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충청북도 시내버스
파일:Attachment/P508737.jpg
일반 버스의 모습
파일:Attachment/P508736.jpg
저상버스의 모습
1 개요
제천시 시내버스는 충청북도 제천시를 중심으로 하여 운행중인 시내버스이다. 운수 업체로는 제천교통과 제천운수가 있으며, 2015년 기준으로 총 시내버스 인가 운행댓수는 총 68대이다.
주요 버스 환승센터는 중앙시장과 동산앞. 대부분의 버스노선이 이 세 군데중 하나를 경유하도록 짜여져 있다. 버스는 행선지에 따라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2010년부터는 두 자리는 동지역, 세 자리는 읍면지역 운행 버스이다. 읍면지역 운행 노선 중 일부는 단양, 영월 지역으로도 운행한다. 충주시 시내버스와는 백운에서, 원주시 시내버스와는 학산과 주천에서, 영월군내버스와는 한반도면(서면), 쌍용, 주천에서, 평창군내버스와는 주천에서 접속된다. 통학통근 전용 맞춤노선이 다수 운행중이며, 시내를 구석구석 후비고 다닌다.
버스의 대부분이 BS090과 그린시티이고[1] 극소수의 BS110CN과 카운티(..)만으로도 교통수요가 모두 커버된다[2].
읍면지역 운행 버스의 경우 처음에는 후승전강 방식으로 하차시 요금을 계산했으나, 2009년 이후부터는 카드와 현금 모두 승차시에 계산한다. 시계내 면내 이동시(수산-수산, 청풍-청풍 등) 시내 기본요금과 동일하지만 박달재터널을 넘어서 백운으로 가는 노선, 시계내 오지노선은 따로 할증이 붙는다.
일단 셋 이상이 움직인다면 택시가 더 저렴한 경우가 허다하다. 맞춤버스가 오전에만 다니는 고로 아침에는 버스 타더라도 하교시에는 네명이 조 짜서 택시 타는 경우가 많다. 아님 걸어다녀도 되고
제천시내에서 봉양읍으로 나갈 때에는 시외버스를 이용하면 200원 저렴하고, 시내에서 매포 및 단양으로도 시외버스가 자주 운행중이니 차를 놓쳤다면 참고하자.
참고로 제천시 시내버스가 최대속도 리밋이 60km/h(...)이다. 이정도면 KD보다 느린듯 청풍이나 영월에서 과속으로 추락하지 말라고 낮게 걸었나보다 차가 없는 한적한 직선길에서도 60km/h 넘기는건 드물다. 그 이상으로 달리면 버스에서 삐소리가 난다. 2012년경 시내 정류장 몇 곳에 버스 시간표를 출력해주는 두 줄짜리 LED 전광판이 설치되었는데 그닥 쓸모가 없어서 철거되었다. 그리고 2015년 7월을 전후하여 진짜 시내버스 운행정보안내기가 주요 시내버스정류장마다 설치되어 시내버스 이용에 한결 편의가 나아졌다. 노선번호 등의 정보와 현재위치, 남은 시간 정도만 알려주는 LED 전광판형과 노선 관련 정보검색 및 조회 열람까지 가능한 스크린형 두 가지로 도입되었으며 전자는 제천시내 각지의 주요 정류장에, 후자는 유동인구나 경유 노선이 특히 많은 동지역 정류장 중심으로 설치되었다
제천시내버스는 충청북도 시내버스 중에 유일하게 이비단말기가 아닌 삼원FA 3G 단말기이며, 다른 충북지역이 티머니가 호환되고 충주시 시내버스 무료환승제도가 도입된 2011년에 이비단말기로 바꾼것과 달리 2010년에 승차권 제도 폐지, 후승전강(後乘前降; 뒷문으로 승차하여 앞문으로 하차)에서 전승후강(前乘後降; 앞문으로 승차하여 뒷문으로 하차) 방식으로 변경, 무료환승제도를 도입하면서 타 충북지역보다 1년 일찍 KEBT(현 코나아이) 단말기에서 삼원FA 3G 단말기로 교체되었다.만약 단말기가 교체된다면 이비신형으로 교체되거나 삼원FA 신형으로 교체될것이다
대우버스 즐거운 나의 집/엘리제를 위하여 멜로디 하차벨소리가 타 지역은 하이파워에서 로얄시티로 넘어오면서 삐- 소리로 바꾼것과는 달리 2008년식 이후의 BS090 F/L에서도 멜로디 하차벨소리가 나온다.[3] 현대버스 e-카운티, 그린시티의 경우는 추가바람.
