다를수록 어려워진다. 그러니까 한국인들은 사실상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언어를 의무교육으로 배우는 것이다. 농담이 아니고 영어와 아랍어(또는 영어와 독일어)를 동시에 초등학교부터 의무교육으로 똑같이 고르게 배운다고 가정하면 한국인들의 평균 영어실력이 평균 아랍어 실력보다 나을 거라고 말할 수 없으며, 심지어 영어 실력이 아랍어 실력보다 떨어질 거라는 의견도 있다. 영어 문서 참조.

일본어와 정반대로 말끝을 아주 확실하게 끝내는 것이 올바른 어법이며 이를 지키지 않고 말끝을 안 끝내면 반말처럼 들리기 때문이다. (예: '밥을 먹지 않으면...'(X) → '밥을 먹어야 한다', '밥을 먹지 않으면 배가 고프다') 그래서 일본 문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 엔하위키 특성상 말끝을 확실히 하지 않고 일본어처럼 흐리는 문제가 내부에서 심하게 지적되었고, 리그베다 위키 시절에 이에 대한 개선 작업을 진행해서 리그베다 위키와 그걸 이어받은 나무위키에서는 초기 엔하위키로 불리던 시절과 달리 문체가 많이 달라지게 되었다.

7.2 띄어쓰기

한국어 화자들이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띄어쓰기다. 심지어 신문 기사들에도 띄어쓰기를 틀리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고, 교과서나 각종 책에도 띄어쓰기가 잘못된 사례[59]가 부지기수다. 제일 속 편하게 띄어쓰기를 잘 안 틀리는 방법은 띄어 써야 할 것 같은 곳은 죄다 띄어 쓰는 것이지만[60], 그럼에도 띄어쓰기 규정 내에서도 많은 예외가 존재하기 때문에[61] 많은 사람이 애를 먹는 요소 중 하나다. 외자를 연달아 띄어 써야 하는 상황이 오면 내가 틀린 게 아닌가 의심부터 한다.

특히 북한에서 사용하는 문화어와 조선족이 사용하는 조선어 등의 띄어쓰기는 한국어의 띄어쓰기 규정과는 다르게 규정되어 있으므로[62], 앞으로 띄어쓰기 관련 표준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前 국립국어원장도 띄어쓰기가 자신 없다고 시인했다. 이 분이 띄어쓰기 못하는 것을 위안 삼아선 안 된다. 꾸준히 정진하자

7.3 기본 정서법

중세까지는 여느 한자문화권 국가의 언어처럼 동아시아 식 정서법을 쓰고 있었으나, 현대 한국어 맞춤법은 동아시아 전통 정서법과 서양식 정서법을 절충한 형태로 바뀌었다. 특히 가로쓰기의 경우는 서양식 정서법에 더 가까운 형태가 되어 있다.

아래는 정서법 중, 조판 방식과 결정적으로 관련이 있는 가로 쓰기, 세로쓰기 등의 '쓰기 방식'에 대한 서술이다.

한국에서 정서법의 변화는 가히 파란만장하다 할 만하다. 특히 이웃나라 일본에 비하면 더 그렇다. 일본은 자국의 근대초기에 확립된 정서법을 아직 따르고 있다. 알다시피 한문이 주로 쓰였을 때인 조선시대 때까지만 해도, 우측에서 시작하는 세로쓰기였다. 그때에 간간히 발견되는 한글 서간들의 정서법도 그랬다. 지금 우리가 쓰는 한글이 사실은 우측 시작 세로쓰기를 중심으로 조형되었다는 것은 훈민정음만 보아도 즉시 알 수 있는 엄연한 사실이다.

지금의 정서법인 좌측시작 가로쓰기는 상당히 빠른 시기에 최초로 사용되었다. 보통 1895년 국한회어로 간주한다. 이 사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대역사전으로, ‘국문을 한자나 한문으로 풀이한 말 모음'을 뜻한다. 이 시기 그리고 그 이후에도 다른 사전들은 세로쓰기를 하였는데, 이 사전은 독특하게도 본문까지도 가로쓰기를 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연구 성과들을 참고하라) 아주 이른 시기에 좌측 시작 가로쓰기를 시도한 이 사전이 그 이후 정서법에 미친 영향은 안타깝게도 크지 않았다. 세간에서는 여전히 우측 시작 세로쓰기를 하고 있었고, 한국전쟁 이후에나 적극적으로 좌측시작 가로쓰기가 쓰였다.

1896년 창간된 독립신문만 해도 우측 시작 세로쓰기였다.[63]

근대 초 일제강점기 때 만해도 책 또한 지금 기준으로는 뒤에서부터 쓰이는 식으로 철되어 있었다. 당연히 지금 기준으로는 뒤에서부터 읽어나가야 한다. 이 시기 책은 그동안 조선시대 때에 있던 책과는 다르게 인쇄기에서 나오던 책으로,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책의 형태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이다. 이때 출판물 시장에서 일본 출판물의 영향은 지대하였고, 정서법도 그것의 기준으로 설정되어, 지금도 일본에서는 출판물의 주요 편집 방식인 이단 우측에서 시작하는 세로쓰기가 굳어졌다.

6.25 동란이 한창일 때에는 당연히 일반적인 서적 출판이 쉽지 않은 상태였지만, 이 시기에 눈여겨볼만한 출판물 중에 삐라가 있다. 세로쓰기도 많지만 가로쓰기를 한 경우도 상당하다.

그러다가 한국전쟁 이후에, 출판물들에도 지금 기준으로 앞에서부터 읽어나가는 좌측에서 시작하는 세로쓰기가 아주 드물게나마 등장하게 된다. 그때에도 신문은 여전히 우측 시작 세로쓰기가 주류였는데, 그래도 우측 시작 세로쓰기가 완전히 굳어졌나 싶은 시점에서 좌측 시작 세로쓰기가 드물게나마 등장하고 있었다는 것은 특기할 만한 사실이다. 기실은 이 시기 조판방식에 대한 연구는 희박한 편이다.

한국전쟁 이후에 출판된 도서에서는 드물지 않게 좌측 시작 가로쓰기!가 시도되고 있었다. 80년대 들어서는 좌측에서 시작하는 가로쓰기가 일반적인 문서에서 우측 시작 세로쓰기[64]를 조금씩 밀어내기 시작했다. 그러나 초기에는 번역서이든 아니든 많은 책들, 예컨대, 문학서적[65], 일부잡지[66], 무협지는 세로쓰기를 고수했다. 80년대 후반에야 우측 시작 세로쓰기가 큰 흐름이 된다. 근대적 출판문화가 시도되었던 1910년대부터 거의 70년 만에, 정서법 자체가, 말 그대로 180도 회전한 것으로, 이렇게 급격한 변화는 문자 생활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조선시대 책들과 비교해보면 우리는 완전히 반대로 글을 읽고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책도 일본과 다르게 지금기준으로 지금과 같이 앞에서 읽어나가는 형태가 굳어지게 된다. 그러나 좌측 시작 가로쓰기가 대세를 이루는 가운데, 일부 잡지 등에서는 여전히 우측 시작 세로쓰기가 유지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어서 컴퓨터, 특히 PC의 보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우측 시작 세로쓰기는 설 자리를 크게 잃게 된다. PC의 글 읽기 및 글쓰기 환경은 좌측 시작 가로쓰기에 최적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PC가 미국에서 발명되었기 때문에, 정서법도 영어가 쓰는 좌측 시작 가로쓰기에 최적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거기다 출판과정이 디지털화되면서 세로쓰기보다는 가로쓰기가 디지털 환경에 더욱 잘 맞았기 때문에 출판물에서 가로쓰기는 그야말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어 버렸다.

결국 1999년 조선일보와 세계일보가 마지막으로 세로쓰기를 포기하고 좌측 시작 가로쓰기로 전환함으로써 한국의 주류 출판문화에서 우측 시작 세로쓰기가 소멸되었다. 대중들이 좌측부터 가로로 읽어나가는 것을 익숙해하자, 기존 자판을 포기하고 바꾼 것이다.

이렇게 보면 지금 우리에게는 너무나 익숙한 좌측 시작 가로쓰기가 확고하게 된 역사는 2000년대부터로 보아야 하므로 극히 짧은 것이다. 지금 이글은 현상들만 나열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정서법이 그렇게 바뀌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추가바람.

