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야구용어
1 개요
Quality Start. 야구에서 선발 투수의 능력을 평가하는 기록(Stat) 중 하나이다. 줄여서 QS로 표현한다.
퀄리티 스타트는 1985년 존 로 기자가 그 개념을 정리했으며, 1986년 워싱턴 포스트의 저스티스 기자가 사용한 이래 유명세를 떨쳤다. 그리고 2000년대에 들어서 야구전문지 베이스볼 위클리가 도입하면서 대중적인 스탯으로 자리를 잡았다. 퀄리티 스타트의 기준을 선발 투수의 승리요건인 5이닝이 아닌 6이닝으로 한 것은 한 경기의 2/3를 책임지기 때문이다. 한국프로야구(KBO)에서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기록은 아니다.[1]
퀄리티 스타트란 선발 투수가 6이닝 이상을 3자책점 이하로 막은 경기를 의미한다. 선발 투수가 호투했다고 할 때 그 평가 척도로 언급된다. "QS를 기록했기 때문에 선발 투수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했다"고 많은 기사나 해설에서 들을 수가 있다.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를 동시에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8이닝을 무실점으로 잘 던지다가도 9회에 4자책점을 기록해서 완투승을 했다고 해도 QS라 말하지 않는다. 거꾸로 5⅔이닝 퍼펙트 게임이라고 하더라도 6이닝을 채우지 못하면 QS를 주지 않는다.
퀄리티 스타트란 말 자체가 메이저리그가 선발에게 요구하는 사항을 드러낸 말이기도 하다. 한국, 미국, 일본의 선발투수와 승수에 대한 생각을 극단적으로 표현 해보면,
한국: 투수는 승수로 말한다. 잘 던져도 이기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 일본: 승수가 중요하다. 적어도 선발은 게임을 만들어 줘야 한다. 미국: 승수도 중요하지만 선발은 이닝을 책임져 주어야 한다. 승패는 팀에 따라붙는 것이다. |
라고 할 수 있는데, 퀄리티 스타트는 미국 기준으로 보자면 선발이 승리에 대한 조건을 다하고 이닝을 책임져 줬다는 의미가 된다.
메이저리그는 2013년 MLB 팀별 평균 85(52.4%), NL 87(53.7%), AL 83(51.2%), 2012년 MLB 팀별 평균 83(51.2%), NL 84(51.8%), AL 81(50.0%), 2011년 MLB 팀별 평균 87(53.7%), NL 87(53.7%), AL 86(53.0%)으로[2] 50%를 약간 윗돌고 있다. 하지만 KBO에서 선발투수의 QS 성공률은 2008년 38%, 2009년 34%, 2010년 35% 정도이다. 이것은 KBO가 뛰어난 선발이 부족하기 때문에 불펜의 역할에 힘을 주는 투수 운영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좋은 선발이 많은 데도 선발의 이닝을 제한 하는 팀은 거의 없다.
산술적 평균으로 보면 선발 투수가 QS를 했을 경우, 해당 경기의 승률은 7할 이상이다. 만약 5인 로테이션 선발 투수가 모두 QS만을 한다고 생각해보면 그 팀은 아마 리그 1위는 따놓은 당상이다. 물론 산술적이고 만약이라는 경우로 리그 1위라는거지, 투고타저의 시즌이라거나 선발이 잘해준 경기를 중간계투 투수가 자주 말아먹는다면 또다시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010시즌 롯데 자이언츠의 경우, 훌륭한 선발 투수는 없었지만, 2010시즌 총 퀄리티 스타트 횟수 1위 + 8개구단 최고수준의 평가를 받은 타선이 있었음에도 그 악명높은 꼴펜불펜 때문에 페넌트레이스 4위에 그쳤다. 아울러, 2013 시즌에 강력한(LPGK+α) 타선에도 불구하고 만성적 투수진 불안에 시달리며 페넌트레이스 3위(포시 기준 4위)에 그친 넥센 히어로즈의 팬들은, 아예 매 경기마다 넥리티스타트[3]를 기원하면서, 퀄리티 스타트의 자조섞인 패러디를 2014시즌에도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박찬호가 QS라는 용어 보급의 일등공신이라 할 수 있다. 전성기의 박찬호는 분명 리그 수위급의 뛰어난 투수였지만, 수치 하나하나로는 '확실히 1위권'이라 할 만한 게 별로 없었다. 물론 당시 박찬호를 이런 이유로 폄하할 수는 없지만, 기자들에게는 신문 제목에 딸만한 짧고 강렬한 숫자가 필요했다. 그러다 보니 메이저리그에서 쓰던 QS가 눈에 밟혔고, 박찬호가 그쪽에서는 확실히 대단하다 보니 대대적으로 기사 제목에 사용하기 시작한 것. 물론 그 이전 한국프로야구에서도 QS라는 용어는 쓰고 있었지만, QS가 호투의 대명사가 되다시피 한 것은 박사장님 덕(...). 이 때문인지 박찬호 전성기의 기량을 논할 때 QS수치가 나오면 필요이상으로 까이기도 한다.