2 운임
제천시내버스의 기본적인 운임은 다음과 같다. 현재의 요금체계는 2014년 1월 30일부터 실시하고 있다.
종류 | 어른 | 청소년 | 어린이 |
현금 | 1300원 | 1000원 | 650원 |
교통카드 | 1200원 | 900원 | 550원 |
시계외 2구간 운임이 폐지되어 관내 모든 구역이 동일하게 기본요금이다.
교통카드를 사용할 경우 충청북도내에서는 100원이, 강원도내에서는 20원이 할인된다. 또한 시경계를 벗어날 경우 구간요금이 추가되는데, 운임은 50원 단위로 추가되며 제한폭은 없다. 단양 및 영월에서의 기본요금은 해당 지자체 요금에 맞춰주기 때문에 시내요금보다 약간 저렴하다.
환승은 하차 후 40분 이내 1회 무료이다. 다만 이게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해서 재승차 여부를 확인하는지, 21번을 타고 제천역에서 내린 후 같은 버스가 31번으로 번호를 바꿔 달고 나오면 환승시 무료환승이 안 된다. 일반적인 승하차 패턴상 저럴 일은 없겠지만(...) 제천버스와 단양, 영월, 원주, 충주버스간에는 환승이 불가능하다.
선불교통카드는 캐시비(마이비 충북e카드)를 사용한다. 티머니, 레일플러스, 하나로카드는 호환 사용중. 티머니는 편의점과 시내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체국에서 충전할 수 있지만[4], 캐시비하나로카드가 아닌 구형 하나로카드는 롯데계열 매장 내부의 롯데ATM을 제외하고는 충전할 수 있는 곳이 없다.[5] 후불교통카드는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M형, MT형), BC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M형, MT형)를 이용할 수 있다.
시계외 특례운임구간도 있는 듯하다. 제천시계에서 아주 약간(2km 정도) 떨어진 단양군 가평1리 같은 경우 시계외임에도 불구하고 시내 1구간 요금과 동일한 1300원. 제천시내에서 영월군 서면까지는 시계외요금 2200원을 받지만, 제천시 송학면에서 영월군 서면까지는 시내 1구간 요금과 동일한 1300원을 받는다.
3 노선 정보
시내버스 시간표(2015. 07.)
시내버스 노선은 이용객 감소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없는 비수익노선, 벽지노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단적으로 1990년대에는 BF105 등 중형버스 위주였던 차량들이 2000년대 후반부터 BS090 등 소형버스 위주로 바뀌어도 입석이 잘 생기지 않는다. 2003년 1월에 노선별로 노선번호를 부여하기 시작했으며 2010년 7월 무임환승 및 환승할인제 시행과 동시에 운행노선이 대폭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크게 일번대 노선/십번대 노선/백번대 노선으로 나뉘며, 일번대 노선은 일부 무번호로 운행해온 학교선을, 십번대 노선은 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백번대 노선은 도심 지역과 그 외곽지역 이라 쓰고 농촌이라 읽는다, 또는 타 지역을 운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3.1 학교선 (일번대)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노선번호를 달지 않고 행선지만 꽂은 채 운행하는 일이 많았지만 최근 버스노선체계를 대대적으로 정비하면서 번호가 부여되었다. 본래 통학노선은 학생들을 더 많이 쓸어담아서 지각하기 전에 학교에 내려주는게 목적이라, 출발 시간과 노선이 매우 아스트랄하다. 청전두진백로 앞길 등 아예 통학노선만 정차하는 정류장도 많이 있는 편. 버스 시간표를 받아보면 거기에 정차 정류장이 적혀 있고, 포털 지도의 교통정보에도 노선이 실려있으니 참고하자. 이 외에도 특정 시간대에만 노선을 바꿔서 통학용으로 운행하는 읍면지역 노선도 있다. 930 의림여중, 925 여고 등등.
- 1-2, 1-3, 1-6 - 장락주공 → 제천동중학교 운행
- 1-4, 1-5 - 청전동 → 제천동중학교 운행
- 2-1, 2-3 - 청전동 → 제천산업고등학교 운행
- 2-2 - 장락주공 → 제천산업고등학교 운행
- 3-1 - 대원대학 → 세명고등학교 운행 : 당연히 세명대 안을 타고 넘는 노선은 아니다(...)