7.4 사이시옷

사이시옷 문법도 한국어에 입문하는 수많은 외국인은 물론 한국인 마저 빡치게 하는 대표적인 한국어 문법이다. 주요 문제점은 예외가 너무 많고, 지나치게 어렵다는 점. 이로 인해 사이시옷 폐지 여론이 적잖이 늘고 있다.

8 존비어(높임법, 낮춤말) - 친소어(존중어, 평어) 체계

[67]

자세한 것은 한국어의 존비어 문화[68] 참고.

8.1 존비어-친소어 체계의 구조

원칙적인 존비어-친소어 체계

격식체비격식체
합쇼체해요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해체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존비어-친소어 체계

존댓말 격식체존댓말 비격식체
합쇼체해요체
반말 해체+명령형 종결어미 '~라'반말 비격식체
해라체해체

'하오체'와 '하게체'는 현재 잘 쓰지 않는다. 이전 문서는 해라체는 잘 쓰지 않는다고 했으나, 구어체로서의 해라체는 분명 그렇지만, 통상적인 문서에서 쓰는 어투를 해라체로 보는 견해에서는 현재도 여전히 쓰인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통상적인 문서에서 나오는 해라체고어체로 번역된 성경 및 위인들의 격언 및 명문장에 나오는 경우가 대다수라 흔한 문체는 아니다.

한국어에서 존댓말의 실질적인 의미
(존중어) 1. 대화하는 사람의 관계가 친밀하지 않을 때, 서로 정중히 하는 말[69]
(높임말) 2. 손윗사람에게 하듯 사람이나 사물을 높여서 이르는 말[70]
한국어에서 반말[71]의 실질적인 의미
(평어[72]) 1. 대화하는 사람의 관계가 분명치 아니하거나 매우 친밀할 때 쓰는, 높이지도 낮추지도 아니하는 말[73]
(낮춤말) 2. 손아랫사람에게 하듯 낮추어 하는 말[74]
소통 관계존댓말반말소통 형태총칭
친소(親疏)관계존중어평어대칭친소(親[75][76])어 등
상하(上下)관계높임말낮춤말비대칭존비(尊[77][78]어 등

[79]

사실은 그냥 사적인 관계, 공적인 관계에 따라 말을 사용하면 참 편하겠지만…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나이와 지위에 따라 말투를 다르게 하는 습관이 발달해서 그로 인한 충돌이 많다. 예를 들면, 나이 많은 둘째 며느리가 나이가 적은 첫째 며느리에게 '형님'이라고 불러야 한다든지 등.

자세히 보자면 이렇게 볼 수 있다.

한국에서 공적인 관계에서의 친소어 체계(주로 처음 보는 관계일 경우)

어른 ↔ 어른
존중어(주로 해요체)

한국에서 공적인 관계에서의 존비어 체계

어른 → 미성년자미성년자 → 어른
낮춤말(존중어를 쓰기도 함)높임말

한국에서 사적인 관계에서의 존비어 체계(사적이라기보다 서로 직장 동료, 직장 상사 등 관계가 가까울 때에 가깝다.)

지위가 높은 사람 → 지위가 낮은 사람지위가 낮은 사람 → 지위가 높은 사람
낮춤말높임말
나이가 많은 사람 → 나이가 적은 사람나이가 적은 사람 → 나이가 많은 사람
낮춤말높임말

가끔 사용하기가 조금 모호한 경우도 있다. 지위가 낮고 나이가 많은 사람과 지위가 높은 나이가 적은 사람과의 관계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대체로 한국인은 이런 상황을 불편하게 생각하거나 피하려는 경향이 상당히 강하다. 참고로 전통예법에 따르면 이런 경우는 상호존중이 원칙이다. 대표적으로 친족관계에서 나이가 어린데 항렬이 높은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나이 많은 아래 항렬은 상대가 항렬이 위니까 높이고, 나이 적은 위 항렬은 상대가 나이가 위니까 높이는 것이 원칙.

예를들면 나이가 어느 정도 든 사람을 신입사원을 뽑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든가, 군대에 갓 전입한 신병이 30살이 넘으면 나이가 어린 선임들이 상당히 불편하게 생각한다는 것 등이 있다. 나이 많은 신병의 경우는 전문연구요원 준비하다가 떨어진 과학자들이나, 특이한 경우로는 한국에서 그 나라 의사 면허가 인정되지 않는, 외국에서 의사 활동을 하다가 의무병으로 자원입대한 경우 등이 있다.

한국에서 상하관계가 엄격하지 않은 곳이라면, 보통 친소어체계로 돌아간다.

나이가 많은데 지위가 낮은 사람 → 나이가 적은데 지위가 보다 높은 사람나이가 적은데 지위가 더 높은 사람 → 나이가 많은데 지위가 더 낮은 사람
존중어존중어

한국에서 군대나 그에 준하는 엄격한 상하관계를 맺은 쪽에서는 보통 친소어체계로 돌아간다.

나이가 많은데 지위가 낮은 사람 → 나이가 적은데 지위가 더 높은 사람나이가 적은데 지위가 더 높은 사람 → 나이가 많은데 지위가 더 낮은 사람
존중어존중어

반면 다른 언어권은 한국어의 존댓말에 해당하는 어투의 경우 여러 존칭(영어를 예로 들어 mr, maam, sir 등) 을 부여해 주거나 말이 길어지기는 하지만[80] '높게 떠받든다.'이라기보다 '거리를 두며 존중한다'는 의미에 가깝다. 즉, 다른 언어권은 친소어체계만 있을 뿐이지, 존비어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다른 언어: 공적이거나 처음 보는 관계

나 → 타인타인 → 나
존중어존중어

다른 언어: 사적이거나 친밀한 관계

나 → 타인타인 → 나
평어평어

9 외국인들이 보는 한국어

한글이 쉽다고 했지 한국어가 쉽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pic4.JPG

뭐야 이거 동아시아의 3관왕
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와 정 반대편에 있는 서유럽 영국의 언어인 영어를 쓰는 미국인의 관점이니 동아시아 언어들이 당연히 제일 이국적이여 배우기 어렵다는 말이 설득력있다

반대로 중국,일본,한국인들에게 가장 어려운 언어들은 역으로 독일어, 프랑스어, 라틴어 등등이 존재

영어 사용자가 배우기 제일 힘들다는 4개의 언어 중 하나. 한자문화권의 영향도 있고, 막상 한국인에게 중국어/일본어는 그렇게까지 배우기 힘든 언어는 아니다.

서양인들은 일본어와 한국어를 듣고 잘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중국어는 워낙 억양이 쎄서 잘 구분되지만[81],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 억양이 약한 편에, 비슷한 단어[82]들이 존재하며, 문장 어미도 상황에 따라 쓰임새 차이는 있지만 '~다', '~요', '~네', '~나' 로 끝나는 말들이 많다. 동아시아에 대해 어지간히 지식이 있는게 아닌 사람들은 두 국가의 노래를 들어도 잘 구분을 못하는 경우가 다수다.[83]

한국어를 듣는 외국인들은 생각 외로 "딱딱하고 화내는 것 같은 느낌"을 많이 받는다고 한다. 한국인 2명이 막 싸우고 있길래 말리러 갔더니, 그냥 점심 뭐 먹을지 이야기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걸로 싸우기도 하지않나

한편으론 부드러워 듣기좋다는 의견도 있다. 비정상회담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에 출연했던 독일인 출연자 다니엘에 의하면 한국어를 못할당시에 ~는데, ~고 등의 어미가 특히 기억에 남았다고.

억양이 따로 없는 한국어의 특성상 무뚝뚝하게 들릴 때도 있다고 한다.동남 방언화자와 마주쳤나 보다. 밥 뭇나? K팝 팬들의 경우 언니, 오빠 등의 한류유행어의 어감이 귀엽다는 반응도 있다.

이런 상반된 평가들이 나오는 데에는 아무래도 강한 악센트를 지닌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북한 방송을 통해 문화어를 주로 접하는 이들과 연예인들이 주로 나오는 드라마, 음악 프로그램, 예능 등으로 한국어를 접하는 이들이 지닌 이미지의 차이 때문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84]

유럽어권 사람들에게는 한국어의 난이도는 중국어일본어보다 쉬운 편이라고 한다. 기본 어순이 달라 직독직해, 직청직해가 어렵다. 중국어는 한자와 성조 때문에, 일본어는 마찬가지로 한자와 음독, 훈독 때문이라고 하며, 한국어는 발음이 힘들지만 한글이 쉬워서 그나마 쉽다고 한다.

