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삼국지)

1 삼국시대 촉나라의 인물

陳到
(? ~ 230년 이전)

는 숙지(叔至). 여남 출신.

공적과 실력에 비해 기록이 적어서 인지도가 매우 낮아 거의 투명인간 취급을 받고 있다.

1.1 정사

정사의 계한보신찬에서 조운과 함께 언급된다.

정남장군(조운)은 성정이 후덕하고, 정서장군(진도)은 충성스럽고 강직하다. 당시 선발된 병사를 지휘하여 맹장으로써 공훈을 날렸다. - 계한보신찬

주석에서 아주 약간 더 소개되어 있다.

자는 숙지(叔至). 여남 사람이며 예주에서부터 유비를 수행하였다. 용맹하고 충직한 맹장으로, 명성과 관위는 조운 바로 다음이었다. 후에 영안도독과 정서장군에 올랐으며, 정후에 봉해졌다. - 계한보신찬 주석

이외의 정사 및 제갈량이 형에게 보낸 서신에 약간의 기록이 더 전해진다.

제갈량은 한중으로 출병하려고 하면서 이엄이 반드시 뒷일을 맡아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강주로 옮겨 주둔시키고, 호군 진도를 남겨 영안에 주둔시켜 모두 이엄의 통솔하에 두었다. - 이엄전

제갈량이 본격적으로 북벌을 추진하던 226년에는 이엄 휘하에서 대오전선에 종군했다.

형장(제갈근)께서 백제성에 주둔하고 있는 군사가 비정예병일까 봐 근심하셨는데, 사실 진도가 영솔하는 군사는 선제의 군사들 중에서도 백이로써 촉나라의 정예부대입니다. 만약 군사가 적은 것이 근심되신다면 강주의 군사를 이동시켜 병력을 강화할 것입니다. - 태평어람

이 서신은 제갈량이 북벌에 나서기 직전 형 제갈근에게 서쪽의 요충지인 백제성의 방비에 대해 걱정하는 서신을 받고 답한 것인데 진도가 이끄는 병력이 선제(유비) 때부터 내려오는 촉에서도 손꼽히는 정예부대라고 적고 있다. 사천성 일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 중에 이족(彛族)이 있는데 이족 남자들은 흰 모전으로 지은 옷을 입어서 이 백이(白彛)의 병사들을 유비 시절 편성한 이민족 군단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최종 관직은 정서장군인데, 『화양국지』에 의하면 강유가 230년에 정서장군이 되었으므로 그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1.2 평가

종합하면 유비가 제대로 된 기반을 갖추지 못하고 있던 시절부터 수행해 신야-형주-입촉의 과정을 모두 거쳤으며, 대오 전선에서 상당한 비중을 가졌고 자국내에서 정예로 꼽히는 강병을 이끈 숙장으로 그 기량이나 신임이 상당하지 않았을까 추정된다.

그러나 기록이 없다. 활동 기간이 대충 30여 년 정도이고 직위도 낮지 않았던 숙장인데도 없다. 촉은 진짜 기록이 좀 부족한 듯 싶다.[1][2]

나관중이 진도를 삼국지연의에 등장시키지 않았던 이유는 상기한 것 외에는 자료가 전혀 없어서였을 것이다.[3]

1.3 미디어 믹스

참고로 삼국지대전에서도 등장했다. 그 쪽에서는 '헌신적인 전공을 세웠지만 문헌에서는 기록이 미비한 수수께끼의 장군'이라는 부연 설명이 붙었다.

삼국지W에서는 3성에다가 능력치도 웬만한 장수들(3성장 포함)보다 좋다. 이로써 카포는 평생까임권을 획득했다.

삼국지 공명전 콘솔판에서 방통을 살릴수 있는 분기점인 파서 전투[4]에서 엄안의 부하 장수로 등장한다. 전투가 끝난 후 등용되고, 이후 엄안은 남만 정벌 후 떠나지만 진도는 계속 남는다. 클래스는 무지막지한 성능을 자랑하는 경기병 계열. 인상깊은 점은 제갈첨과 동일한 얼굴 일러스트이다.

