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테레츠 대백과/등장인물

파일:Attachment/키테레츠 대백과/등장인물/kite.jpg

키테레츠 대백과의 등장인물들을 소개하는 페이지.

1 기태일행

각 캐릭터 별 항목 참조.

2 기타 인물

2.1 박호구

항목 참조.

2.2 발명 할아버지

항목 참조.

2.3 강기태의 가족(키테 일가)

  • 강득수/키테 에이타로(木手 英太郎)

성우는 일본판 타나카 히데유키(TV스페셜)->야라 유사쿠(본편)/국내판 퉁퉁이최석필.

강기태 의 아버지. 명란젓 입술이 특징이다.그래도 아따맘마에 나오는 그분을 누가 이기겠냐마는 이유는 모르겠으나 젊을 때와 달리 키가 작아졌다.[1] 이것은 도라에몽의 노진구의 아버지인 노석구도 해당되는 사항이다. 작중 에피소드에 따르면, 중학생 시절에는 철덕이었기도 한 모양이다. 해당 에피소드의 묘사에 따르면, 자기 동네를 지나가는 모든 열차의 마을 통과 시간을 꿰어차고 있으며, 화학약품을 가득 싣은 화물열차가 오는 날에 누군가의 차가 마을 건널목에서 퍼져버리자 몸소 기찻길을 따라가 온몸으로 기차를 막았고, 그 공로로 그 날 뛰고 있던 마라톤 경기에 대해 특별상을 받았다. 현재 아버지, 기태에게의 할아버지는 현재는 돌아가신 상태.

  • 허영숙/키테 미치코(木手 美智子)

성우는 일본판 나시와 유키코(TV스페셜)->시마모토 스미(본편)/국내판 임은정[2].

강기태의 어머니. 원작에서는 이름은 등장하지 않는다. 화가 나면 불같은 성격이다.. 아들의 발명엔 질려한지 오래이며, 아들이 발명은 관두고 공부에만 집중하는 인생이 되길 바라고있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아들의 발명을 질려하지만, 가전 수리를 묻고, 기태의 발명품에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다. 사립 명문 여고를 나왔으며, 도쿄의 명문 여대 출신이다. 어느 에피소드에선 동창이라고 뻥을 친 남자 사기꾼을 역관광보냈다.
학창 시절 밸리 부의 에이스와 육상 선수를 맡고 있던 등 운동 신경은 좋은 편이다. 기계 체조를 잘했다고. 요리 솜씨도 좋은데 특히 크로켓의 요리 솜씨가 좋다.

2.4 하초롱의 가족(노노하나 일가)

크레용 신짱의 맹구처럼 엄마의 이름이 불투명하다.
하초롱의 아버지 성우는 일본판 사토 유우키]/국내판 성우 추가바람.
하초롱의 어머니 성우는 일본판 한타니 키미에->오오노 유카->엔도 야스코/국내판 성우 안현서, 이소은.

일단 집앞의 문패를 보면 아버지의 이름은 더빙판 기준으로 하동근. 어머니 이름은 추가바람.
아버지의 경우는 초반에 수업참관 등 몇번 등장했으나 중반 즈음 다른 지방에 발령이 나서 이후 등장이 없다. 어머니는 드문드문 등장하는데 요리실력이 굉장하다.

오빠 이름은 / 노노하나 아키히코(野々花 明彦)

성우는 일본판 난바 케이이치->카미야 히로시/국내판 이재범.
홋카이도하코다테에서 독신 생활을 하고 있는 대학생. 작중 행적으로 보아 다니는 대학교는 삿포로대학교의 히코다테 수산학부 캠퍼스인듯. 톤네 루즈의 열혈한 팬. 이구아나를 기르고있다. 까칠한 성격이고 비과학적인거 현대 과학 상식에 맞지 않는 것은 믿지 않고 강기태의 발명품을 깔보는듯한 태도를 취하지만 나중에는 인정을 한다.

2.5 한지수의 가족(쿠마다 일가)

  • 한웅팔/쿠마다 쿠마하치(熊田 熊八)[3]

성우는 故 아오노 타케시(일본판)/국내판 윤세웅
한지수의 아버지.