참고로 일본어에서 한자를 사용하는 경우 '음독'과 '훈독'으로 나뉘며, '음독'은 또 '당음', '한음', '오음' 등으로 나누어지고, '훈독'은 대체로 규칙이 정해져 있지만, 여기에도 예외가 많다. '훈독'은 고유어를 한자에 억지로 집어넣기 위해 꼼수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해 보일 수 있다. 마치 犬로 쓰고 '견'이 아닌 '개'로 읽는 것처럼 한자어에서도 '훈독'으로만 읽는 경우도 있고 '음독'과 '훈독'을 섞어 읽는 것도 있고, 더 어려운 경우 쓰는 순서와 반대로 읽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음독'도 만만치 않아서 '오음'이나 '한음'이나 '당음'으로 읽는 한자어가 있고, 심지어 섞어서 읽는 것도 있다.

게다가 고유명사로 들어가면 거의 제각각이라 현지 일본인조차 인명 등은 후리가나 없이는 못 읽을 정도이며 원래 단어는 훈독으로 읽지만 두문자는 음독으로 읽는(이를테면 大阪은 오'사카'라고 읽으나 이게 약어가 되어 타 단어와 합성될 때는 또 달라진다[85]). 중국인이나 한국인은 그나마 한자어를 상당부분 익히고 들어가고, 한자 자체가 교육과정에 있으니 진입하기가 그나마 나은 편인데다 언어 구성이 비슷하지만, 생판 처음 일본어를 익히는 외국인의 경우 그러한 어려운 점들 때문에 한자나 한자어를 읽을 때 딱딱 떨어지는 공식이 별로 없어서 우격다짐으로 외워야 할 수 밖에 없다. 한국인들도 이 정도를 넘어가면 매우 귀찮아져서 한자만 있을 때에는 한국식으로 읽어 버리기도 한다.

아무래도 중국어와 일본어는 문자언어와 음성언어가 서로 분리된 경향이 강한데 비하여 한국어는 비록 맞춤법 등의 여러 예외적 사항을 제외하면 문자언어와 음성언어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덕분일 것이다. 사실 표의문자의 특성상 어쩔 수 없다. 또한 일본어의 경우 가나문자가 있기는 하지만 한자도 굉장히 비중 있게 사용하며, 한자의 경우 훈독을 버리지 못한데다가 가나 문자가 한 문자에 한 발음이 배정되어있어 한자가 없으면 길어지기에 중국어보다 더 복잡하게 사용된다. 소리를 적는 표음문자만을 사용하는 한국어는 그나마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차이가 적어 일상적으로 회화를 하고, 동시에 한국어의 소리를 들으면서 어휘력 등의 한국어 실력을 키우는 것이 일본어와 중국어에 비교하여 좀 더 수월하기 때문일 것이다. 일본어나 중국어의 경우에는 아무리 일상적인 회화생활이 가능하다고 해도 한자를 익히지 않으면 일상적인 문자생활도 제대로 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문자언어와 음성언어의 일치 되는 한국어>중국어(한자)>일본어(한자+훈독,음독 등 불규칙한 독음) 순으로 볼 수 있다.[86] 전체적인 난이도는 일본어>>중국어>한국어 순이라고 하며, 미국 정부 언어교육기관인 FSI에서 가장 어려운 언어는 일본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표에 따르면 한국어는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와 함께 가장 어려운 카테고리 5지만 일본어에는 동 카테고리에서 좀 더 어렵다는 걸 뜻하는 *표가 붙어있다. 즉, 미국인에게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언어는 일본어다. 하지만 가장 많이 접할 수도 물론 아무리 *표가 붙었어도 같은 카테고리 안에서 *표가 있는 언어와 없는 언어의 난이도 차이가 카테고리 4의 *표가 있는 언어와 카테고리 5의 *표가 없지만 카테고리가 더 높은 언어의 난이도 차이보다는 적을 것이다. 만약 카테고리 4의 *표 있는 언어와 카테고리 5의 *표 없는 언어의 난이도 차이가 카테고리 4 안에서 *표가 있고 없는 언어들의 차이보다 적었다면 차라리 카테고리 4의 *표 있는 언어를 5로 집어넣었을 것이다.

다만 '문자언어'는 생각하지 않고 '음성언어'에 한정한다면 이들 중 가장 쉬운 건 아마 중국어가 될 것이다.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보이는 동사와 형용사 변화, 조사 등이 중국어에는 없고 기본 어순이 주어+동사+목적어로 같아서 직독직해, 직청직해가 좀 다 수월할 테니까. 그 대신 성조가 참고로 주어+동사+목적어 기본 어순, 성조가 있는 점, 언어유형학에서의 고립어[87]인 점에서 중국어와 공통점이 있는 베트남어, 태국어, 라오스어가 카테고리 5보다 쉬운 카테고리 4에 속한다. 물론 링크에 있는 표에 의하면 태국어와 베트남어는 카테고리 4이지만 같은 카테고리 4에 있는 다른 언어들보다는 어려운 편에 속한다.

한국어가 한자를 쓰지 않아서 쉬운 점은 있지만 어려운 점도 있다. 대표적으로 동음이의어의 구별이 어렵다는 점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 [88]

해외 사이트 등지에서 실제로 여러 언어에 도전하는 서양권 사람들의 얘기를 보면, 한중일 세 국가의 언어 중 한국어가 가장 쉽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의외로 쓰는 것도 쉽고 발음이나 불규칙 활용도 하다보면 익숙해진다고 하는데, 가장 어려운 게 듣기라고 한다. 아무래도 발음 상 음운변동이 생각보다 잦은 한국어의 특징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89]

예를 들어 "어학연수 같이 갈지 생각해서 다음주에 연락줘."는 "어항년수 가치 갈찌 생가캐서 다음쭈에 열락쭤."로 발음된다. 어학연수는 ㄴ첨가 후 ㄱ의 비음화로, 같이는 구개음화로, 갈지는 된소리되기로, 생각해서는 거센소리되기로, 다음 주는 ㅅ첨가로, 연락 줘는 ㄴ의 유음화와 ㅈ의 된소리되기로 인해 발음이 다소 달라진다. 문제는 어학연수만 하더라도 화자에 따라서 '어항년수'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ㄴ을 첨가하지 않고 '어하견수'라고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는 거다[90].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은 두 발음이 같은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굳이 배우지 않아도 인식할 수 있지만 한국인들의 발음패턴에 대한 지식이 없는 외국인들에게는 생판 다른 단어처럼 들릴 것이다. 오히려 외국인들의 머릿속에서는 '어항년수'보다는' 어하견수' 쪽을 먼저 떠올릴 것이다.

우리야 익숙해져서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외국인이 듣기에는 글과 발음에 괴리감이 충분히 느껴질 것이다. 또 이런 발음의 변화가 불규칙하기도 하다. 예를 들어 비빔밥은 비빔으로 발음되는데 또 볶음밥은 보끔으로 발음된다. 보끔빱 김밥은 한국인도 김빱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 김밥으로 발음 한다 다만 이것은 한국어만 그런 게 아니라 다른 언어에도 이런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대표적으로 영어를 예로 들면 'rough'와 'dough'는 똑같이 ough이지만 발음은 비슷하지도 않으며 영어에는 이런 경우가 수두룩하다.

외국인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한국어 듣기 문제는 다음 3가지의 구분이다.

  • 어두, 어중에서의 예삿소리

어두에서는 통상적인 무성음 k, t, p, ch이지만 어중에서는 예삿소리 k, t, p, ch 등이 b, d, b, j 등으로 변하는 현상이 있어서 이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가 애매하다.
실제로는 알타이계 언어에서 이런 비슷한 현상이 있으며, 편의 상으로는 모음의 영향으로 유성음화되어 발음한다고 볼 수도 있다.[91]

사실 영어권 화자들도 어두에서 p,t,k 등을 거센소리pʰ, tʰ, kʰ 등으로 발음한다. 하지만 발음만 그럴 뿐 변별자질은 여전히 무성음, 유성음이므로 여전히 통상 무성음 k이나 거센소리 k나 그들에게는 똑같은 무성음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된소리는 기음을 내지 않는 무기음을 뜻한다. 어두 예삿소리는 약한 기음을 내며, 거센소리는 강한 기음을 내며, 된소리는 기음이 없다. 실제로는 불파음처럼 입술모양만 초성의 모양을 유지한 채 기음을 내지 않고 바로 모음을 발음하는 게 된소리로 볼 수 있다.
특이한 점으로는 거센소리, 된소리가 예삿소리에 비해 악센트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이 있다.

