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

눈물을 마시는 새 / 피를 마시는 새 세계관의 종족 일람


선민종족과 그 신
인간도깨비레콘나가
어디에도 없는 신자신을 죽이는 신모든 이보다 낮은 여신발자국 없는 여신
기타 종족
두억시니
(유해의 폭포)
하늘치대호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눈물을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신. 어떤 신인지는 작중 나오지 않았지만 종족의 별명도 그렇고, 그들이 만든 하늘치 유적에서 유추할 수 있는 점을 봐도 대개 빛의 신일 것이다라는 추측이 지배적.[1]

륜 페이아스화리탈의 능력을 빌어 하늘치란 별명의 인물을 보는 장면에서 세상의 색이 현대와 매우 판이했던 점 때문에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의 사망 전후로 아마 SCP-8900-EX 같은 일이 일어났을 것이고 그것을 근거로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이 빛의 신이라고 보는 해석도 있다.[2] 그러나 이 현상은 제이어 솔한의 경우처럼 과거를 볼 때의 뒤틀림이라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자세히 읽으면 해당 장면에서는 색채뿐이 아니라 후각 등 다른 것들도 혼돈되어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퀴도부리타와 하늘치 이야기에서 하늘치라는 이름을 주목하면 전자의 해석은 말이 안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초에 인간 "하늘치"가 무신경한 성격때문에 "하늘치"라는 별명을 얻었다는 것은 당대에 이미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과 그 종족은 사라지고, 약속의 증거로서 "하늘치"가 실존했다는 말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작중에서 세계의 근간인 신이 죽게 된다면 법칙이 변화된다는 식의 이야기가 나오니 어떠한 영향이 있기야 했겠지만, 이는 작중에서 확인이 불가하다.

다섯 번째 종족의 신이라고 불리나, 사실은 '첫 번째 종족'의 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종족은 빛의 종족이라 나오며, 그들이 그들의 신보다 우월해졌지만, 자신들의 완전성을 방해하는 신을 여전히 경애하며 보살폈다. 이런 모습이 다른 선민종족들에겐 참을수 없이 교만하고 오만하게 보였지만, 그들이 실로 오만한 자라면 그들은 신을 보살피지 않았을 것이다. 이 주제에 대해 작가는 눈마새와 피마새에서 한 줄로 요약했다. 바로 '현자는 우자를 경멸하지 않는다. 경멸은 항상 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지'. 네 선민종족은 어리석었기에 위대한 자들을 낮잡아 본 것이다.

그리고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은 자신이 돌보는 종족이 완전해 지는데 발목을 잡는 자신의 존재를 없애기 위해 다른 네 신의 도움을 받아서 죽었다. 케이건 드라카시우쇠의 대화에서 자신을 죽이는 신이 그를 소멸시켜 준 것을 알 수 있다. 그들의 말에 따르면 이 세계의 신이 자기 종족에게 해줄 수 있고, 바라고 있는 마지막 역할이 이런 식으로 소멸하면서 자신의 종족을 완전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며, 죽는 순간에도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은 기뻐했고, 다른 네 명의 신은 그걸 보면서 슬퍼하면서도 부러워 했다고 한다.

다섯 번째 종족의 찌꺼기 같은 불완전한 부분이 두억시니다. 그러므로 두억시니는 통념처럼 자신의 신이 죽어서 변한 비참한 모습이 아니다. 남은 찌꺼기긴 하지만 다른 부분은 정녕 신보다 위대해진 종족인 것이다.

여담이지만 현재 선민종족들은 다섯번째 종족처럼 한 종족이 먼저 완전해질 수 없다. 한 종족이 완전에 도달하기 위해 현재의 4신 중 누구라도 한 명이 죽으면 그대로 어디에도 없는 신이 갇혔던 것처럼 세상은 다시 정체되고 다른 세 선민종족은 완전해질 기회를 박탈당하기 때문. 때문에 어떤 종족이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이 죽기 직전의 다섯번째 종족들과 같은 위치에 도달했다면 다른 세 종족 역시 그 정도의 경지에 다다를 때까지 기다려야한다. 이후 선민종족의 신들이 동시에 죽음으로서 4종족 모두가 동시에 완전해지는 방법 밖에 없다고.

  1. 자신조차 볼 수 없을 정도로 밝기 때문에 빛이라고 추측된다. 아니면 거울에 반사되니까
  2. 이 해석에 따르면 세상의 색깔이 지금처럼 된 현상 자체가 제1 선민종족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