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요호 사건

파일:3c12Md5.jpg
파일:2YW2oEL.jpg
한문명雲揚號 事件
일본어江華島事件(こうかとうじけん、カンファドじけん), 雲揚号事件
양력 시기1875년 9월 20일
음력 시기1875년 8월 21일
장소강화도
전투 결과조선 패배/강화도 조약 조인
교전국조선일본 제국
지휘관알수 없음이노우에 요시카
병력병력 400 여명슬루프 함 1척
해안포해군 육전대 22 명
피해전사 35명경상 2 명
부상 16 명

1 사건개요



EBS(사회탐구)한국사-강화도조약의 원인과 과정은?다듣사 10강 - 운요호 프로젝트와 강화도 FTA


(김흥수 공군사관학교 인문학부 교수)"일본 운요호 사건 관련 여론 동향에 민감했다"강화도조약 체결과정-서계거부사건 운요호 사건 (한국사 근현대사 인강)

1875년 조선 왕조 후기 때 일본 해군의 군선(軍船)인 운요호(雲揚號, 운양호)가 조선 해안 탐사를 빙자하여 강화도영종도를 습격하고 양민 학살과 주변 방화 등의 만행을 저지른 후 물러간 사건으로 강화도 조약의 시초격인 사건이기도 하다.

봉건적인 막부 체제가 막을 내리고 메이지 유신이 선포되면서 일본에서는 이를 계기로 근대화 분위기가 장식됨과 동시에 1592년 임진왜란 이후 조선 침략에 대한 노골적인 망상이 고개를 들게 되면서 이에 힘입어 정한론까지 가세하게 되자 침략목적으로 조선에 접근하려고 하였다.

이미 1854년 쿠로후네 사건을 계기로 미국과 문호개방을 선포했던 일본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구 열강들과 함께 조선에 상호 통상을 요구하기도 하였지만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과 반양(反洋) 정서로 인하여 실패만 거듭하였다가 흥선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친정(親政)을 하게 되자 이를 계기로 조선의 침략을 위해 군선(軍船)인 운요호를 부산으로 밀파하게 된다.

2 운요호

3 일본 해군의 습격

운요호가 부산항에 오게 되자 당시 부산 훈도였던 현석운이 부산 주재(駐在) 왜관(倭館)을 항의방문하여 군선 침투 사유를 물었고 운요호 함장 이노우에는 거짓으로 '일본조선 간의 상호 통상을 위해 방문하였으며 조선의 해안을 탐사하러 왔다' 고 오리발을 내밀었다.

운요호는 부산을 지나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으로 북진하여 현재의 강화도에 오게 되었고 함장을 포함한 일부 장병들이 보트에 타서 몰래 강화도 초지진으로 밀파하였는데 때마침 경계를 서고 있던 조선 수군일본군 보트라는 것을 알게 되자 보트를 향해 경고 포격을 가하였고 이에 놀란 일본군은 보트를 타고 운요호로 도망하였다.

파일:Eud4CIS.jpg
운요호의 제원
종류프로펠러 슬루프(스쿠류 슬루프)[1]
건조국/제작사영국 애버딘/Alexander Hall and Sons[2]
진수1869년 3월 27일
취역1869년 8월 11일
전장35 m
배수량249 톤
무장6.3인치(160mm) 포 × 1문
5.5인치(140mm) 포 × 1문
추진 기관1 샤프트 석탄 연소 증기기관/60 ihp (45 kW)
승조원65 명
동형함호쇼[3]

그러더니 마침내 운요호 모함(母艦)이 강화도에 접근하게 되자 함포를 발사하며 조선 수군과 교전을 벌였고, 지금의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에 상륙하여 조선 수군과 교전을 벌인 끝에 근대식 대포와 무기로 조선 수군을 궤멸시키고 영종도를 습격하여 현지 양민들을 학살하고 주변시설에 불을 질렀다.

조선군의 피해는 전사 35명, 포로 16명. 일본 해군은 단지 2명의 경상자만 냈을 뿐이었다. 이 2명의 경상자는 상륙 도중 발을 삔 수병들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백주대낮에 타국의 군함이 불법으로 조선의 영해를 침범해서 조선땅에 불법 상륙까지 해놓고도 모자라 조선의 군사시설을 공격해서 사상자까지 발생시킨 것으로 명백한 침략행위였다.[4]

4 불평등 조약(강화도 조약) 체결

강화도 조약과 운요호 사건

그러고 나서 다시 강화도로 이동하여 조선왕조에 무력시위를 빌미로 나타나 조선에게 이 사건의 책임을 묻게 하였고 결국 조선왕조는 1876년 일본강화도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일본에 문호개방을 하게 되었다.

이때 일본이 내세운 이유가 원래 일본은 유신 이후 조선에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재확인하고 서구식 영사관을 상호 설치하려고 했으나, 조선측이 일본이 전통 전례를 무시하고 황칙의 용어를 쓴다 하여 외교를 단절해버린 것이 문제의 시작이었다라고 억지를 부린 것이다.