  • 어두
'(K계열)갈k'al(g̥al)-칼kʰal-깔k˭al',
'(T계열)달t'al(d̥al)-탈tʰal-딸t˭al',
'(P계열)불p'ul(b̥ul)-풀pʰul-뿔'p˭ul'
'(S계열)술Sʰul-쑬s˭ul'
'(J계열)줄t͡ɕ'ul(d̥͡ʑ̥ul)-출t͡ɕʰul-쭐t͡ɕ˭ul'
  • 어중
'(K계열)갈gal-칼k'al-깔k˭al',
'(T계열)달dal-탈t'al-딸t˭al',
'(P계열)불bul-풀p'ul-뿔'p˭ul'
'(S계열)술Sʰul-쑬s˭ul'
'(J계열)줄d͡ʑul-출t͡ɕ'ul-쭐t͡ɕ˭ul'

[92]

발음 구분은 어지간히 공부했다는 외국인들도 상당히 힘겨워하는 편. 다른 음운변동은 한국의 국어 교육과정에서 배우기 때문에 어떤 한국인이든 간에 중학교만 똑바로 다녔다면 설명해줄 수 있지만, 이 어두에서의 예삿소리 - 거센소리 - 된소리 음운 차이가 어떻게 다른지는 마땅히 배우지 않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왜 외국인이 '킴취'라고 하는지 이해를 못하고, 반대로 외국인들은 왜 한국인들이 'kimchi'를 '김치'라고 읽는지 이해를 못 한다. 또한 어중에서는 예삿소리 ㄱ,ㅂ,ㄷ,ㅈ계열이 유성음으로 변하고 어말에서는 불파음으로 변하는 등[93], 또한 그 이후에 ㄹ유음화현상, 비음화현상, K,T,P계열 어말불파음 뒤 자음 된소리현상[94], 구개음화, 단어별 'ㅣ'계열 모음 앞 'ㄴ'화 현상(예:솜/이불->솜/니불 등 어렵다.) 그러한 음성학적 원리를 외국인에게 몸에 학습시키기가 어려운 편이다.

한국어에서 어두의 예삿소리 - 거센소리가 '유성음-무성음' 차이가 아니기 때문에 외국인들은 달-탈 을 '탈-탈' 이라고 읽고, 많은 한국인들이 'dal - tal' 을 'tal - tal' 이라고 읽는다. 그래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의 발음 및 청해에서 가장 늦게 수정되는 부분이다. 특히 된소리가 외국인들에게 얼마나 이해시키기 어려운지는 [1] 참고.

문법적으로는 교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한국어 문법을 쉽다고 생각하고, 굴절어와 고립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한국어 문법을 매우 어렵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어간에 기계적으로 접사를 붙여 완벽한 의미를 만드는 교착어를 굴절어나 고립어의 관점에 억지로 끼워 맞추어서 이해하려 들면 위에 나온 사진처럼 끔찍한 장면이 펼쳐지게 된다. 여기에 교착어는 문장성분들의 위치 변동이 매우 자유로운 편이다보니 고립어 화자들에게는 매우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영어 화자들이 한국어 문법을 매우 어렵게 느낀다는 연구 조사가 나오는 것. 차라리 러시아어처럼 굴절어의 성격이 많이 보존된 언어 화자라면 문장성분들의 위치 변동이 좀 더 자유로운 편이라 끼워 맞추기라도 하겠지만 영어는 거의 굴절어의 성격이 퇴화되어 고립어에 가까워졌다.

그리고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국어를 공부하는 대부분의 외국인들이 어려워하고 잘 틀리는 것 중 하나가 보조사 '은/는'과 주격 조사 '이/가'의 용법 차이다. 이 문제는 한국인도 '은/는'이 주격 조사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는 걸 보면 한국인이라고 해서 쉽고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 조사 '은/는'과 '이/가'의 구분에 대한 논문도 있다. 간단하게 생각할 때,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술어를 아는 상황에서 주어를 묻거나 설명할 때는 '이/가', 주어가 알려진 상황에서 술어를 묻거나 설명할 때는 '은/는' 이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인들이 술을 마시거나 감탄할 때 '크~~~'를 발음하는 습관이 조금 이질적으로 들릴 수도 있다. 이는 일반적인 한국어 음가에는 없는 'x'에 해당하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을 내뱉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사람들은 잘 모르는 부분이다. 자세한 것은 ㅎㅎ 참고

9.1 일본

가끔 일본인들은 한국어가 독일어처럼 딱딱하고 군인같다고 한다. 대다수 일본인들은 북한의 뉴스 를 통해 한국어를 가장 많이 접했기 때문이다. 굥애하넌 자앙군님끠서넌 뵤옹사들을 치하하시였따 미녀들의 수다에서 손요를 제외한 각국의 출연자들이 전부 "다 싸우는 것 같다"고 하는 것을 보았을 때는 한국어의 발음 자체가 촉음이나 격음이 많아 어감이 부드럽지 않은 것 때문인 모양이다. 일반적으로는 질문을 할 때 말꼬리를 올리는 반면에 한국어 구어체에서는 질문을 할 때 말꼬리를 내리는 경우가 더 많아 어감은 그다지 부드럽지 않다. 경상도에 오면 기절할 것 같다. 한국어 욕설을 들으면 기절할 것 같기도 하다. 뉴스에 출연하는 북한 아나운서들의 고압적인 어조로 이런 오해를 사게 되었다.

일본으로 건너간 한국 드라마도 케이블 이외에는 모두 일본어 더빙으로 방영하기에 대화체는 접하기 힘들다. 욘사마(배용준)가 일본을 방문하면서 이런 이야기는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일본인들이 한국을 여행하다 한국인과 처음 대화했을 때 의외로 부드러워서 놀란다고 한다.[95][96]

그러나 이는 조선중앙TV에서 일부러 이렇게 호전적인 어조로 말하기 때문에[97][98], 중부 방언에 속하는 평양인들의 조선어 억양은 일부 자음과 모음의 발음에 약간 차이가 있는 등 전통적인 서울 억양과 비슷하다, 현대 서울말은 다른 지역의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일본 코미디언 타모리는 한국어 흉내 개그로 유명한데, 이것을 일본인들은 한국어 흉내의 최고로 여긴다고 한다. [99] 영상을 따라 원본 링크에 들어가면 대부분의 댓글이 "저런 엉터리 한국어를 흉내랍시고 한다니 한국어에 대한 모욕이다" 같은 반응.[100]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외국어 교과에도 한국어 과목이 있다. 한국식으로는 수능 외국어+제2외국어/한문영역 정도. 6월 모의평가로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사설 문제지일 가능성이 높다.[101] 외국인 입장에서는 어려울 수밖에 없는 불규칙 활용까지 출제된 게 눈에 띈다. 한국인이라도 고등 과정 이상의 국어 교육을 받지 않았다면 후반으로 갈수록 뭔 소리인지 자체를 당연히 알아들을 수 없을 것이다. 문제를 못 알아보는 게 함정

일본인들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성[102]때문에 한국어 자체를 어렵다고 보지는 않지만 한국인들이 일본어를 배울 때 기본 한자능력이 어느 정도 있어서 조금 더 쉽게 일본어를 배우지만 일본인들은 한글이 주 문자로 변한 한국어를 배우는 게 조금 더 어렵다.[103]

흔히 경상도 사투리가 일본어 비슷하다는 의견이 한국에서도 종종 나오는데, 일본의 위키 사이트인 차쿠위키를 참고하면 경상도 문서에서는 일본인들도 일본인이 한국어를 발음하면 경상도 사투리처럼 되어 버리는 것 같다는 감상을 써 놨다. 또한 부산 문서에서는 부산과 경상도의 이미지가 간사이에 흔히 비교되지만 악센트는 일본으로 치면 도쿄 쪽에 더 가까운 것 같다는 의견을 찾아볼 수 있으며, 평양과 서울을 포함해 (동남 방언을 제외한) 일반적인 한국어는 도호쿠풍의 무악센트 같다고 평가하고 있다.

