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올림픽
1 개요
고대 그리스의 성소였던 올림피아에서 열렸던 체육대회. 범그리스 제전 경기는 당시에도 무척 많았지만 그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제일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대회가 올림피아 제전이었다.[1] 정확하게 시작된 시기는 전설과 역사적 사실이 혼합되어 있어서 정확하게 유추하기는 힘들다. 일설에는 기원전 9세기부터 열렸다고 하며, 헤라클레스가 12가지 임무를 완수시킨 후 기원전 776년에 도시국가 엘리스에서 열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지금의 올림픽과 같이 4년에 한 번, 5일간 열렸다.
원래 올림픽은 그리스 지방에서 열리던 제우스 신에게 바치는 제전경기[2]의 하나였다. 여기에 참여할 수 있는 선수는 오로지 그리스 출신의 자유민 남자만 가능했다. 처음에는 종교성이 강한 대회였으나 점차 규모가 커지면서 수많은 종목이 추가되었고, 제전을 위해 올림피아에 몰려드는 예술인들이 집대성을 이루었다. 따라서 고대의 올림픽은 종교, 예술, 군사훈련을 집대성한 헬레니즘 문화의 결정체였다. 이후 그리스가 로마의 영역으로 들어가면서 로마 제국 시대에도 계속 행해졌지만 로마인들이 올림피아 제전에서 그리스적 전통을 거부하면서 종교성이 점차 퇴색되고 오락과 유희성이 강해지기 시작했다. 네로 황제가 경기를 조작해서 휩쓸기도 하고 그리고 그리스도교가 국교로 지정되자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이교도의 제전'이라는 이유로 393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금지되었다. 근 12세기(정확히는 1171년) 만이었다.[3]
2 경기 행위
사실 평화의 제전이라는 이명답지 않게 현실은 시궁창이었기에 고대 그리스 시대는 물론, 로마 제국 시대의 올림픽 또한 꽤나 막장이었다. 선수는 물론 심지어 고위 귀족들마저도 뇌물과 반칙을 서슴지 않았고, 경기 자체가 장삿속과 선전판이 되었다. 당장 네로가 우승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고대 올림픽에서의 행위는 제우스 신에게 바쳐지는 것이었고, 승자는 자신의 공동체에 승리와 영광을 가져다 준다고 믿었다. 때문에 패자는 죽음 혹은 죽음보다 더한 수치를 겪어야만 했다. 레슬링이나 복싱 같은 종목에서, 패자는 거의 대부분 죽었다고 봐도 된다. 물론 경기 중간에 손가락을 올려 항복을 할 수도 있었지만 이렇게 되면 전 사회적으로 병신 취급을 당했기에 죽는 거나 다름이 없었다. 그래서 아예 자신이 없는 경기는 기권했다.[4]
이 당시의 경기는 지금 보면 참으로 말이 나오지 않을 정도였다. 격투경기인 팡크라티온에서 딱 2개 있는 룰은, 눈을 후비는 것과 입으로 깨무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었다.[5] 경기는 옷 쪼가리 하나 걸치지 않은 채로 여름의 뙤약볕 아래에서 몇 시간이고 누군가 죽거나 항복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복싱의 경우, 올림픽 초기에는 가죽줄을 주먹에 두른 채로 싸웠지만 로마 제국 시대로 접어들자 카이저 너클 날이 선 쇠를 쥐고 싸우게 된다. 이게 복싱이냐 칼싸움이냐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기에서 승리한 자는 전 공동체의 영광이 되었고 심지어는 다른 큰 폴리스[6]에 스카웃이 될 정도로 영향력이 커졌기 때문에, 경쟁은 치열했다.
당시의 경기가 얼마나 처절했는지 보여주는 일화가 있다. 경기를 하다가 조금 복잡해져서 서로 한 번씩 타격을 가하기로 판정이 났다. 그래서 한 선수가 상대편 선수의 얼굴을 세게 쳤는데, 상대편 선수는 이 선수의 배를 손가락으로 찔러 내장을 끊고 뜯어버렸다. 하지만 심판은 "다섯 손가락을 다 썼으니 5번의 타격을 가한 것"이라고 판정하고 내장이 뜯긴 장기자랑 선수를 승자로 판명했다. 어차피 바로 죽었지만.
또 다른 예도 있다. 한 선수가 상대방에게 목 조르기를 당해 거의 죽을 지경이 되었는데, 혼신의 힘을 짜내 상대방의 다리를 관절기로 부러뜨렸다고 한다. 그걸 당한 상대방은 고통으로 항복했지만 승자는 질식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물론 이런 막장 스포츠 말고 정상적인 스포츠들도 많이 했다. 특히 멀리뛰기 종목이 있었는데 이건 양손에 5kg 정도의 쇳덩이(할테레스)를 들고 추진력을 더하게 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때의 기록이 현재의 세계기록보다도 약 50cm 정도 더 멀다고 한다.
"스타디온"이라는 180m ~ 240m (정확한 수치는 불명) 의 거리를 뛰는 경기가 뒷날 "스타디움"의 유래가 된다. 24스타디온을 뛰는 경기도 있었다.