- 3-2 - 신백덕일 → 세명고등학교 운행
- 3-3 - 장락주공 → 세명고등학교 운행
- 4-1 - 제천역 → 제천여자중학교 운행
- 4-2 - 천남코아루 → 장락주공 운행
- 4-3 - 신백덕일 → 장락주공 운행
- 5-2 - 신백덕일 → 강저주공 운행
- 6-1 - 천남코아루 → 대림e편한세상 운행
3.2 시내노선 (십번대)
세명대, 대원대 방향 버스(31, 51)는 방학중 감차가 엄청나다. 학기중에 10분 배차로 오던 노선이 방학중에는 20분에서 25분까지 배차가 벌어진다. 다른 노선이 경유하지 않는 가톨릭사회복지관-성한아파트 앞을 65번과 67번이 지나가지만 배차가 안습하니 그냥 걷자(...)
- 21 - 고암아파트 ↔ 제천역(로터리) 운행 : 옛 201번. 역에서 고암동 방향으로는 대다수 시간대에 900번대 노선이 역오거리에서 번호만 바꿔달고 운행한다. 이 노선 기점이 그냥 제천역이 아니고 제천역(로터리)인 이유. 역전광장에서 기다려도 버스가 오지 않을 수 있으니, 차라리 역오거리 길 건너 신협 앞 정류장에서 기다리는 편이 낫다. 고암동에서 역 방향으로는 그냥 900번대를 달고 운행하는 경우가 더 많다. 다행히도 둘 다 버스 시간표에는 21번 역오거리라고 표시되어 있다. [6]
- 31 - 세명대학교 ↔ 제천역 운행 : 옛 301번. 지도를 따라 노선을 그려보면 제천역이 있는 영천동에서 출발해 대로를 타고 쭉 올라가
중간에 새지 않고명동 - 중앙동 - 청전동 - 고암동 - 신월동 세명대사거리까지 도심 중앙을 거의 관통하는 노선이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참고로 밑에서 서술된 다른 30번대 노선은 이 노선의 파생형이라고 볼 수 있다.
- 35 - 청소년수련원 ↔ 제천역 운행. 31번 노선에서 세명대 경유기능을 빼고[7] 솔밭공원 뒤편 용두산 방향으로 연장시켰다. 제천시 청소년수련원까지 연결하고 회차하는데다 하루 배차도 3회로 매우 적기 때문에 그 한참 뒤편에 있는 피재골 약수터나 휴양림에 볼 일이 있는 시민들은 하릴없이 자가용을 끌고 온다. 근데 제천시 시내버스 운영사 입장에서도 이럴 수밖에 없는 게, 우선 수요가 희박하다.(..) 안습
- 37 - 세명대학교 → 신백덕일 운행. 옛 306번. 화살표가 단방향으로 된 것에서 알 수 있듯 31번이 세명대 도착 후 제천역으로 가지 않고 번호를 바꾸어 신백덕일로 향한다고 보면 된다. 야간에 1회 편성되어 있다. 신백동, 동현동, 남천동 일대에 거주하며 야간자율학습을 마치고 하교하는 제천고, 제천여고 학생이라면 이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타이밍을 잘 잡아야 된다. 늦을 듯싶으면 교문을 나서고 정류장까지 뛰어가야 한다.
- 38 - 무덤실(무곡) → 제천역 운행. 아침에 1회 편성되어 있다.
- 46 - 신백동 극동@, 덕일@ ↔ 장락주공 운행 : 옛 406번. 신백동을 운행하는 도심순환 시내버스의 9할 이상을 차지하는 노선이다. 신백등 극동아파트나 덕일아파트에서 시내버스를 기다린다면 십중팔구 이 버스만 온다. 이 버스만으로도 하소동을 제외한 메가박스나 중앙시장, 공원, 버스터미널, 시 보건소, 청전동 및 장락동 아파트 단지 등 도심 대부분을 커버칠 수 있고 배차간격도 15분 내외로 매우 짧다. 본래는 신백동으로 진입할 때 1998년부터 2014년 중반까지 제천제일고 바로 앞의 사거리를 교차하는 대신 신백동과 동현동을 이어주던 과선교를 타고 넘어왔기에 버스가 신호에 걸리지 않고 쾌속으로 질주했었으나 현재는 해당 과선교가 태백선 제천 시내 구간 이설 이후로 철거 완료되어 해당 풍경은 사라졌다. 그리고 한때 철거 공사 때문에 노선이 동현육교 - 동현동 후미 쪽으로 일시 변경되어 다녔었으나 2014년 12월 24일부로 해당 구간이 임시 재개통되면서 노선이 원상복구되어 지금에 이른다.