9.2 미국

이상하게도 미국 대중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언어 중 하나다. 다만 좀 제대로 재현하는 러시아어독일어, 일본어 등과는 다르게 배우들의 재현 수준이 가히 절망적이다. 으아니 챠! 논 자유예 모미 안야 [104] 재현이 좋아도 대부분 한국어가 서툰 이민 2세대 이상을 배우로 쓰는 탓에[105]…이런 엉성한 한국어 재현 계의 본좌(?)로는 꽈찌쭈권진수가 있다. 그나마 최근에는 현직 한국인 배우(이병헌, 배두나 등)을 캐스팅해서인지 그나마 조금은 나아진 편.

다만 미국에서 방영되는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에 나오는 무지개콘의 경우에는 한국인[106]을 기용함으로써 한국어를 그럭저럭 재현하였다.[107]

지금도 현대어에서 동양식 구두점을 많이 쓰는 일본어와 중국어의 경우와 다르게, 가로쓰기가 주류인 현대 한국어에서 쓰이는 구두점은 서양식(특히 영어식) 구두점에 가깝다. 특히 호머 헐버트 박사의 조언으로 일본어, 중국어에는 없는 띄어쓰기도 도입되었다. 그리고 헬게이트가... 그리고 이런 특징은 서양 주도로 컴퓨터/디지털 시대가 열릴 때 가로쓰기와 띄어쓰기가 주류가 되며 본의아니게 일관성이라는 이점을 갖게 되었다. 중국과 일본은 본래의 우측+세로쓰기+無띄어쓰기와 디지털상의 좌측+가로쓰기+有띄어쓰기가 혼용되며 상당히 복잡해졌다. 사실 한국어도 의외로 띄어쓰기 없이 써도 읽히긴 읽혀진다. 애초에 한국어엔 원래 띄어쓰기가 없었고, 미국 영향을 받아들이며 재정비되어 띄어쓰기가 훗날 도입된 것이기 때문이다. 애초에 동아시아는 원래 전부 띄어쓰기도 없고, 한자를 썼으며 우측에서 좌측으로, 위에서 아래로 쓰는 방식으로 오랫동안 문자를 사용해왔다.

10 매체에서의 한국어

프랑스어, 중국어 등의 메이저한 언어들에 비하면 마이너한 편이다. 그래도 상술한 것처럼 미국, 일본 등의 대중매체에서 한국어가 꽤 등장하긴 한다. 다만 그 등장하는 이유가 한국어를 구사하는 캐릭터의 충공깽한 지능이나 교육 수준을 대변하기 위함인 경우가 많아서.....[108]

10.1 대중매체에서 한국어를 구사하는 캐릭터

한국어권 출신 캐릭터는 제외. 단, 혼혈인 경우 등재. 혼혈인 경우 볼드체로 표기.

'America's Army Special Forces 버전에 있는 훈련 중 특수부대 훈련을 받을 경우 시험 전에 각 보직을 맡은 특수부대 대원들에게 각각의 보직들에 대하여 설명을 들어야 한다. 그런데 그 특수부대원들이 특이한게 다국적 언어 사용이 가능한 대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에서 의무 담당 보직을 맡은 특수부대원이 한국어를 구사한다. 근데 이 상황에서 하는 말이 그런데 너흰 이 재미없는 게임을 왜 하고 있니? 이다. 아래 동영상의 6분17분 쯤을 참고. 그런데 발음이 좀 어색한게 흠이다.

11 한국어 관련 문서

11.1 한국어 역사 관련

11.2 국문법 관련 정보

11.2.1 자주 틀리는 표현

11.2.2 외래어표기법

11.3 한국어의 외국어 표기법

11.4 언어 생활 관련

12 한국어 관련 논란

12.1 논리성의 부족

일부에서는 한국어에 대해 색채를 표현하는 단어가 세분화되어있고 의태어가 다양해 예술적 감수성이 풍부하다는 것은 장점이지만 주어를 자주 생략한다는 특성 때문에 영어나 독일어에 비해 논리성이 부족하다고 한다. 전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인 배동인의 블로그에 이러한 견해가 나타나 있다.

12.1.1 반론

그러나 언어가 사고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주어와 목적어를 문맥에 따라 추론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한 것인데 이를 주어와 목적어가 없으니 논리성이 부족하다 하는 것도 성급한 생각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맥을 직접 확인하기 힘든 문어체는 대부분 주어와 목적어를 생략하지 않는다. 또한 한국어에도 분명히 격조사가 있는데 독일어만을 주어와 목적어를 잘 표기한다고 말하는 것도 의문이다. 또한 글 자체에서도 논란이 될 만한 부분이 있다.

이런 언어의 비논리성 때문에 우리 한국인들의 사고방식이 다분히 비합리적인 성향을 띠는 지도 모르겠다.

이 말에서 찾을 수 있는 숨은 전제는 다음과 같다.

  • 외국인은 한국인보다 합리적이다.
  • 한국인은 비논리적인 언어 때문에 비합리적이다.

여기에서 외국인[116]이 한국인보다 합리적이라는 근거도 없으며, 한국인이 언어 때문에 비합리적인 것인지 아니면 특유의 문화 때문에 비합리적인 것인지조차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한국어에 논리성이 부족하다고 말하는 것은 근거가 없는 주장이다.