공교롭게도 "스타디온"을 비롯한 달리기 경주가 가장 인기가 많은 메인 이벤트였다.보통 "스타디온"의 우승자가 가장 큰 찬사와 영광을 얻고, 그 해 올림픽을 칭할때 그의 이름이 수식어로 붙는다. 예를들어 "김아무개"가 우승자라면, 그 올림픽 경기는 "김아무개가 우승했던 올림픽" 로 칭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시기에는 금메달이나 동메달 같은 것이 없었으며, 이때는 은메달이 챔피언을 의미했다. 그리고 월계관.
선수로 참가할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젊은 그리스인 남성뿐이었고 외국인과 노예는 참가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알렉산더 대왕은 자신이 그리스인 혈통이라는 것을 심판들에게 인정받은 후에야 경기에 참가할 수 있었다.
여성의 참석은 금지되었고, 참석 시 절벽으로 떨어뜨렸다(...). 기혼 여성은 참가도 관전도 금지였으나, 처녀의 경우는 결혼 전에 이렇게라도 남성들의 세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관전은 가능했다. 그리고 남성 경기가 없는 날에는 헤라 여신을 위한 스파르타 여성들의 특별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대신 여성 경기는 옷을 입고 진행되었다. 아쉽다 헐렁한 옷으로 코치인 양 참석한 선수의 어머니가 잡힌 이후로[7] 관중도 알몸으로 보게 하였다. 이에 대해 다른 학설이 있는데, 권투 경기에 참전한 스파르타 여성이 남자 선수들을 충공깽한 실력으로 발라버려(!!!) 이후에 선수도 관중도 알몸으로 경기를 참가하고 관전하게 했다고 한다.누드 돋네 여성이 유일하게 참가할 수 있었던 경기는 전차 경주로 전차의 주인이면 참가할 수 있었다. 경기장에 들어올 수는 없었고 전차는 마부가 몰았지만 그래도 승리하면 월계관은 받았다. 다만 이런 여성 경기 규제 역시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느슨해져서 기원전 4세기 경부터 헤라 여신을 위한 여성들만의 제전 경기가 열렸다는 기록은 남아있다.
위와 같은 막장스러운 사례들도 많지만 어쨌든 고대 올림픽이 평화의 제전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까지 도시국가로 뿔뿔이 흩어져 전쟁을 밥먹듯이 하고 살았던 그리스가 같은 민족, 같은 언어, 같은 종교 이념, 즉, 공통의 가치를 가지고 한 장소에 모여 일시적인 화합을 도모했다는 사실 때문이다. 민족이나 근대 국가의 개념이 지금처럼 확연하게 잡히지 않았던 고대의 상황을 생각하면 매우 희귀했던 대회인 셈. 근대 올림픽의 창시자인 쿠베르탱이 고대 올림픽의 가치에 주목한 이유가 이것 때문이다. 특히 제전 시작 3개월 전부터 올림피아로 몰려드는 여행객과 주민의 보호를 위해 그리스 전역에 휴전령을 선포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8] 제전 경기 전은 에케케이리아라고 해서 신의 보호를 받는 기간이었다. 따라서 이 시기는 전쟁 금지, 타인의 재물에 손대는 것까지 엄격히 금지했다.
3 경기 일정
3.1 제1일
3.2 제2일
- 5종 경기
- 각종 행사 (시 낭송회 등등)
- 전차경주
3.3 제3일
- 제우스 신을 기리는 제사
- 달리기
3.4 제4일
3.5 제5일
- 시상식
- 제우스 신 감사제
- 승자의 연회
- ↑ 올림피아 제전과 비견할 만한 대회가 델포이의 퓌티아 제전, 네메아의 네메아 제전, 코린토스의 이스트미아 제전이 있었다.
- ↑ 고대 사회에서 이런 기량 겨루기를 신에게 바치는 행위는 비교적 흔한 행위였다. 일본의 스모도 신들에게 힘을 바치는 제전경기에서 출발했다.
- ↑ 물론 그때 단번에 사라졌던 것은 아니고, 오랫동안 부활의 움직임이 있기는 했지만 중세에 접어들면서 아예 역사의 무대 저편으로 사라져버렸다.
- ↑ 그런데 출전하기로 예정되어 있었던 경기에 그냥 불참해버려도 문제였다. 어떤 선수는 복싱 경기에서 너무 힘들었던 나머지 팡크라티온 경기에 불참해버렸는데 상대 선수의 자존심을 짓밟았다는 이유로 벌금형+채찍형에 처해졌다(...)
- ↑ 이마저도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 ↑ 아테네라든지
- ↑ 다행히 선수 명가 집안이라서 살아남았다.
- ↑ 물론 휴전령을 쌩까고 전쟁을 벌였다가 올림피아 제전에서 임시 제명되었던 애들이 스파르타(...)
- ↑ 선서도 경기로 간주되었다.
과연 심판들은 선수들의 비밀을 밝힐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