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군 | ||
?width=100 | ?width=100 | ?width=100 |
중화민국 육군 | 중화민국 해군 | 중화민국 공군 |
동아시아의 공군 | |||||
대한민국 공군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 인민해방군 공군 | 중화민국군 공군 | 항공자위대 | 몽골군 공군 |
중화민국군 공군 상징 | 라운델 |
1 개요
중화민국 공군(中華民國空軍)이라는 조직은 1920년에 조직되었다. 손문에 의해서 광저우에서 출발하나 남중국의 군벌들의 반발로 해산되었다가 장제스가 1929년 육군군관학교에서 항공반을 운영하면서 다시 부활하게 된다. 재창설되는 1929년부터 당시 미 공군인 미 육군항공대의 영향을 상당히 많아 받았다. 결국 1931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이 시작하여 중일전쟁에서 중국의 항공 전력으로 일본군 육군항공대와 싸웠다.
국공내전 때 국민당군이 우세했던 초기 이유 중 하나이자 대만으로 갈 수 있었던 것도 사실 공군 덕분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실제로 대만으로 철수 이후에 가장 많은 실전을 경험한 대만군의 군종이라면 바로 이 공군이기 때문이다. 냉전시기에 미 공군의 지원을 받으면서 상당히 높은 성장과 거대한 규모를 확인해볼수 있었다.
대한민국 공군 창설자 중 광복군 출신자들 상당수가 여기 출신이었다. 대표적인 예로 초대 국방부 차관과 제2대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한 최용덕 장군과 김구의 아들이자 제6대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김신 장군이 있다.
2 조직
공군 사령부라는 한국공군으로 치면 공군본부를 두고 있다. 정식 명칭은 공군지휘부가 맞다. 그 예하로 조직은
- 공군 전투 지휘부
- 방공포병 지휘부
- 교육 및 교리 개발 지휘부
- 미사일 지휘부
로 큰 범주로 나뉘어져있다. 2006년에 미사일 지휘부가 육군에서 공군으로 넘어옴으로서 공군체계로 가게 되었다. 따라서 중화민국군의 전략무기 통제는 공군에서 담당하게 된다. 대만 공군도 본토수복 포기이후과 군제개편으로 축소되어가는 위치에 있었고 비행단의 개편도 나오게 되어서 상당히 쪼개졌다. 덕분에 큰 상위제대의 비행단이 적은대신에 전대급 수준의 비행중대가 운영되어서 상위제대에서의 비행단은 2~3개 전투비행단과 1개 교육및 지원 비행단으로 규모가 작지만 전대급 개념에서의 독립부대들을 전력으로 편제 운영하고 있다.
3 보유 기체
3.1 전투기
중화민국 공군의 전투기[1]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보유 수량 | 기타 |
F-16A/B(Block-20) | 전투기 | 미국 | 145 대 | CCIP 개량을 통하여 V형이라는 명칭으로 개량될 예정 |
미라지 2000 | 전투기 | 프랑스 | 56 대 | 대만해협 상공 등 영토 외곽에서, 1차적인 고(高)고도 요격 임무 수행. |
F-5E/F | 전투기 | 미국 | 23 대 | |
F-CK-1징궈 | 전투기 | 중화민국 | 128 대 | 대만 영토 상공에서, 저고도 요격 및 대함 타격 임무 수행. |
총 기체수 | 320 대 |
3.2 지원기
중화민국 공군의 정찰기 & 조기경보통제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보유 수량 | 기타 |
E-2T/K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 미국 | 6 대 | |
C-130HE | 정보수집기 | 미국 | 1 대 | |
총 기체수 | 7대 |
3.3 수송기
중화민국 공군의 수송기 & 공중급유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보유 수량 | 기타 |
보잉 C-130H 허큘리스 | 전술수송기 | 미국 | 19 대 | |
보잉 737 | VIP 전용기 | 미국 | 1 대 | |
포커 50 | VIP 전용기 | 네덜란드 | 1대 | |
총 기체수 | 21대 |
3.4 훈련기
중화민국 공군의 훈련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보유 수량 | 기타 |
T-34 | 기초훈련기 | 미국 | 42 대 | |
AT-3 자강 | 고등훈련기 | 중화민국 | 56 대 | |
F-16A/B(Block-20) | 기종변환훈련용 | 미국 | 소수 | F-16B |
미라지 2000 | 기종변환훈련용 | 프랑스 | 소수 | 미라지 2000-5DI |
F-5E/F | 기종변환훈련용 | 미국 | 소수 | F-5F |
F-CK-1징궈 | 기종변환훈련용 | 중화민국 | 소수 | F-CK-1B/D |
총 기체수 | 96대 이상 |
3.5 헬기
중화민국 공군의 헬리콥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보유 수량 | 기타 |
S-70 | 수송용 | 미국 | 17 대 | S-70C-1A |
EC225 | 수송용 | 프랑스 | 3 대 | |
총 기체수 | 20대 |
4 운용 장비(항공기 제외)
5 기타
1980년대부터 가산계획(佳山計劃)이라는 사업명으로 동부의 산악 지대(예: 화롄, 타이둥)를 중심으로, 다수의 공군기들이 피신 및 대기할 수 있는 지하 격납고를 구축하고 있다. 중국이 압도적 규모의 탄도미사일, 공군력을 앞세워 침공할 경우에 주력 전투기들의 대부분을 보존하고, 추후 동원할 수 있는 능력을 보장하기 위한 것.
- ↑ 1990년대 이후 신형기체 도입이 잘 안되고 있는 편이다. 중국의 신형 기종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2000년 이래 F-16C/D 도입을 희망하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기존 F-16A/B의 성능 개량 정도만 제시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