Chen_Dao_%28ROTK11%29.jpg
삼국지 11
삼국지 12,13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6부터 등장한다. 가끔 안 나올 때도 있었지만 나오게 되면 '조운에 버금갔다'라는 설명이 붙어서 나온다. 능력치는 통솔력이랑 무력이 70대 가량에 고만고만한 정도이다. 있으면 나쁘지는 않은 수준

삼국지 6에선 무력이 85이다. 용맹하며 명성이 조운에 버금갔다곤 하지만 기록이 너무 없어서 더 올리기는 무리.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2/지력 62/정치력 66. 분전, 돌파, 기사, 제사, 파괴를 가지고 있다. 효율이 떨어지는 1단계 병법만 잔뜩 있는 장수... 그래도 어느정도 데미지를 뽑아낼 수 있는 무력에 아주 낮지는 않은 지력, 방어용 전법 파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키워볼 수는 있다. 2단계 이상 병법이 절실하기 때문에 세력 병법으로 돌진을 가진 마등, 여포군이나 주사를 가진 공손찬군과 효율이 좋은데 재야로 있는 도시가 여남이라 초반에 원술이나 유비군으로 흘러가 버리는 일이 많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4/지력 65/정치력 50/매력 72에 특기는 5개. 내정용으로 쓸 특기는 보수 하나고 나머진 전투, 일기토 특기인데, 유비군이야 암울하던 여남 시절에도 인재풀은 그냥저냥 되기 때문에 에이스로 쓰기엔 조금 무리. 출사표 시나리오 때까지 장수한다는 게 그나마 장점이다. 조운 다음가는 용맹을 가졌다는 기록 때문인지 조운과 전역조합이 있다.

삼국지 11에서도 삼국지 10 때와 능력치는 비슷하지만 특기가 없다 안습.

삼국지 12에서는 어찌된 일인지 일러스트가 위의 무장 전예와 굉장히 비슷하게 나왔다. 게다가 전법도 둘다 똑같이 대타격이다.[5] 뭔가 노린 듯??

삼국지 13에선 통솔 76/무력 71/지력 67/정치 53로 전작과 능력치가 같은 촉의 중견 무장. 전수특기는 훈련, 보유전법은 채배치 4를 소모해서 아군의 공격 +40 사기 +20을 올려주는 공격지휘. 병과적성은 창병 A, 기병 A, 궁병 B이다. 촉군이다 보니 관우의 버프로 창병 적성은 S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유 특기는 훈련 4, 순찰 4, 신속 4. 병과적성이 좋고 신속을 가지고 있어 전장에서 그럭저럭 굴리는게 가능하다. 쓰기가 곤란하다면 장비같이 신속을 가지지 못한 무장의 부장으로 쓰는 것도 하나의 방법.

2 삼국시대 오나라의 인물

陳桃

생몰년도 미상

군의 관리로 어느날 꿈을 꾸었는데, 머리를 풀어헤치고 거친 갖옷(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은 도사가 우번과 만났다고 한다. 그 도사는 역경의 여섯 효를 우번에게 건네주면서 그 중에 세 효를 태워 우번에게 마시게 했으며, 우번이 여섯 효를 모두 삼키겠다고 청하자 도사는 역경은 천상에 있는 것이니, 지상에서는 세 효면 충분하다고 했다.

우번은 황제에게 진도가 이 꿈을 꾼 것을 상주하면서 '자신이 역경을 주석하라는 어명을 받을 줄 알았나보다'고 했다. 우번은 오나라에서 지방으로 부임한 경우가 많았는데, 항상 큰 싸움이 일어날 곳이나 외교적으로 문제가 될 곳의 중심지로 파견되는 경우가 많아서 어느 군의 관리인지는 알 수 없다.

2.1 관련 사료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진도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일단 후한말 인물이라 세월이 상당히 지난탓에 자연스럽게 실전되었고 + 성도에서 강유가 종회를 꼬드겨 벌인 난리 당시 수많은 촉의 기록들이 훼손되고 파괴된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된 것으로 보인다.
  2. 또한 진도의 기록이 부족한 원인에 대해서 제갈량부터가 문서 기록을 꼼꼼하게 챙기고 다녔고, 휘하 관리들도 그러한 업무 요강을 지키고 다녔음에도 불구하고 진도는 정작 기록이 빈약한 걸로 보아 평소엔 중요하지만 티 안 나고 수수한 임무에만 우직하게 전념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3. 촉장 중에 정사에서 기록이 거의 없음에도 연의에서 꽤나 비중있게 등장하는 케이스로 마대가 있지만, 마대는 그 몇개 안되는 기록이 다름이 아닌 위연을 참한 기록이라 보다 자연스러운 전개를 위해서 어느정도 나와줘야 할 필요가 있었다. 마침 연의에서 위연의 비중이 커지기도 했고.
  4. 선택지 중에 하나를 고르면 원래대로라면 낙봉파에서 죽게되는 방통을 살릴 수 있다. 조건은 파서 전투 15턴 이전에 클리어, 면죽관 전투에서 방통 퇴각 안 시키기이다.
  5. 차이가 있다면 전예는 왼팔을 들고 있으나 진도는 오른팔을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