13 기타

  1. 알타이어족설, 중국티베트어족설이나 인도유럽어족설도 있다. 2010년대부터 제주어를 별개의 언어로 보아 고립어가 아닌 한국어족(Koreanic languages)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고립어로 분류하는 것이 좀 더 주류 의견이다. 이 경우 제주도에서 사용하는 말은 별개의 언어가 아닌 방언이 된다.
  2. 중국어를 뜻하는 汉语(Hànyǔ)와 발음이 비슷하므로 주의
  3. 남성형으로 Koreanisch로 표기되기도 한다.
  4. 㗂韓國(한국어)
  5. 㗂朝鮮(조선어)
  6.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 전체
  7. 교포는 한국 국적을 유지하는 사람들로 재미교포재일 한국인, 재중 외국인 중 1위인 재중 한국인 등을 가리킨다.
  8. 주로 조선족고려인, 한국계 미국인, 한국계 캐나다인 등이 있다.
  9. 두문자어(acronym)나 일부 고유 명사 표기에 사용된다. (예: UFO, OST, UN, Microsoft Windows 등)
  10. 이 사이에 속한 언어들의 화자 수가 7,500~8,000만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통계 방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11. 프랑스어 같은 경우 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모국어(자신의 부족언어)가 따로 있는 사람들이 민족, 부족 간 소통어 혹은 교육이나 비즈니스 목적으로 배우는 경우가 많고 그 자체를 모국어로 쓰는 인구는 프랑스 본토와 벨기에, 스위스 등 유럽 몇몇 소국의 일부 지역, 캐나다퀘벡 과 뉴브런즈윅 등 국제 언어라는 일반적 인식에 비하면 뜻밖에 많지 않다. 단지 제2 언어나 공용어로 쓰는 지역이 많아 많이 쓰이는 것처럼 느껴질 뿐이다. 독일어의 경우도 독일은 일찌감치 식민지를 잃어 독일어가 유럽 밖으로 퍼질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독일과 그 주변국을 제외하면 쓰이는 곳이 없다.
  12. 한국 주변국들의 언어가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처럼 거대 언어밖에 없어서 그렇지, 사실 남한만 따져도 화자 수가 적은 편은 아니다.
  13. PCT Rule 48.3 Languages of Publication 문서
  14. 가까운 예로 사하어는 멸족되어 사라졌고 만주어는 민족이 흡수되며 사라졌다.
  15. 일본도 한국 문화권을 통칭할 때에는 조선이라는 표기를 더 많이 사용한다. 일본에서 韓国 또는 大韓民国대한민국을 단독으로 지칭하는 말이다.
  16. 현재는 학계의 지적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는다. 어학 프로그램에서는 한글강좌(ハングル講座)라는 표현으로 통일하며, 그간 잘못 정착된 표현을 수정하기 위함인지 매년 한글강좌 제1강에서 '한글어는 잘못된 표현'이라고 지적하는 것이 클리셰화되어있다.
  17. 국제표준화기구는 이를 따라 제주어에 JJE라는 ISO-639-3 언어 코드를 배정하여 한국어(KOR)와 분리했다.
  18. 이 문제는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로, 중국의 광둥어, 일본의 류큐어도 비슷한 위치다. 의사소통성을 생각하면 별개의 언어이지만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그저 매우 어려운 방언으로 취급당한다.
  19. 일본어일본어족의 언어가 아닌 고립어로 본다면 여기에 일본도 포함된다.
  20. 위에서 서술한 대로 제주어와 한국어를 분리하여 한국어족을 설정하면 한국어는 고립어가 아니게 되나 각 방언이 외국어 수준으로 차이 남에도 정치적인 이유로 같은 언어로 묶어버린 중국어나 표기수준만 차이 나지(키릴문자 대 라틴문자) 똑같은 언어지만 역사/종교 문제로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어로 불리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세르보크로아트어)를 보듯이 어족의 구분은 정치적 이유도 크게 작용한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한국인들이 제주어 역시 한국어로 간주하는 현실을 무시할 수는 없다.
  21. 개음절이 아니라 현재와 같이 받침음을 불파음으로 발음하지는 않았다는 이야기지 일본어처럼 원 한자음에 모음을 덧붙여 이음절로 만들었다는 의미로 이해하는 것은 오류다.
  22. 삼국 상호간에 통역 없이 말이 통했는가, 가능했다면 얼마나 유사했는가, 시대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변했는가 등등 수많은 논란이 있다.
  23. 고양이의 중세국어 어휘
  24. 당시 /ŋ/는 ㅇ 위에 꼭지가 달린 옛이응(ㆁ)으로 표기하였다. 결국 당시에 ㅇ는 무 음가, ㆁ는 /ŋ/. 그런데 'ㅇ'가 마냥 무 음가였던 것만도 아니다. 간단히 말하면, 당시는 연철 표기, 즉 앞에서도 언급하였듯 소리 나는 대로만 적었으므로, 'ㅇ'가 정말 무 음가였다면 '알-[知]의 활용형 '알오'가 '아로'로 적혀야 했을 터인데, 빠짐없이 '알오'로 적혀 있는 것에서, 'ㅇ'에 특정 음가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훈민정음에서도 'ㅇ'를 '후음 중의 불청불탁음('불청불탁음'은 현대 음성학의 '유성음' 내지는 '공명음'에 해당된다.)'에 대응된다고 적극적으로 음가 규정을 하고 있는바, 이 'ㅇ'는 대략 성문 마찰 접근 음('유성 성문 마찰음', '성문 반찰 음' 등으로도 불린다.) [ɦ]로 추정된다. '이해하다'를 빨리 발음하면, '해', '하' 부분에서 완벽한 h음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예 모음도 아닌 소리가 나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바로 [ɦ] 음이다. 즉, 중세 국어에서 'ㅇ'는 무 음가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고, [ɦ] 음가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던 것.
  25. 당시 중국어에서는 조선 한자음으로는 ㄹ 종성으로 읽히는 한자들의 운미(≒ 종성)가 거의 대부분 /t/ 입성이었다. 물론 현대 중국어와는 또 다르다.
  26. ㆆ(影/영, 당시엔 'ᅙᅧᇰ')로써 ㄹ(來/래)를 보충한다.
  27. 원래는 ㅎ 곡용어라고 했으나 현대 한국어에서는 곡용 현상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으므로 대신 ㅎ 종성 체언이라고 한다. 살코기란 단어가 바로 이 당시의 잔재. 개정 전 개신교 주기도문의 '나라이 임하옵시며'라는 구절 역시 ㅎ 종성 체언의 흔적이다. '나랗+이'로 분석되는 '나라히'가 '나라이'로 적힌 것. 오늘날 표기법으로는 '나라가 임하옵시며'가 맞고, 실제로 개정하면서 이렇게 바뀌었다.
  28. 이미 이해했는데바로 밑줄이 그어진 이 문장처럼 글을 쓸 때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해 버리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29. 시대적 배경상 고대 한국어 및 중세 한국어가 사용되어야 할 사극에서도 현대인이 알아들을 수가 없는 관계로 당연히 대부분 근대 한국어로 나온다.
  30. 이에 대해서는 이견도 있다. 항목 참고.
  31. 고려대학교의 신지영 교수가 이렇게 가르친다.
  32. 원래는 중설 근저모음 [ɐ]에 가깝지만 오랫동안 [a]로 표기해왔기 때문에 [a]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33. 많은 한국인들이 부정할지도 모르나, 이 발음을 영어에 존재하는 전설 비 원순 근저모음([æ])으로 분류하는 학자는 없다. [æ]로 발음하려면 [ㅐ]를 발음할 때보다 입을 훨씬 크게 벌려야 한다. 애초에 [ɛ]는 중저모음이고 [æ]는 근저모음이니 당연한 것. 한국어와 영어 모두에 중립적인 일본인들의 청취 감각 상 한국어의 [ㅐ]는 え/エ(e)단에 가깝게 들리고, 영어의 [æ]는 あ/ア(a)단에 가깝게 들린다는 것만 보아도, [ㅐ]보다 [æ]의 개구도가 훨씬 큼을 알 수 있다.
  34. ㅓ가 장음으로 발음될 때는 다소 고 모음 화되어 중설 비 원순 중모음 [əː]나 중설 비원순 중고모음 [ɘː]로 발음되기도 한다. [어ː른]의 발음이 묘하게 [으ː른]으로 들리는 이유는 이러한 장모음 ㅓ의 고모음화 때문. ㅕ([jʌ])가 장음으로 발음될 때도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jɘː]) 마치 ([jɯ]와 비슷한 발음이 되기도 한다.
