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션급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잠수함SSN드레드노트급(초대)R, 발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BN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고속정아일랜드급R, 시미터급, 아처급
원양초계함캐슬급R, 리버급
호위함대잠 호위함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급M/R,
16형급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12M형 로드시급R, 12I형 레안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26형급), (31형급)
구축함데어링급R,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상륙함LPH오션급
LPD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라운드 테이블급RFA
소해함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군수지원함RFA리프급(초대/2/3/4대)RFA/R, 타이드급(초대/2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잘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로버급(2대)RFA
경항공모함센타우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오데이셔스급R, 퀸 엘리자베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 주석 : 12I/M형과 22/23형 호위함들은 태생은 대잠 호위함이나, 실전에서는 다목적 호위함으로 사용됨.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Ocean Class Amphibious Assault Ship
영국 해군이 1998년부터 운용하고 있는 강습상륙함 또는 헬리콥터 모함.
2011년 12월 현재 이 급의 함정은 오션(HMS Ocean) 1척이며, 영국 해군의 전투함 중 배수량이 가장 크다.

1 건조

1992년 2월부터 새로운 헬리콥터모함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당시 영국군은 심각한 예산부족에 시달리고 있었다. 게다가 1993년에는 발칸반도에서의 작전도 있었기에 계획 자체의 폐기도 거론되고 있었으나...

1993년 3월 29일 이 계획은 계속 추진될 것이라고 발표되었고, 수주자 입찰 경쟁이 시작되었다. 참여한 회사는 빅커스 조선(Vickers Shipbuilding and Engineering Ltd, 약칭 VSEL)과 스완 헌터(Swan Hunter)의 2개사로, 같은 해 5월 11일에 빅커스 조선의 승리로 입찰은 끝나고, 수주자로서 선정되었다. 당시 빅커스가 써 낸 입찰가는 1억 3,950만 파운드로 의외로 저가였다. 이 가격은 스완 헌터의 입찰가인 2억 1,060만 파운드보다 7,110만 파운드나 낮은 것이었다. 이것 때문에 싸움이 벌어졌고, 결국 감사기관이 입찰의 공정성 여부를 조사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빅커스와 스완 헌터의 입찰가가 이렇게 크게 벌어진 데에는 두 회사의 설계사상 차이에 원인이 있다. 스완 헌터는 완전히 군함으로서 강습상륙함을 건조하려 했지만, 빅커스는 상선을 기반으로 하여 군장비를 장착하는 식으로 만들려고 했다. 이렇게 하면 상선을 주로 건조하는 조선소에 하도급을 줄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낮은 입찰가를 제시할 수 있다, 그런데 대신 다른 군함들과는 달리 상선 기반이라 골조의 구조강도가 낮고, 그래서 예상 운용가능연수는 20년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2014년에 일러스트리어스가 퇴역한 후에는 오션이 유일한 헬리콥터모함이 되는데, 2018년에 퇴역해 버린다면 2020년에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이 취역하기 전까지는 2년 동안은 영국 해군은 헬리콥터모함조차 없는 상태에 전락하게 된다. 하여튼 싼 데에는 이유가 있다.

결국 1억 5,400만 파운드의 비용을 들여 1995년 11월 11일에 진수한 오션은 1998년 9월 30일에 영국 해군의 군함으로서 취역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상선 기반 설계로 인한 운용 한계점 때문에 2018년 퇴역이 확정되었다.

2 운용이력

  • 2000년
온두라스에서의 구호활동에 참가했다.
  • 2002년
영국 해병대가 지브롤터 대신 스페인 해안에 상륙해 버려서 엉겁결에 스페인을 침공하는 해프닝을 연출해 버렸다.
  • 2003년
이라크 전쟁에서 영국군 참전시에 활약했다. 당시 헬리콥터 강습은 인빈시블급 3번함 아크 로열과 같이 수행했다.
  • 2007년
첫 중정비를 받았다.


추가바람

3 탑재장비

항공대는 시 킹 중형 수송헬기 12대 및 링스 헬리콥터 6대를 탑재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영국 육군의 아구스타 웨스트랜드 아파치[1]CH-47 대형 수송헬기도 운용가능하다. 스키점프는 없어서 해리어 공격기 운용능력은 없었다[2]. 이제는 운용할 수도 없는 것이, 해리어가 모두 퇴역했기 때문에...지못미.

상륙용주정도 4척을 내장하고 있으며, 오션의 전속장비이다. 이 장비는 영국 해병 제1강습단 휘하 제9강습대대가 운용한다.

자체방어무장은 빈약하다. 함미에 팰렁스 CIWS 2기, 함수 비행갑판 위에 1기가 있으며 그 외에 20mm 기관포가 4기 있을 뿐이며, RAM, ESSM 등의 미사일은 장비하고 있지 않고 있다. 휴우가급이 Mk 41 VLS 및 어뢰발사관까지 갖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며, 다른 강습상륙함 및 헬리콥터모함과 비교해도 대공미사일이 없다는 점은 빈약한 자체무장을 두드러지게 한다.

4 제원

발주자영국 해군
수주자빅커스 조선
발주일1993년 5월 11일
기공일1994년 5월 30일
취역일1998년 9월 30일
모항플리머스 데이븐포트 해군기지
만재배수량22,500톤
길이203.4m
35m
흘수선6.5m
추진방식디젤엔진 2축추진
항해속도18노트
승무원운용병력 465명 및 상륙해병 830명
고유무장팰렁스 CIWS 3기, 20mm 기관포 4기
함재기18대

5 관련 항목

  1. 미 육군의 AH-64 아파치를 기반으로 한 영국버전의 공격헬기.
  2. 미국의 강습상륙함에도 스키점프 시설이 없다. 하지만 비행갑판의 길이가 충분해서 뜰 때에는 활주하면 된다. 역시 천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