  • 오나리/쿠마다 사유리(熊田 小百合)

성우는 일본판 우에무라 노리코/국내판 채의진
한지수의 어머니.
한지수의 부모님. 강기태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젊었을때의 모습과 달리 키가 작아졌다. 채소짱을 13대째 운영하고 있는 부부. 둘다 채소를 파는 것에 대하여 자부심이 있다. 둘다 쾌활한 성격에다가 다혈질이라 부부싸움을 자주 한다. 너무 자주 해서 한지수는 이미 해탈의 경지에 이르렀다. 그래서 웬만한 싸움에는 신경조차 안쓴다.

한지수의 말에 따르면 우리 가족은 어떻게 중간이 없냐. 즉, 모 아니면 도. 사이가 나쁠 때에는 당장이라도 이혼할것처럼 싸우고 사이가 좋을 때에는 희대의 염장 부부가 된다. 임신 관련 에피소드가 있을 정도.

2.6 마마준의 가족(톤가리 일가)

  • 마상필/톤가리 코이치(尖 浩一)

성우는 일본판 코바야시 미치타카->카케가와 히로히코->히라노 마사토/국내판 유호한

마마준의 아버지. 작중 묘사를 보았을때 봉급이 좋은 직장에 다니는 사람인 것 같다. 집안 인테리어 공사를 한다고 1주일동안 초고층 빌딩의 방을 두개나 얻어서 지내는걸 보면… 참고로 어릴 때는 아들인 마마준과 완전히 똑같이 생겼다. 성우도 마마준과 동일하다. 성격은 좀 다른 듯 하나 별명은 아들과 마찬가지로 삐죽이.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엄마가 아닌 아빠를 찾았지만 이후 에피소드를 보면 마마보이 기질은 이쪽도 심했다. 이때도 집안이 잘 나가는 축에 속했던 모양.
그런데 키테레츠 대백과가 끝날 즈음에는 아예 등장도 안 했다.

  • 강윤숙[4]/톤가리 타카코(尖 貴子)

성우는 오오노 유카/국내판 이소은.

마마준의 어머니. 악세서리를 주렁주렁 하고 다닌다. 어렸을때 공부를 잘한 모양. 성적표가 올 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머니들의 성적표를 보는 에피소드에서 성적표를 감추려고 했었는데, 그 이유는 어렸을 때는 꽤나 통통한 체형이라서 그걸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았다는듯. 아들에게 집착하는 모습을 가끔 보여주기도.[5] 괜히 마마준이 엄마만 찾는 게 아니다. 너무 심한 거 아니에요?

특이한거는, 아빠도 삐죽하게 생겼고 엄마도 삐죽하게 생겼다[6]. 아빠랑 엄마가 서로 닮은 건 굉장히 보기 어렵다. 부부는 닮는다잖아

2.7 선생님

성우는 일본판 사토 마사하루(TV 스페셜)->히라노 마사토. 국내판 송준석(초기. 정확한 교체 시기는 아시는 분이 추가바람.->유호한.

기태 일행의 담임선생님이다. 아내와 아들도 있는 듯. 한국판에서는 아예 이름이 없고, 일본판에서도 성씨만 알려져 있고 이름이 없다. 일본판 성씨는 사사키(佐々木). 그런데 시즌 9의 수학여행 에피소드를 보면 '송노범'으로 설정된 듯하다. [7]

2.8 교감 선생님

성우는 일본판 이케미즈 미치히로/국내판 성우는 이재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기태가 다니는 초등학교의 교감 선생님. "공부해라"가 말버릇이고 노는 아이들에게 공부를 강요해서 아이들이 싫어한다. 그러나 사실 마음씨는 좋은 선생님이며, 기태 일행과 같이 샤브샤브를 먹기도 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후반에 교토의 초등학교에 전임했다.

2.9 근동이

성우는 추가바람.

일본판 이름 추가바람. 준조연급의 인물이며 3분단의 맨 앞줄에 앉는다. 기태 일행과는 친구인듯. 보통 반 아이들이 대화하거나 할 때 등장하나, 가끔 주연으로 나올때도 있다.1기에서 나온 집 문패에 따르면 더빙판 풀네임은 '하근동'.1기 이후로는 분량이 점차 줄어드는 듯 하다가 아주 간만에 9기 수학여행에서 분량이 늘었다.