- 47 - 장락e편한세상 ↔ 제천시청 운행. 옛 407번. 설, 추석 당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 51 - 강저주공 ↔ 대원대학교 운행 : 옛 501번. 현재는 강저주공과 대원대학교를 잇는 노선으로 원래는 제천역 - 대원대학교 간을 운행했으나 강저택지개발계획이 수립되고 주공이 들어서면서 추가연장된 듯. 제천역 시종착 시절에는 제천역에서 시발하여 31번과 같이 도심 대로를 타고 올라가다가 옛 동양증권 부근 사거리에서 좌회전해서 청전동, 대제중학교를 거쳐 하소동으로 빠지고 한 바퀴 훑은 다음 대원대학교로 북향하는 버스였다.
- 58 - 강저주공 ↔ 산업단지 운행 : 강저택지개발계획이 수립되고 주공이 들어선 후, 제천 제2일반산업단지 등의 유치와 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 유치 등으로 강저 일대와 왕암동에 유동인구가 생기자 제천역을 사이에 두고 이를 하나로 잇고자 신설된 노선으로 보인다.
- 65 - 신백덕일 ↔ 하소원뜰 운행 : 옛 506번. 운행노선계통상으로 본다면 본디는 신백동에서 시내 중심부 및 하소동을 거쳐 대원대학교로 직결되던 노선의 후계이지만 수요 문제로 하소동 원뜰 ~ 대원대학 구간이 잘려서 축소되고 현행 노선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506번 시절에는 배차가 하루에 편도 서너 대 이하일 정도로 거의 없었으며 그마저도 방학 기간이면 전부 휴업할 지경이었지만 지금은 일 10회 이상 편성되었고 휴일 감차도 2편밖에 없다. 대신 설, 추석 당일에 전부 운휴한다.
- 66 - 신백덕일 → 제천역 운행 : 옛 601번. 신백동 극동, 덕일아파트에서 제천역으로 직결되는, 배차가 얼마 없는 노선이다. 대충 봐도 공차회송하는 버스를 영업운전 돌리는 것 같다(...). 이 노선 자체를 아는 사람만 어쩌다 이용하는 노선일 정도로 인지도가 낮다.[8]
- 67 - 신백덕일 ↔ 엑스포단지 운행 : 하소동의 원뜰까지는 65번 버스와 같다. 그러나 원뜰에서 신월동으로 빠지는 대신 미당 쪽으로 빠져서 다시 왕암동으로 빠지며 거기에 조성된 엑스포공원에 종착한다. 노선상으로만 본다면 제천 도심의 동서횡단 수준(..)인데 배차도 잘 보이지 않을 뿐더러 엑스포공원 들어오는 버스 노선 자체가 이 노선밖에 없어 뭔가 아스트랄하다(..) 역시 설, 추석 당일 운휴.
3.3 시외노선 (백번대)
- 단양 방면 : 제천역 ↔ 신중앙시장 ↔ 매포(평동)
- 120 : 평동 ↔ 한일사택 (단양군 매포읍)
- 130 : 평동 ↔ 한일사택 ↔ 하괴삼거리 (성신양회) ↔ 도담삼봉 (단양군 매포읍)
- 140 : 평동 ↔ 한일사택 ↔ 어의곡리 (단양군 매포읍)
- 150 : 평동 ↔ 대가리 ↔ 하원곡 ↔ 상원곡 (단양군 적성면)
- 160 : 평동 ↔ 한일사택 ↔ 상진리 ↔ 다누리센터앞 (단양시외버스터미널, 단양군 단양읍)
- 161 : 160에서 복편만 신중앙시장 → 신제천새마을금고 → 제천여고앞 → 역전시장
- 170 : 평동 ↔ 한일사택 ↔ 상진리 ↔ 다누리센터앞 ↔ 고수동굴 (단양군 단양읍)
- 170(상시마을) : 170에서 왕편만 영천 → 상시 → 상시 (상시마을 안길 경유)
무슨 의미일까;;
- 170(상시마을) : 170에서 왕편만 영천 → 상시 → 상시 (상시마을 안길 경유)
- 쌍용 방면 : 제천역 ↔ 동산앞/시민회관 ↔ 교동 ↔ 명지병원 ↔ 송학 ↔ 쌍용역
- 220 : 송학 → 사곡리 → 입석리 → 당곡 (입석2리) → 사곡리 → 쌍용양회 → 쌍용역 → 사곡리 → 송학 (막차 한정, 즉 1일 1회 운행이다)
- 233 : 쌍용역 ↔ 토교1리 ↔ 토교2리 ↔ 토교3리 ↔ 토교4리
- 240 : 쌍용역 ↔ 토교1리 ↔ 석교 ↔ 임현1리 (어상천)
