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갚은 까치

1 개요

파일:Attachment/unbikabi.png
이런거 근데 저 까치 로드킬 당하는거 아니야?

대한민국전래동화 중 하나. 주로 은혜갚은 꿩으로도 알려지며, 배경이 치악산임을 명시한 판본에서는 반드시 까치가 아닌 이 주인공이며 '치악산의 전설'이라는 제목으로도 유명하다.

'은혜갚은 꿩(혹은 '치악산의 전설')'은 제목 및 내용에 확실한 지명들을 포함하고 있으니 전설이지만, 은혜갚은 까치는 전자의 변형된 이야기로서 시대는 명확하나 확실한 지명이 없으므로 민담이다. 고로 한국 전설로서의 더 정확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은혜갚은 꿩 항목을 참고하자.

까치가 자신을 구해준 선비를 구해주는 이야기. 정작 지금의 까치는 유해조수 취급.... 까치 참고.

조선시대. 한 선비과거시험을 보러 한양으로 가는 길이었다. 산을 넘는중에 유독 까치소리가 시끄러워 가보니 거대한 구렁이가 새끼 까치들을 노리고 있는 것을 발견. 가지고 있던 로 구렁이를 쏴죽여 버린다. 이후 날이 저물지만 주막 하나 없는 첩첩 산중에서 어찌 밤을 보낼까 고민했는데 불빛을 발견하고 가니 왠 오두막이 하나 있었다. 젊은 아낙네가 지키고 있는 오두막에 묵기로 한 선비. 하루 종일 걷느라 피곤해서 아낙이 차려준 밥을 먹고 잠에 든다. 근데 뭔가가 몸을 조이는게 아닌가? 눈을 뜨니 낮에 죽인 구렁이와 같은 거대한 구렁이가 자신을 칭칭 감고 있는데, 어찌 이러냐고 묻자 대답은 다음과 같았다.

네가 낮에 쏴 죽인 구렁이는 나의 서방님이다! 나는 너를 죽여 서방님의 원수를 갚을 것이다!

꼼짝 없이 죽게 된 선비. 살려줄 것을 간청하자 구렁이가 날이 새기 전, 이 절의 종루의 종이 3번 울린다면 네놈을 살려주겠다고 한다. 점점 날은 밝아 오는데 종이 울릴 기미는 없고, 선비가 이젠 끝이라고 생각한 그때 종이 크게 올린다. 잠시후 또 다시 크게 울리고, 마지막으로 한번 더 크게 울리는 종. 약속은 약속이니 구렁이는 선비를 풀어주고 사라진다.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난 선비는 부처님께 감사하며 종루로 올라가보는데....

종루 바닥에는 수십 마리의 까치들이 머리가 깨친 채로 처참하게 죽어있었으며 종에는 까치들의 피가 흥건했는데 이는 선비가 구해준 까치 새끼의 부모가 동료들을 동원해 있는 힘껏 종을 머리로 들이받아 소리를 낸 것. 선비는 까치들을 고이 묻어주고 다시 한양길에 오른다. 언뜻 은혜를 입으면 그것을 반드시 갚는 교훈이 담긴 민담이며, 판본에 따라서 선비가 과거에 급제해서 잘 살았다든가, 꿩 버전에서는 선비가 과거 대신에 꿩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중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살아남은 새끼 까치는 500년이나 살았다 카더라

은비까비의 한 에피소드로도 제작되었으며 여기서는 까치로 나온다. 그리고 과부가 된 그 구렁이는 원래 하루만 더 있으면 남편 구렁이와 함께 이 되어 승천할 팔자였는데 선비의 손에 남편을 잃어 그 분노가 극에 달했다는 설정. 종이 울리지 않은 채로 날이 밝아오자 좋아하며 선비를 죽이려는 찰나, 갑자기 종이 울리자 분하다고 울면서 홀로 용이 되어 승천한다.

2 파생

이 이야기는 다양하게 파생되기도 하는데, 앞 부분의 이야기는 동일하며, 은혜를 입는 동물이 다르다는 점이다. 여기서 죽은 구렁이는 독이 든 동물, 식물(예를 들어 잉어, 딸기, 버섯)로 환생해서 주인공에게 먹여서 독사시키려고 하지만, 황새들이 몸의 독을 쪼아서 치료해 주면서 주인공이 죽음의 위기에서 벗어난다. 그 뒤 흔적은 낫조각이 남는다든가, 벌레들이 변소에서 죽어 있다든지 다양하게 나온다.

와탕카 687편에서는 구렁이 아내가 남편을 활로 쏴 죽인 선비에게 오히려 '고맙습니다'라고 말하는 걸로 패러디됐다. 이유는 이것 때문에...

개그 콘서트시간여행에서도 패러디되었는데 여기서는 까치자고 있는 선비를 깨우기 위해 머리로 종을 울리는데 진짜 종을 구하지 못했는지 으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