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에도 없는 신

눈물을 마시는 새 / 피를 마시는 새 세계관의 종족 일람


선민종족과 그 신
인간도깨비레콘나가
어디에도 없는 신자신을 죽이는 신모든 이보다 낮은 여신발자국 없는 여신
기타 종족
두억시니
(유해의 폭포)
하늘치대호
스포일러

1 개요

소설 눈물을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으로 '춤을 추는 자'라는 별명이 있다. 무신론 아니다 舞神도 아니다

2 설명

인간을 가호하는 신으로, 어디에도 속박될 수 없는 바람을 뜻한다. 바람은 어느 한곳에 멈추지않고 끊임없이 움직이기에 어디에도 없다. 그렇기에 바람은 어디에나 갈수 있다. 그래서 인간은 어디든지 갈 수 있다.[1]

어디에도 없는 신을 모시는 사원은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으며 그들의 총본산은 하인샤 대사원이다. 어디에도 없는 신을 섬기고자 하는 자는 머리를 깎고 속세를 벗어나게된다. 아무리 봐도 불교의 스님과 매우 비슷하다[2]. 인간의 유일신인데도 불구하고 불교적 사상의 종교라는 점이 특이하다.

수탐자들은 마지막으로 그의 신체를 찾아야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두명의 화신을 찾게해준 접시는 깨지지 않았다. 비형 스라블은 어디에도 없는 신은 말 그대로 어디에도 없기 때문에 접시가 깨지지 않는것일지도 모른다고 추측하기도 했으나...

3 스포일러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내가 곧 케이건 드라카다! 그리고 내가 살아 있는 이상 어떤 나가도 그것이 옛날 일이었다고, 자신과는 아무 상관도 없는 일이라고 말할 수 없어! 그들이 나라는 것을 만들어내었으니까!"

어디에도 없는 신의 신체는 사실 케이건 드라카였다. 천 년 전부터 어디에도 없는 신의 신체로서 살아오고 있었지만, 죽기를 거부할 정도로 나가에 대한 증오심이 커져간 결과 모종의 이유로 화신이 되고나서도 죽기를 거부한 탓에 신과 하나가 되어버린 것이다.[3][4] 다만 스스로가 화신이라는 것을 자각하지 못했던 케이건은 신체이자 화신이지만 권능을 쓰지는 못했다.

어디에도 없는 신의 화신은 한 가지 특권을 가진다. 화신끼리는 서로를 인지할 수 없으나 어디에도 없는 신의 화신만은 다른 신들의 화신을 인지할 수 있다. 정확히 말하면, 인지 수준이 아니라 그들을 아예 찾아낼 수 있는 듯. [5] 즉, 자신을 죽이는 신이 신체를 찾는 접시를 준 것은 그냥 눈속임일 뿐, 화신을 찾아낸 것은 모두 케이건 드라카의 역량이었던 것.

'바람'답게 멀리 있는 존재에게 말을 전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고,[6] 종잡을 수 없는 바람처럼 대상을 목표없이 빙글빙글 돌게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기를 자유자재로 다뤄 바람의 칼날로 도시를 파괴하고 회오리로 도시자체를 갈아버리는 압도적인 위력을 괴시한다

다시 말하자면 어디에도 없는 신은 신체인 케이건 드라카 안에 존재하였지만 모종의 이유로 화신이 되어버린 후에도 어디에도 없는 신이 너무 오래 한 몸에 존재하게 되어 케이건과 동화되었다는 것. 물론 본인이 자각하지 못한 탓에 불사의 이유를 소드락이 축적된 나가의 시체를 먹은 것이라 생각했으나, 시우쇠의 말에 따르면 그건 변명일 뿐, 케이건이 소드락의 효과를 '변화'시킨 것이라고 한다.

다만 에필로그에서 소드락을 먹은 나가를 먹으면 각성 효과가 있으며, 150년 이상 장복할 경우 특별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는 키탈저 사냥꾼의 저주와 같은 논리이다. 영생하기 위해서는 소드락을 150년 이상 먹어야 한다. 그런데 소드락을 150년간 먹기 위해서는 이미 영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모순. 자신도 모르는 새 화신이 되면서 죽지 않게 되었고, 그 이유를 소드락을 먹은 나가의 시체에게 뒤집어 씌웠다고 추측할 수 있다.[7]

신이 케이건의 몸안에 하나되어 갇혀버린 탓에 한참동안 세상에는 변화가 찾아오지 않고 정체가 유지되고 있었다. 1차 대확장 전쟁 당시에 사용되던 언어가 천 년이 가까운 세월이 지났는데도 그대로 통용되고 있고, 한계선이 생겨난 뒤에도 나가와 다른 선민 종족들 사이의 의사 소통에는 문제가 없었다. 심지어 각 종족들의 생활 양식과 개성마저도 변화없이 유지가 됐다. 이는 윷놀이에 참여해야 할 어디에도 없는 신이 케이건의 몸에 갇혀버림으로써 놀이가 진행되지 못했기 때문에 생겨난 일이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발자국 없는 여신은 억지로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로 인해 벌어진 사태가 바로 살신 계획제2차 대확장 전쟁.

이미 화신화되어 있던 케이건이 다른 화신들과 의사소통이 가능했던 점이나 시우쇠의 대사[8]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어디에도 없는 신은 원래 나머지 세 신들을 연결시키고 교류하게 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다. 즉 그의 부재는 나머지 세 신 사이의 교류가 사라지고 교류로 인해서 일어나야했던 변화도 막아버린 사건이었던 것. 따라서 단순히 어디에도 없는 신이 변화를 담당하기 때문에 그의 부재가 변화를 막았다는 해석, 또는 그가 윷가락 중 하나였기 때문에 그의 부재가 윷놀이를 멈추게 했다는 해석보다는, 세 신 간의 교류를 담당하던 신이 사라짐으로써 교류의 결과인 변화 또한 사라졌다는 설명이 가장 정확해보인다.