- 241 : 쌍용역 ↔ 토교1리 ↔ 가대리 ↔ 석교 ↔ 임현1리 (어상천)
- 244 : 쌍용역 ↔ 토교1리 ↔ 가대리 ↔ 석교 ↔ 임현1리 ↔ 율곡리 ↔ 심곡삼거리 ↔ 가대2리 ↔ 가대1리 문화마을
- 250 : 쌍용, 만종, 석간동 (토교 미경유)
- 260 : 쌍용역 ↔ 토교1리 ↔ 가대리 ↔ 석교 ↔ 임현1리 (어상천) ↔ 가대리 ↔ 영춘, 구인사 (만종 석간동과 유암2리 명전에 들어가는 가지노선도 있다. 어상천에 가면 토교 경유, 만종 명전은 토교 어상천 미경유)
- 주천, 수주, 중선 방면 : 제천역 ↔ 동산앞/시민회관 ↔ 교동 ↔ 둔전골 ↔ 포전리 ↔ 송한리 ↔ 주천
- 420, 421, 430, 431, 440, 441, 442, 443, 450, 451, 452 - 왕암동, 제천디지털전자고교, 학산 방면
- 520, 522, 523, 530, 540, 541, 550 - 입석, 서면 방면
- 오미, 두학, 자작, 어상천 방면
- 630 : 제천역 ↔ 신중앙시장 ↔ 두학 ↔ 자작 (이 번호만 마을 안에서 회차)
- 640 : 제천역 ↔ 신중앙시장 ↔ 두학 ↔ 자작 ↔ 연곡 ↔ (중거리 ) 어상천
- 650 : 제천역 ↔ 신중앙시장 ↔ 두학 ↔ 무도3리 ↔ 송학 (→ 송한1리) ↔ 송한2리 ↔ 오미리
- 670 : 제천역 ↔ 신중앙시장 ↔ 신백동주민센터 ↔ 세거리 (고명역) ↔ 한천
- 690 : 제천역 ↔ 신중앙시장 ↔ 신백동 덕일한마음아파트 ↔ 두구메마을 ↔ 탑안마을 ↔ 고암1통 ↔ 수도사업소
- 820, 830, 851, 852, 860, 870, 881, 882, 890, 891, 892, 893, 894, 895 - 봉양, 백운, 학산 방면
- 921, 925, 930, 940, 950, 951, 952, 953, 954, 955, 960, 961, 962, 970, 971, 973, 974, 980, 982 - 청풍, 수산, 덕산, 송계계곡 방면
- ↑ 2000년대 당시 주력 차종이었던 BS090이 2010년대에 와서 그린시티로 대차되어 가는 추세이다.
- ↑ 예전에는 BS106 로얄시티도 있었으나 전량 대차되어 없어졌다.
- ↑ 심지어 2007년식 이후부터는 딩동- 딩동- 소리 옵션이 추가되었으며, 2010년식 이후로는 기본사양이 되었다.
- ↑ GS25와 CU, 일부 자체 브랜드 편의점에서 티머니를 판매하고 있다. 국민, 우리, 하나은행 영업점에서는 선불식 티머니 체크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 ↑ 이는 부산광역시를 제외한 지역의 공통 사항이다.
- ↑ 노선번호가 세 자릿수이던 시절에는 고암아파트와 신백 극동덕일아파트 간을 운행하는 206번 버스도 있었으나 배차가 극명하게 줄어들더니 수요 부족으로 2000년대 초중반에 일찌감치 폐지되었다. 그런데 폐지되고도 몇 년 간은 중앙공원 정류장에 아직도 운행하는 노선인 양 친절한 설명이 다른 노선과 함께 안내되어 있었다.(..) 물론 지금은 정류장 자체를 뜯어고친 지 좀 되어서 사라졌다.
- ↑ 단, 토요일, 휴일, 방학에는 복편이 세명대를 경유한다.
- ↑ 심지어 버스 내에 승객도 거의 없고 시간도 한가로울 경우 배차간격조정 등을 이유로 신백덕일한마음아파트 정류장에서 아예 시동끄고 10여 분 가량 대기하면서 406번 버스가 먼저 승객을 태우고 내리고 떠나간 뒤에 슬슬 엔진 시동을 건다거나, 아예 버스 승객들에게 406번 버스로 옮겨 가시라고 친절하게 안내하는 경우도 극히 일부 있었다(..)
뭐야 이 니트스러운 노선은아주 가끔 406번이나 306번 버스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있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