  35. 현실적으로는 이중 모음 [we]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ㅞ'와 거의 차이가 없기에 표기법상으로만 외워서 구분하는 실정.
  36. 현실적으로는 이중 모음 [wi]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y]로 발음할 경우 앞에 오는 일부 자음이 구개음화된다. 예를 들어, '휘파람'이라는 단어에서 '휘'의 ㅟ를 [y]로 발음하면 앞의 ㅎ이 구개음화되어([hy.pʰɐ.ɾɐm] → [çy.pʰɐ.ɾɐm]) 마치 '휘파람'과 '쉬파람'의 중간발음같은 느낌으로 발음된다. 다만, 이 현상은 ㅟ를 ㆌ로 발음할 때도 나타난다. 예: 휘파람 → ᄒᆔ파람([hjwi.pʰɐ.ɾɐm] → [çwi.pʰɐ.ɾɐm])
  37. 서울 방언에서는 중설 비 원순 고모음([ɨ])으로 소리 난다.
  38. 많은 언어의 경우, 가령 영어 단어 dog, milk, pop의 경우 한글로 표기할 때 더ㄱ, 미어ㅋ, 파ㅍ으로 뒤에 여운을 줘서 발음한다(불파음 형태로 발음하면 dock(더ㅋ), dog(더ㄱ)의 발음을 정확하게 구별해서 할 수 없다). 한국어에서는 종성을 여운을 줘서 발음하지 않는다. 즉 입과 혀 모양만 해당하는 종성의 음가에 맞출 뿐 밖으로 내뱉지 않는다. 많은 한국인들은 이것이 습관이 되어, 폐음절이 많은 언어(특히 영어)를 배울 때 단어의 끝 자음을 불파음으로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다. 동남아시아의 일부 언어들이나 관화를 제외한 중국어의 경우 한국어와 같이 불파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의 불파음도 중세 중국어의 영향이라는 설도 있다.
  39. 원래 "늬"였다가 철자법 개정으로 "니"로 바뀐 경우는 그대로 n으로 발음된다.
  40. 단, 국립국어원에선 설측음으로 발음하는 것이 표준이라고 밝히고 있다.
  41. ㄱ, ㄷ, ㅂ, ㅈ과는 달리 언제나 무성음으로만 나타난다. 지금은 쓰이지 않는 반치음()이 아마도 유성 치경 마찰음([z]) 및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ʑ])을 나타냈을 것이라 여겨지고 있다.
  42. 파일(file), 펀드(fund) 등…
  43. 로마자를 사용하는 언어 중에서도 f 발음이 없는 언어가 있다. 이 언어들은 f 소리가 있는, 다른 로마자 사용 언어에서 온 외래어를 받아들일 때 아예 철자를 p로 바꾸는 경우도 있다.
  44. 보통 사람들 사이에서 사투리 취급을 받는 중국의 광동어나 일본의 류큐어 등을 언어학자들은 독립된 언어로 보고 있다.
  45. 당시 시흥군 지역의 방언은 구 시흥(금천) 방언(영등포, 광명 지역)이라기 보다는 안산 방언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46. 이를테면 영어(English) 위키는 영국인, 미국인, 캐나다인, 호주인, 뉴질랜드인… 등의 영어권 화자는 물론이고, 영어를 외국어로서 배웠기에 해석 가능한 사람들까지 포함하여 독자로 삼는 위키다.
  47. 사실 한국어는 교착어이기 때문에 이렇게 굴절어 정리하듯이 정리 하면 끝도 없을 뿐만 아니라 언어학적으로 아무 의미가 없다.
  48. 앞에 별표가 있는 것은 그렇게 활용할 수 없다는 뜻이다. 언어학 서적에서는 예시를 위해 의도적으로 비문을 쓸 때 별표를 앞에 붙여서 비문이라는 것을 밝힌다.
  49. 어려운 말로는 '음운론적 이형태'라고 한다. 생각해보면 받침이 있든 없든 /l/소리를 첨가하면 된다.
  50. 언어학자들이 하는 일이 바로 이런 복잡하고 불규칙적으로 보이는 자료에서 최대한으로 일정한 규칙을 찾아내는 일이다.
  51. 유럽의 어느 선교사가 일본에 와서 일본인들의 가족 호칭 때문에 멘붕을 일으켰다고 책을 쓴 적이 있는데, 그런 일본인들이 한국의 가족 호칭/지칭의 다양성을 보면 기절한다.
  52. 한국어가 유달리 가족 구성원을 지칭/호칭하는 말이 발달되기는 했다. 당장 '작은아버지'를 예로 들자면 호칭으로는 작은아버지, 삼촌, 아저씨를 쓸 수 있으며 지칭으로는 작은아버지, 삼촌, 아저씨, 숙부를 쓸 수 있다. 호칭어와 지칭어의 가지수가 다름은 물론 한 사람을 나타내는 말이 서너 가지나 되니 배우는 입장에서는 기겁할밖에. 물론 영어로는 'uncle' 하나뿐이다.
  53. 프랑스어는 주어를 생략하면 명령형이 된다. 영어도 마찬가지.
  54. 터키어는 유럽어는 아니지만, 문법적으로는 닮았다.
  55. 물론 영어에서도 완전한 구어체, 특히 대답의 경우 "Just took off over there(잠깐 요 앞에 갔다 왔는데요)."처럼 I를 생략할 수가 있다. 그러나 written English(공식적인 서적이나 여러 매체등에서 써야하는 영어-한국어로 치면표준어정도?)에서는 반드시 주어가 들어가야 한다.
  56. 심지어 소문의 경우도 '사람들이 그러는데'라는 말을 앞에 넣기도 한다.
  57. 그래도 4개 언어 중에서는 직무 수행률이 제일 높았다고 한다.
  58. 다만 일본어에서의 경어는 한국처럼 상하관계 설정보다는 친소(친밀감)관계 설정의 측면이 강하다.
  59. 이 경우에도 '잘못'(옳지 않은 일)과 '잘 못'(제대로 못한 일)에 따라 뜻이 달라지므로 사람들이 잘못 사용하기 쉬운 함정 중 하나다.
  60. 안 틀리는 방법이라고 하긴 좀 애매모호하다. 예컨대 조사 '뿐'이나 '대로', 본동사 '하다(do)'가 아닌 접미사 '-하다'와 같은 경우 많은 사람들이 띄어 쓰는 것을 오히려 자연스럽게 생각한다. 잘 안 틀리는 방법은 역시 단어끼리 띄어 쓰되 조사는 붙여 쓴다는 규정을 숙지하고 헷갈리는 단어는 사전을 찾아보는 것이다.
  61. 예: 성과 이름을 붙여 쓴다. 전문 용어는 붙여 써도 된다. 등
  62. 한국어에서는 띄어쓰는 말을 문화어와 중국 조선어에서는 붙여 쓰는 경우가 많다.
  63. 하지만 이 신문은 여러모로 혁신적이었다. 이 신문은 최초의 순 한글신문이다. 적어도 신문에서의 순 한글문서 시도는 간헐적으로만 시도되었을 뿐, 이 이후에도 흔치 않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놀라운 일이다. 그 뒤 순전히 한글로만 신문에 글이 표기된 것은 1988년 한겨레신문 발간 이후이다. 그 사이에 신문은 조사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어휘들을 한문으로 표기했다. 조선일보는 아직도 병기를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
  64. 세로쓰기도 여러 방식이 있지만, 세로로 쓰는 경우 우측 시작이 훨씬 많다.
  65. 이 시대 주요문인들의 소설집, 시집 들은 거의 다 세로쓰기로 출판되었다. 그리고 이 시대에 한참 유행했던 세계문학전집도 어김없이 세로쓰기로 되어있다.
  66. 신동아, 월간조선등 전문잡지 일부에서 계속 세로쓰기를 사용했었다.
  67. 존비 친소라는 용어 자체는 동양철학에 유교와 관련된 용어로서 나온다.
  68. 현재 한국어가 사용되고 있는 한국에서는 존비어 문화가 매우 일반적이다. 그 외에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는 재외 한국인이나 한국계 외국인의 경우에는, 모국에 살고 있는 한국인들과 달리 존비어 문화가 약하고 친소어 문화가 강한 경우가 많다.
  69. 자신이 타인에게 - 존댓말, 타인이 자신에게 - 존댓말; 소대(疏待): 소원(疎遠)히 대하다.
  70. 자신이 타인에게 - 존댓말, 타인이 자신에게 - 반말; 상대(上待): 높이 대하다.
  71. '예사말'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주로 국어교육 쪽에서 존댓말은 높임말로 반말은 예사말로 바꿔서 쓰는 듯 하다. 물론 예사말의 '사전적 정의'는 '평어나 보통말'을 뜻하지만, 실제 사용될 때는 단순히 '(평어, 낮춤말 의미를 포괄하는) 반말'이라는 용어를 대체하는 수준인 듯 하다. 말 그대로 반말 정의 '1. 높이지도 낮추지도 아니하는 말'을 뜻하는 용어로 쓰였으면 좋았을 뻔 했다. 또한 '예사'라는 단어 자체가 잘 쓰이지 않는 편인데다가(예 : '예삿일이 아니다') '예사'라는 단어를 보고 '보통'이라는 의미가 잘 떠오르지 않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72. '평상어', '수평어', '보통말' 등으로도 부를 수 있다.
  73. 자신이 타인에게 - 반말, 타인이 자신에게 - 반말; 친대(親待), 친히 대하다.
  74. 자신이 타인에게 - 반말, 타인이 자신에게 - 존댓말; 하대(下待): 낮추어 대하다.
  75. 가깝다 친