이러한 모든 것은 자신을 죽이는 신의 화신인 시우쇠가 성질을 못 이기고 하텐그라쥬심장탑에서 케이건에게 말해 줌으로써 밝혀졌다. 이로써 케이건은 자신이 화신임을 알게 되지만, 어디에도 없는 신이라는 자아와 케이건 드라카라는 자아는 이미 합쳐졌고 그는 나가를 여전히 증오했기 때문에 나가 살육자에서 나가 살육신으로 각성해 버린다.

눈마새에 자주 등장하는 '셋이 하나를 상대한다' 라는 격언에 따라 다른 신 셋이 어디에도 없는 신 하나를 상대하려 했지만 발자국 없는 여신의 신체인 카린돌 마케로우가 깨어있지 않아 열세에 몰린다. 게다가 권능에 휘말려 모두들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돌고 있었다(…). 다만 각성한 후에도 아라짓 전사로서의 케이건과 나가 살육신으로서의 케이건으로 나뉘어 갈팡질팡하다 결국 사모 페이를 죽이려하고, 소드락과 모든 이보다 낮은 여신의 풀버프를 받아 17분 동안 지상 최속의 생명체가 된 카루와 맞붙기도 했다.

작중에 등장하는 신의 권능이 모두 대적이 불가능한 자연재해급임을 제대로 보여준다. 시우쇠가 빛조차 삼키는 불을 만들어 내지만 그것을 나가 학살용으로 사용하지는 않았고 다른 신들은 각자 사정상[9] 권능을 파괴적으로 사용하진 않았다. 그러나 케이건은 나가에 대한 증오만을 가지고 제한없이 권능을 행한다. 시범삼아 바라기를 휘둘러 하텐그라쥬에 거대한 상흔을 남기고 하텐그라쥬를 외곽부터 천천히 조여올 정도의 거대한 회오리 바람을 만드는 등.

아무튼 자신이 모든 것을 잃었다고 생각한 나가 살육신은 나가의 멸망을 목표로 도시를 파괴하는데, 결국엔 심장탑을 중심으로 하텐그라쥬를 둘러싼 회오리바람을 만들어 천천히 조여오게 한다. 그러나 데오늬 달비그리미 마케로우를 만나면서 어디에도 없는 신이 인간에게 준 것이 아직 남아있다는 것을 깨닫고 증오를 풀게 된다. 인간이 받은 것은 바로 나늬. 케이건의 아내인 여름 또한 나늬였다.
파괴를 중단한 뒤에는 심장탑을 대선풍으로 감싸 누구도 들어올 수 없게 봉인해 마지막 아라짓 전사로서 대호왕의 심장병을 보호한다. 그리미 마케로우의 말을 빌리면 그는 최후까지 아라짓 전사였던 셈이다. 그리고 자신은 실종.[10]

후속작인 피를 마시는 새의 '돌 속에 갇힌 바람' 챕터에서 사모의 독백으로 잠시 언급된다. '마음이 돌처럼 굳어버린 남자, 그의 가슴 속에 터무니 없이 오랜 기간 동안 정체된 바람이 갇혀 있었다.' 등.

  1. 도깨비는 유혈이 낭자한곳에서, 레콘은 물 근처에서, 나가는 추운 지역에서 활동이 자유롭지 않다. 반면 인간은 이 세 곳을 포함해 모든 곳을 갈 수 있다.
  2. 작중에서도 스님, 중 이라고 칭한다.
  3. 두 개의 칼이 하나로 합쳐진 케이건의 검 바라기는 이 합일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해석된다.
  4. 재밌는 점은 이것 또한 키탈저 사냥꾼의 모순이다. 오래 살려면 신과 합쳐져야 한다. 하지만 오래 살지 않는 이상 신과 합쳐질 수 없다. 증오는 모든 모순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라는 걸까?
  5. "너만이 자신을 죽이는 자를 죽음에서 다시 살려내며 모든 이보다 낮은 자를 위로 떠오르게 하며 발자국 없는 자의 발걸음을 추적할 수 있다! 누가 그렇게 할 수 있나? 바로 너다! 네가 바로 바람이다!" - 시우쇠
  6. 유해의 폭포가 이 권능을 훔쳐 쓰고 있었다.
  7. 연재 당시 시우쇠가 피, 아기가 물을 마셨기때문에 신체가 화신이 되기 위해선 각 종족이 두려워하는것 섭취함으로써 화신이 된다는 이유로 케이건이 나가나 소드락을 섭취했기떄문에 화신이 된거라는 설도 돌았지만 시우쇠는 접시는 그냥 장난이라고 말한거 보면 딱히 의미는 없었다
  8. "이제 내게 그들을 돌려줘! 나는 두 여신과 너무 오랫동안 헤어져 있었다. 다시 윷놀이에 참가해!"
  9. 발자국 없는 여신은 봉인(?), 모든 이보다 낮은 여신은 아기고 본인 성격이 느긋하다.
  10. 변화가 시작되었지만 죽었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다만 애초에 케이건이 살아있을경우 변화가 힘들다는 점과, 피마새에서 분명히 약간씩이나마 진보한 시대를 보여주는 만큼 죽었을확률이 높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