2.10 이복희

성우는 일본판 세토 마유미->코야마 유카->히사카와 아야/국내판 이소은

일본판 이름은 사쿠라이 타에코(桜井 妙子). 중반부에서부터 등장하는 인물로, 어렸을 때부터 한지수와 친했고, 한지수의 여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지수는 여태까지 복희의 이름이 '북희'인줄 알았다고 한다. 마츠리에서 북을 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원래 강기태가 사는 동네의 목욕탕 주인 딸이었으나, 아버지가 죽고 나서 목욕탕을 접고 니가타로 이주해버렸다.

한국판에서는 5기에서는 광주광역시 그이후 6기에서부터는 목포시로 로컬라이징했지만, 니가타가 초초초 대설지역인데 반해 목포는 남부지방이라 기후가 따뜻하다. 이건 뭐...그래서 설녀전설 에피소드도 개연성이 없다(...)

한국판 11기 에서는 미국으로 보잉 747타고 가버린다

한국판 319편에서는 여행비둘기를 가졌다가 나쁜 부자가 고용한 깡패 같은 자들에게 아이들과 함께 감시당하는 편도 있다.[8]

2.11 신오월

성우는 일본판 야마자키 와카나/국내판 추가바람. (이소은으로 추정.)

일본판 이름은 하나마루 사츠키(花円 五月(はなまる さつき)).[9] '오월의 국화'[10]라는 유랑극단의 주연 배우이며 단장의 딸인 듯하다. 덕분에 암기력과 체력, 운동 신경이 상당하다. 특히 신체 스펙은 한지수마저 데꿀멍시킬 정도. 다만 극단 일 때문에 수시로 이사와 전학을 다닌다. 그리고 어쩐지 마마준과 플래그 꽂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1. 이것은 작가의 성향으로 후지코 후지오는 아이와 어른의 차이가 아니라면 거의 대부분 여자를 남자보다 크게 그렸다. 실제 키는 에이타로가 미치코보다 키가 클 수도 있다.
  2. 같은 작가의 작품인 도라에몽에서 비슷한 포지션의 진구 엄마를 담당하고 있다는 걸 감안하면 상당히 노린 캐스팅 2(...)
  3. 이건 뭐... 일본판의 이름 부분을 그대로 한국식으로 읽어서 로컬라이징했다. 근데 뭔가 매치가 되는 듯.
  4. 그런데 돼지고릴라가 30년 전으로 가출하는 에피소드에서 이름이 왕은미라고 나온다.
  5. 심지어 5학년이 되었는데도 동네목욕탕 여탕!!!에 마준랑 같이 들어간다 흠좀무
  6. 그레서 그런지 어렸을때 별명이 둘다 삐죽이였다
  7. 여담이지만 도라에몽에도 가끔씩 나온다.
  8. 그 여행비둘기는 트레시아 할아버지가 여행비둘기 암수 두마리를 발견하고 정성을 다 해서 키웠고 새끼까지 부화 시키는 데 성공하지만 깡패 같은 자가 주인인 부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그 부자는 돈으로 여행비둘기들을 팔라고 제안을 했지만 트레시아 할아버지는 거절했고 결국엔 여행비둘기들의 집을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러자 트레시아 할아버지는 자신의 친구에게 한 마리의 여행비둘기를 맡겼지만 그 역시 부자의 부하들에게 공격을 받아 여형비둘기를 잃어버렸고 나중엔 그 여행비둘기가 아이들에게 오게 되자 아이들을 감시하고 쫓아오고 폭력을 쓰고 협박까지 한다. 이 과정에 수컷이 죽어버렸다. 그 부자와 깡패 같은 자들은 완전히 인간말종들이자 천하의 개쌍놈들이다.
  9. 한웅팔과 마찬가지로 이름 한자를 그대로 읽어서 로컬라이징했다. 근데 약간 어색한듯.
  10. 화투장을 봐도 알겠지만 사실 국화는 가을에 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