  76. 멀다 소
  77. 높이다 존
  78. 낮추다 비
  79. 한국에서는 '친소어 문화'보다는 '존비어 문화'가 아직까지 더 일반적이다.
  80. 역시 영어 같은 경우 could, mind 등을 붙여서 어렵게 돌려 물어보는 등
  81. 물론 이것도 동아시아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의 경우이고, 중국어와 일본어를 구분하지 못하는 서양인들도 상당하다. 한국어와 중국어도 마찬가지. 중국어의 억양이 강하다는 생각 자체도, 대다수는 그냥 아시아의 언어는 억양이 강하다는 식으로 뭉뚱그려 인식한다.
  82. 한자 표기가 있는 단어들 사이에서 한자음으로 읽는 단어들이 특히 그렇다. 반대로, 읽을 때는 전혀 다르지만 한자로는 동일하게 쓰는 단어도 있다. 真面目(しんめんもく/まじめ) 등. 이는 일본어와 달리 한국어는 훈독을 오래전에 버렸기 때문에 일본 고유어(和語)의 한자 표기가 일제시대 때 한국으로 들어와서 어순 상관 없이 한자어로 쓰이게 된 케이스가 많다. 선착장(船着場), 건물(建物) 같은 단어.
  83. 한국인들이 언어만 듣고 스웨덴어인지 노르웨이어인지, 캄보디아어인지 태국어인지 구분하기 힘든 것과 비슷하다.
  84. 사실 마주치는 사람들의 어감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수도권 출신의 사람만 만나온 외국인과 영남 사람만 만나온 외국인들의 한국어 인식은 당연히 다를 수 밖에 없다.
  85. 이를테면 '阪神(한신)타이거즈'의 경우는 '한'이라고 읽는 등. 이것의 최고봉은 토(京都), 오사카(大阪), 베(神戸)에서 한 글자씩 따온 京阪神인데 케이한신이라고 읽는다. 이를 서울-한밭-달구벌(다구불)-가마뫼에 비유하자면 京大東釜 또는 漢大東釜라 쓰고 서한달(다)가라고 읽는 격이다.
  86. 당장 일본어를 예로 들면, 일본어는 한국어와 달리 훈독을 버리지 못하여 家라는 한자 하나로도 읽는 방법이 4개나 되어, '家' 라는 한자의 문자/음성 일치도는 25%부터 시작한다.. 한국의 경우 아무리 이런 경우가 있어도 훈독을 진작에 버린데다, 여러 음독을 가진 한자가 있어도 (復(복/부), 更(갱,경) 같이) 그 숫자는 얼마 되지 않는다.
  87. 동사와 형용사 변화, 조사 등이 없는 언어
  88. 기상학적인 의미의 눈은 좀 더 길게 발음한다.
  89. 애초에 커뮤니티 수준에서 도전하는 언어 학습의 깊이가 생각보다 깊은 편은 아니다. 사실상 한글만 깨치고 한국어 익혔다는 사람들도 부지기수라 한자를 외워야 하는 중국어나 히라가나,가타카나에 한자까지 익혀야 하는 일본어보단 입문이 상당히 쉬운 편이다.
  90. 참고로 이는 서로 붙어서 한 단어가 된 '어학' 과 '연수' 를 정말로 한 단어로 볼 것이냐, 아니면 서로 붙은 한 단어지만 근본(?)을 따져서 두 단어로 볼 것이냐의 문제다. '어항년수' 는 한 단어로 보고 '학' 과 '연' 이 만나 비음화가 일어나는 것을 인정하는 형태이고, '어하견수' 는 두 단어이므로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간주하는 발음법. 이와 유사한 예로 '맛있다' 를 '마딛따' 로 발음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고 '마싣따' 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91. 사실 무성마찰음이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하는 경우는 인구어 계통에서도 종종 보인다. 한국어에서는 예사소리가 폐쇄 지속시간이 무척 짧아서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
  92. ' ̥ ' 기호는 무성음화 기호, ˭는 무기음 기호, '는 약한 유기음 기호, ʰ는 강한 유기음 기호를 뜻한다. t͡ɕ, d͡ʑ 는 혀를 이빨 바로 위쪽 연구개쪽에 붙여서 발음하는 치경구개음을 뜻하며, 북한 문화어에서는 혀를 뒷니에 바로 붙여서 발음하는 치경음 t͡s, d͡z로 발음되는 경우가 흔하다고 한다.
  93. 그 외에 'ㅅ,ㅈ,ㅎ'는 어말에서는 ㄷ로 발음해야 하는 예외 규칙(이것 또한 7종성법, 8종성법 등 중세, 근세 한국어의 'ㅅ,ㄷ' 관련 음 변이의 혼란 과정을 알아야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94. 이 현상은 불파음으로 인위적인 압력을 억제하여 그 억제한 압력으로 인한 불편한 느낌을 상쇄하기 위하여 억제된 압력을 뒷자음으로 터뜨린 결과로 알려져 있다. 마치 물 속에서 숨을 내뱉지 못하고 억지로 머금으면서 참고 있다가 밖으로 나올 때 숨을 한 번 쎄게 '푸아!~~' 뱉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95. 한국인광둥어를 듣고 중국어 발음이 웃긴 것으로 보는 것과 같다.
  96. 일본에서 "이영애가 한국어를 구사하면 마치 프랑스어처럼 들린다."고 한다.
  97. 북한에서는 이것을 '기백있는 목소리'로 부르며 이러한 목소리를 내는 능력을 아나운서를 선발하는 조건으로 삼는다. 리춘히 이외의 여성 아나운서를 보기 어려운 이유는 리춘히가 이 계열(?)에서는 독보적이라서 그렇다고 한다.
  98. 미국에서는 이런 북한 방송의 말투를 극적(Dramatic) 이라고 언급한다. 그리고 이 Dramatic이란 말은 절대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가 아니다.
  99. 타모리는 한국어 외에도 예전부터 엉터리 외국어 개그를 많이 했었다.
  100. 단순한 개그를 가지고 모욕이라고 하는 건 어불성설이다. 이수근이 과거 방송에서 구사했던 중국어와 같은 사례라고 생각하면 된다.
  101. 일본에는 한국과 같은 모의고사가 없다.
  102. 완전 남남으로 보기엔 이 두 언어는 문법이 상당히 유사하다. 친척관계로 보는 시선이 있는 것도 이 때문
  103. 반대로 언어적 유사함이 적은 중국어와는 한자때문에 일본인들이 덜 어렵게 본다.
  104. 다만 해당 대사인 "넌 자유의 몸이 아냐" 자체는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 배우가 한 대사이다.외국어 대사라고 열심히 연습했을 배우분을 생각하면 귀엽다 사실 이 장면은 발음만 빼고 보면 상당히 진지하게 연기했는데 문제는 발음이(...)
  105. 그런데 사실 이것은 재미동포들의 현실을 이해하면 수긍을 할 수 밖에 없다. 대부분 자녀들이 어린나이에 미국으로 이민을 온 것(또 현지에서 태어나서 성장한 2세들)과 아울러 빠른 적응을 위해 일부러 한인들이 적거나 아니면 아예 살지 않는 곳에 터전을 잡은 까닭에 영어에 노출이 많이 된 상황이었다. 더군다나 당시 대한민국이 지금 같은 국제적인 위상이나 인지도를 갖고 있지 못했던 이유로 한국어 유지의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은 점도 있다. 여기에 연예계라는 직업을 부정적으로 보는 한국인 부모들의 전형적인 사고방식도 부인하지 못하는 것이다. 야! 의사나 변호사가 되어야지 쓸데없이 연예인은 뭔 연예인이야!!
  106. 서울 출신의 양현정 씨로 한국인이다. 여담이지만 본래 애니메이터이며 비모도 양현정 씨가 성우를 맡고 있다.
  107. 초반 등장 한정. 후반으로 갈수록 레이니 콘의 교포 악센트와 영어 직역 대사 때문에 한국어인데도 자막 없이는 못 알아듣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 방은 예쁜 새 소리에 대한 내 사랑보다 더 크네 뭐 어떻게든 이해가 되는 말이긴 한데...
  108. 아무래도 인지도가 적고 타 아시아(특히 중국이나 일본) 국가들 보다 알려진 바가 적은 까닭에 언어의 신비스러움이 강조되는 이유일 것이다. 또 기본적으로 아시아 국가들 출신들이 교육열과 수준 역시 높다고 정평이 나 있으니.
  109. 한국 출신의 귀국자녀사이키 코우키가 일본어에 서투른 편이라서 둘이 한국어로 대화하곤 하는 듯하다.
  110. 이쪽들은 아예 한국어로만 말한다. 작중에는 레이니콘 종족의 고유 언어로 설정.
  111. 정확히 완벽한 한국어를 구사한 적은 없지만 엄연히 한국계 캐릭터이므로 한국어를 할줄안다는 설정이다
  112. 슬라브계라고 하지만 정확히 어느 나라 출신인지는 불명이다. 물론 이름의 키릴 문자 표기를 보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 하나.
  113. 하지만 이 두 사람이 한국어를 하는 신이 애니메이션판에선 모두 없어졌다.
  114. 히가의 한국인 친구가 군에 복무할 때 이라크로 파병됐다가 테러로 사망한 과거가 있다.
  115. 시대상 고려어. 그런데 어학 테이프로 배웠다.
  116. 예로 든 독일이나 영어권 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