2 퀄리티 스타트에 대한 비판
퀄리티 스타트에 대한 비판론자들의 대다수의 의견은 '6이닝 3자책점'을 달성하는 투수가 과연 뛰어난 투수인가에 대한 것이다. 6이닝 3자책점을 달성했다면 그 투수의 평균자책점은 4.50이 된다. 그리고 자책점과 실점의 비율은 평균적으로 0.92:1로 나오므로, 4.5의 평균자책점은 약 4.9의 9이닝당 실점을 의미한다. 각 리그 팀의 평균 득점이 4.5 ~ 5.0 정도라는 것을 감안하면 평균적인 투수일 뿐이다. 특히 MLB는 2014년 기준으로 리그평균자책점이 3.74에 불과하므로 퀄리티스타트의 가치는 더욱 떨어진다. 내셔널리그라면 더더욱 떨어진다.
하지만 이것은 퀄리티 스타트의 최소조건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나온 오류다. 한두번 QS를 기록했다고 해서 좋은 투수라고 평가하지 않으며, 6이닝 3실점은 퀄리티스타트의 최소조건일 뿐이다. 선발 투수는 상대 타선을 아예 봉쇄할 때도 있을 것이고, 평소보다 많은 피안타와 실점을 기록할 때도 있을 것인데, 그 속에서도 많은 QS를 기록했다는 것은 6이닝 3자책보다 좋은 성적 또한 많이 기록했다는 뜻이 된다. QS를 달성한 경기 결과만 통계를 내어 보면 평균자책점은 3.20 정도로 나온다. 이것은 투고타저 리그의 어느 팀에서도 5선발 안에서 충분히 활약하는 투수고, 타고투저 리그라면 전체 평균자책점 상위권에도 들 수 있는 뛰어난 기록이다. 앞으로도 퀄리티 스타트라는 통계치는 널리 쓰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리그 평균 득점의 경우 선발 투수와 구원 투수를 다 합친 통계이고, 실제로 선발 투수는 소화 이닝이 많기 때문에 구원 투수보다 평균적으로 1.1 ~ 1.15배 정도 자책점이 많을 수밖에 없다. 즉 딱 6이닝 3자책을 하여 퀄리티 스타트만을 간신히 기록하는 투수도 뛰어난 투수라고는 하기 힘들지만, 적어도 선발투수를 할 능력은 되며 경우에 따라 로테이션은 책임져줄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퀄리티스타트의 최소조건인 6이닝 3자책을 기록하였다면, 극단적인 투고타저 시즌이 아니라면 선발이 그래도 평균은 해주었다는 뜻이다. 만약 퀄리티스타트를 찍고도 팀이 패배했다면, 그것은 선발투수의 문제가 아닌 타자들 혹은 불펜투수의 문제가 된다.
2012년 8월 24일, 한국프로야구 KIA 타이거즈의 선동열 감독이 "QS는 부끄러운 기록"이라며, 매우 강하게 비판했다. 그렇지만, 전설적이었던 투수 선동열이 활약했던 1980~1990년대 한국프로야구 초창기와, 복합적인 의미로서 전설적인 기록을 작성중인 감독 선동열이 활약하는 2010년대 현재의 한국프로야구는 거의 모든 면에서 확연히 다르다. SUN: 감독 선동열과 투수 선동열 간 각도 좁혀야
3 퀄리티 스타트 플러스와 도미넌트 스타트
Quality Start Plus. 줄여서 QS+라고 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QS의 조건인 6이닝 3자책점은 느슨하다는 의견이 있어 이닝 이터의 가치를 재기위해 최소 7이닝 3자책점인 퀄리티 스타트 플러스라는 스탯도 있다. 7이닝 3자책점을 평균자책점으로 바꾸면 3.86이 된다.