이런 것을 변명한답시고 일제가 이유를 붙인 것이 있는데, 앞서 언급한 조선의 외교관계 수립 거부가 정한론과 메이지 6년의 정변이 발생된 원인이라는 것이다. 왜 타국이 외교관계 수립요구를 거절한 것만 가지고 당장 쳐들어가자는 이야기가 성립 되는지는 생략하는 센스 당시 일본은 서구의 불평등조약으로 반식민지의 위기에 있었으며 조선, 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와의 평등외교관계 수립이 지상과제였으며, 운요호 사건은 조선이 철저하게 서구식 외교관계를 거부하자 절박한 상황에 내몰린 일본 내부에서 오쿠보 도시미치같은 강경파들의 강제 개항론에 의한 것이라는데, 요약하자면 내 사정이 급하니 너네 집에 도둑질하러 간다는 것이다. 도둑놈도 낮짝이 있지 이따위 말을 내뱉지는 못한다

또한 국기를 게양한 군함에 사격한 것이 주권 침해라는 이유도 덧붙였는데, 이 역시 억지 주장에 불과하다. 국제법상으로 조선의 영해를 침범한 일본이 조선의 영토주권을 침해한 것이고, 조선은 이에 대해 침략으로 해석하여 교전을 벌인 것으로 조선의 행위는 국제법상 아무런 하자가 없다.

이 사건을 계기로 조선은 1882년 이후 미국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의 서구열강과도 통상조약을 맺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엔 정한론의 대표주자로 알려져 있는 사이고 다카모리는 통념과는 달리 대조선외교에서 총알 한방 써서는 안 된다는 매우 온건한 외교론자였다.[5] 조선에게 지금까지 외무성의 하급관리만 보내놓고 조선에서 융숭한 대접을 바라는 것이 가당키나 하냐면서 조선이 우리에게 진지한 태도를 보이게 하려면 정치적 거물을 보내고 조선의 요구대로 양복이 아니라 전통복장을 입혀 보내며 침략의 인상을 줄 수 있는 어떠한 행동에도 크게 반대했다. 거기서 아예 한발 더 나아가 자신이 외교사절로 가겠다고 제안했으나 사이고같은 거물이 조선에 가는 것을 일본에서 크게 불안해하여 이루어지지 못했고 오쿠보 도시미치가 귀국한 후부터는 아예 조선에 거물급 사절을 보내는 이야기 자체가 흐지부지되었다. 그 후 사이고는 운요호 사건 소식을 듣고 일본 정부를 몹시도 욕했다고 한다. 그리고 서남전쟁이 터지면서 사이고는 죽었다.

5 결과

운요호 사건은 일본의 입장에서는 조선과의 상호 통상을 빙자하여 조선 침략에 눈독을 들여서 훗날 을사조약경술국치의 강제병탄을 예고하였던 사건이기도 하였으며 조선의 입장에서는 이미 문호개방을 했던 일본과 불평등한 강제적 조약을 맺게 됨에 따라 쇄국정책으로 배제하였던 문호개방을 완전히 하게 된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었다.

결국 한편으로 보면 조선 침략과 대륙 침략의 발판을 들여놓은 일본이 만든 작품이자 정략적인 술책이었다.

6 관련 문서

(위키백과-한국어)운요호 사건
(위키백과-영어)Ganghwa Island incident
(위키백과-일본어)江華島事件

7 관련 항목

  1. http://ko.wikipedia.org/wiki/%ED%94%84%EB%A1%9C%ED%8E%A0%EB%9F%AC_%EC%8A%AC%EB%A3%A8%ED%94%84
  2. http://en.wikipedia.org/wiki/Alexander_Hall_and_Sons
  3. http://en.wikipedia.org/wiki/Japanese_warship_H%C5%8Dsh%C5%8D
  4. 일본 위키백과에서는 운요호 측이 깃발로 미리 접근하겠다는 신호를 보내어 국제법을 준수한 상황에서 경고포격을 당했다고 하는데, 이는 조금만 생각해보면 모순덩어리이다. 병인양요신미양요 등에서도 알 수 있듯 조선은 서구열강과의 교류를 거부해왔으며 당연히 서구가 주축이 되어 형성한 국제법의 질서에 편입은 커녕 국제법도 제대로 모르고 있었다. 그러한 조선의 상황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법에 근거한 행위로 통보한 일본의 책임이라 보기는 어렵다는 논리는 어불성설이라고 보면 된다.조선이 전근대국가였으니 일본이 근대화 해줘야했다는 논리를 펴는 놈들이 지들 불리할 때에만 전근대 국가더러 근대 사회의 룰을 스스로 깨우치지 못해 안 지켰다고 비난하고 있다...
  5. 적어도 공식석상에서 조선정벌을 주장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