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동론

Organizational Behavior

1 개요

조직행위론이라고도 한다. 경영학 내에서는 조직관리 (인사조직경영), 사회학 내에서는 산업심리학, 행정학 내에서는 행정조직론의 일부로, 조직 내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사관리 분야의 기초가 되는 과목이다.

2 주된 내용

  • 왜 조직행동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 왜 직관적인 생각보다는 체계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해야 하는가?

2.1 개인

  • 조직의 다양성 : 개인신상 특성, 능력 등에 의해 각자 차이를 보인다. 사측은 다양성 관리 전략을 실천해야 한다.
  • 태도와 직무만족
  • 감정, 기분, 감정노동, 정서적 사건 반응이론, 감성 지능(EQ), 감정 조절
  • 성격, 가치, 성격과 가치의 직장에 대한 적합성
  • 지각, 지각이 타인에 대한 평가에 적용될 때, 지각이 개인적 의사결정에 적용될 때, 조직 내 의사결정에 지각이 미치는 영향, 행정윤리, 창의적인 의사결정과 조직 내 혁신
  • 동기부여, 동기부여 이론들의 역사, 직무 설계에 의한 동기부여 (직무특성모형), 종업원 참여, 동기부여를 위한 보상의 사용 (인센티브)

2.2 집단

  • 집단의 정의와 분류, 집단 발전의 단계, 집단 속성[1], 집단 의사결정
  •  : 팀의 유형, 다른 집단과의 차이, 효과적인 팀을 만드는 법, 개개인을 팀플레이어로 바꾸는 방법
  • 의사소통(communication) : 기능, 과정, 방향, 방법, 경로 선택, 장애 요인, 설득
  • 리더십 : 리더십 특성 이론, 행동 이론, 상황 적합 이론, 리더-부하 교환 이론, 카리스마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도덕과 신뢰에 기초한 진실한 리더십, 멘토링, 유능한 리더를 발견하거나 양성하는 방법,
  • 권력과 정치 : 리더십과 권력의 대조, 권력의 기반, 권력의 핵심으로서의 의존성, 권력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 불평등한 직장 내 권력이 성희롱을 일으키는 사례, 정치적 행동
  • 갈등, 갈등의 유형과 소재, 갈등의 과정, 협상
  • 조직구조, 조직 설계, 조직구조가 다양한 이유, 조직설계가 직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

2.3 조직 시스템

  • 조직문화 : 역할, 형성, 유지, 구성원들이 문화를 학습하는 과정, 윤리적 문화 형성, 긍정적 문화 형성,
  • 인사(HR) : 채용, 선발, 직무교육, 성과 평가. 이 과정에서의 제도와 관행.
  • 조직변화 :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 변화에 대한 저항, 계획 하에서 변화를 관리하는 방법, 변화를 위한 조직문화 만들기
  • 업무 스트레스와 관리

3 비판

내용 자체는 기업/행정조직을 이해하고 더 낫게 바꾸기 위해 아주 의미있는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쓸모없다"는 류의 비판이 많다.

먼저, 조직구조 내에서 권한 부여/감사/징계/내부고발 등 제도적 여건이 갖춰져 있지 않으면 약자의 입장에서는 강자가 잘못된 행동을 해도 해결할 방법이 없이 당하기만 할 수밖에 없어서이다. 책에는 '이런 행동을 통제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쓰여 있고 '감사 제도를 확충해라' 하는 제도적 해결책 정도만 나와 있는 게 보통이다. 수십명 수만명 규모의 조직에서 말단 실무자는 조직 내의 인사 제도에 대해 별다른 발언권이 없기 때문에 약자는 알아봤자 소용없는 내용이다.
그리고, 술 강요회식 강요, 일이 없는데도 야근 강요, 괘씸죄를 통한 의사소통의 차단, 이야기를 해놓고 정반대로 알아듣지 않으면 모욕을 주는 완곡표현, 이야기를 하지 않고 텔레파시를 통해 알아듣지 못하면 모욕을 주는 눈치, 직장 내에서 욕설/고함/갈굼/내리갈굼 등의 폭언, 연대책임연좌제, 나이나 연공서열에 따라 옳고 그름을 정하는 나일리지꼰대니즘 같은 '한국식 조직 악폐습'에 대해 학부 교과서에서 그리 세심하게 다루지 않는 것도 그 원인이다. 연구는 하고 있지만, '이런 가혹행위가 있다'라고 분류를 하거나 '이런 행동은 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는 정도이지, 2016년 현재 한국 관공서나 대기업에서는 인사고과나 감사 제도를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방법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한국 대기업에서는 "후임을 바짝 긴장하게 만들어 선배에 대한 반항없이 상명하복하게 만드는 것"을 '강한 조직문화'라고 표현한다.[2]

또 강단에서의 시험 문제가 직장인들이 겪게되는 조직행동 관련 문제들과 동떨어진 것도 한 몫 한다. 가령, 1870년대 영국 역사에 대해 잘 알게 된다고 해서 2010년대 한국 대기업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되는 것은 아니다.

역사 관련 문제 : 산업화가 일어나게 된 원인 2가지를 쓰시오.

요소 n가지를 쓰는 문제 : 조직이 필요한 이유 3가지를 쓰시오.
개념을 정의하는 문제 : 거래비용을 정의하시오.

물론 경영학 교수들도 이를 인지하고 있어서, 조직설계경영전략 같은 심화과목들에서는 문제상황 사례(case)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해 묻는 Case-based and Problem-based teaching method를 많이 사용한다. 실제로 이런 케이스가 제시되면 학생들이 발표를 통해 케이스를 분석 후 이를 기반으로 활발하게 의견을 제시하는 편이며, 학생들이 서로가 제시한 해결책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토론한다. 이를 Case Competition이라고 한다.

그리고 조별과제를 통해 조직행동론 관련 문제를 30분 정도 발표하게 시키고 성적에 반영하게 하는 프리젠테이션 평가도 진행한다.
  1. 역할, 규범, 지위, 규모, 응집성, 다양성
  2.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기업문화는 기업마다, 산업직종마다 차이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