'도미넌트 스타트(dominant start)'도 있는데, 이는 선발투수가 8이닝 이상을 소화하고 1실점 이하를 기록할 때 쓰는 표현이라고 한다. 자세한 것은 카스포인트 기사 참고.
사실 현 상황에서는 너무 오래되고 기준이 단순한 QS나 QS+보다는 게임 스코어로 투수의 경기 퍼포먼스를 측정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아직 대중화되지 않아 생소하지만, 100점을 만점으로 측정한다는 특성상 투수의 다양한 퍼포먼스를 반영하면서도 직관적인 점수를 내 주는 터라 QS를 대체하기에 충분한 수치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사실상 QS가 스탯으로서의 가치가 없는 현재에는 기사 제목에 쓰기 좋은 편한 수치로의 의미가 큰 터라 QS는 당분간 살아남겠지만.
4 투고타저의 시즌에서는 필요가 없다?
퀄리티 스타트라는 것이 기준이 6이닝 3자책점 이하지만 투고타저의 시즌에서는 굳이 필요하지 않은 수치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2011년, 2012년 일본프로야구 패넌트레이스는 극심한 투고타저에 시달렸으며, 그에 따라서 퀄리티 스타트라는 수치 자체가 큰 의미가 없어졌다. 선발 투수들 중에서 높은 승률을 가진 투수들은 대부분 1점대 방어율~2점대 초반 방어율을 기록했으며, 2점대 후반 방어율~3점대 이상 방어율을 가진 투수들은 분명 퀄리티 스타트의 기준에 부합되지만 패전투수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필요가 없다고 볼 수도 있다.
퀄리티 스타트라는 기록이 나온 것은 평균적인 선발 투수들의 요건을 말하는 것인데, 이것이 투고타저라서 다른 선발 투수들이 대부분 퀄리티 스타트 이상을 해준다면 6이닝 3자책점 이하로는 기준이 부합되지 않을 수가 있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투고타저의 시즌에서 대부분의 선발 투수가 퀄리티 스타트를 기록한다면 그 기록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는 의미가 된다.
5 기타
선발 투수들 중에 대부분의 경기에서 무너지는 걸 겨우겨우 최소실점을 막고 5이닝(선발투수 승리요건)을 겨우 채우는 투수들의 경기 형태를 일컬어서 X(선수이름)리티스타트라 일컫는다. 대표적인 예로 배리티스타트,[4] 술리티스타트. 여리티스타트,[5] 돡리티스타트,[6] 콘리티스타트.[7]
2016년 송승준이 3이닝 6실점 이상을 꼬박꼬박 적립하자 꼴갤에선 스타트 퀄리티라는 말이 유행한다.
6 참조 항목
- ↑ 그러나 박찬호, 류현진 등 메이저리그로 진출한 투수들의 활약, 그리고 관계자들과
메이저리거들의 안구정화급 맹활약으로 눈이 매우 높아진팬들을 중심으로 '세이버메트릭스'를 점차 중시하고 있는 분위기 속에서, 이 개념(QS) 역시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 ↑ 출처 espn MLB 페이지2011년,2012년,2013년.
- ↑ MLBPARK등 커뮤니티에서의 정의에 따르면, 넥센 히어로즈의 선발 투수가 등판하여 5이닝 3실점 이하로 막은 경기. 물론, 경기의 막장도에 따라 그 수치는 매 경기당
상당히약간씩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위 정의와 같다. 아직 구체적으로 정의되지는 못했지만 유사개념으로 넥투승/넥봉승/넥리티스타트플러스 등도 존재한다.1회만 막으라고 투수 XYZ(이름)야 - ↑ 부상에서 부활한 2011~2014년 시절 한정.
- ↑ 2013년 초반 선발로 자주 출장하던 시기에 508 대첩과 같이 n이닝 n실점, 그 이상을 주로 하여 SK 팬들 사이에서는 선발투수의 n이닝 n실점을 여리티스타트라고 부르고있으며, 선수 본인은 여레기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과 2014년 후반기 희망을 부르는 호투로 여쇼, 여레인키라는 별명
과 부상을 얻고 LG로 트레이드 되었다. - ↑ 김경문 감독 재임기. 특히 08년~10년
- ↑ 취소선 처리되었지만 무시할 수 없는 사항이다. 한화 이글스의 김민우가 말 안 해도 잘 알 모 감독에 의해 3⅔이닝 3실점하고 퀵후크로 교체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그 감독의 재량으로 교체되어 교체 전까지의 기록으로 남게 되는 것으로써 배리티스타트와는 성격을 달리 하기에 취소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