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치

톱치

328MS.png 328 톱치

이름도감 번호성비타입
한국어일본어영어전국 : 328
호연 : 116
수컷 : 50%
암컷 : 50%
톱치ナックラーTrapinch
특성(PDW 특성은 *)
괴력집게상대방에 의해서 공격이 떨어지지 않는다.
개미지옥상대 포켓몬은 도망칠 수 없다.
*우격다짐기술의 부가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대신 기술의 위력이 증가한다.
분류신장체중알 그룹
개미지옥 포켓몬0.7m15.0kg벌레
진화trapinch.gif
328 톱치
레벨 35
vibrava.gif
329 비브라바
레벨 45
flygon.gif
330 플라이곤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2배1배0.5배0배
물 얼음 풀강철 격투 고스트 노말 드래곤 땅 벌레 불꽃 비행 악 에스퍼 페어리독 바위전기
종족치HP공격방어특수공격특수방어스피드합계
4510045454510290
도감설명
루비원뿔형의 둥지 안에서 가만히 먹이가 떨어지길 계속 기다린다.
큰 턱은 바위도 깨부수는 위력.
사파이어탈출 불가능한 구멍을 사막에 만들고 먹잇감이 오길 한결같이 기다린다.
물이 없어도 1주일 동안은 끄덕없다.
에메랄드큰 턱은 큰 바위를 깨물어 부순다.
머리가 커서 뒤집히면 잘 일어나지 못한다.
파이어레드/리프그린건조한 사막에 서식. 원뿔형의 둥지 안에서 먹잇감을 가만히 계속 기다린다.
하트골드/소울실버사막에 만들어진 둥지는 원뿔형이므로 떨어지면 탈출할 수 없다.
디아루가/펄기아
기라티나
블랙/화이트
사막에 만든 원뿔형의 구멍 밑바닥에서 먹이가 빠져 떨어지는 것을 계속 기다린다.
블랙2/화이트2절대 탈출 불가능한 원뿔형의 둥지를 만들어 먹이가 떨어지는 것을 기다린다.
X건조한 사막에 서식한다. 원뿔형의 보금자리 속에서 조용히 먹잇감을 계속 기다린다.

1 상세

Dancing_Trapinch.gif
귀요미

플라이곤의 진화 전 모습. 모티브는 명주잠자리의 유충 개미귀신. 정보 없이 플레이 하는 사람은 도감의 번호를 보지 않는 이상 이게 플라이곤의 초기형태라는걸 눈치 챌 리가 없다. 사실 도감 번호를 봐도 모른다, 톱치는 미진화형 포켓몬, 플라이곤을 한 번만 진화하는 포켓몬으로 생각하겠지(...)

2 성능

진화 전 포켓몬치곤 상당히 높은 공격력에[1], 개미지옥 특성과 바닥을 기게 느린 속도를 역으로 살려 트릭룸팟 리벤지 킬러로의 활약이 가능한, 최종진화형인 플라이곤과는 완전히 별개의 독립적인 전술을 사용할 수 있다.

사실 공격을 제외하면 매우 형편없는 수치지만, 스핏이 궤멸적으로 낮은 데 비해 상급의 공격력을 갖춘 덕에 트릭룸팟에서만큼은 닥트리오의 역할을 해낼 수 있다. 특히 저 스핏값은 강철톤검은 철구를 달아도 저 수치보다 낮을 수 없다. 트릭룸팟에선 단단지 말고는 톱치 상대로 선공할 포켓몬이 없다고 보면 된다.[2]

자력으로 지진깨물어부수기, 땅가르기를 배우고, 기술머신으로 스톤샤워를 배운다. 또한 유전기로 전광석화를 배우고, 5세대에선 바둥바둥까지 배울 수 있다. 풀타입 견제를 하고 싶다면 벌레먹음을 넣으면 좋다. B/W때는 레벨81때 페인트를, 67때 엄청난힘을, 89때 땅가르기를 배웠지만 B/W2에선 각각 61, 67, 73으로 줄어서 육성이 살짝 쉬워졌다. 6세대 때는 한 술 더 떠서 저 3개를 아예 레벨 1때 배우는 걸로 바뀌었다. 즉 알을 깠거나 하트비늘을 쓰면 땅가르기 배우자고 진화도 안시키고 레벨 73까지 키울 필요없이 그냥 배울 거 다 배우고 35에 깔끔하게 비브라바로 진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다행히 B/W2에서 NPC기술로 벌레먹음이 생겨서 전광석화와 같이 쓸 수 있게되었다.

우격다짐 특성의 경우 벌레먹음, 땅고르기, 깨물어부수기가 영향을 받으니 못쓸 건 없다. 다만 화력을 요구할 것이라면 속도가 더 높긴해도 라이벌들이 꽤 많아서... 거기다 같은 트릭룸 우격다짐 특성 보유자만 봐도 속도가 조금 더 빠르긴해도 화력은 더 나오는 크리만과 화력은 덜 나와도 내구도 면에서 넘사벽인 강철톤이란 경쟁자가 있다.

3 기타

모티브는 개미귀신이지만 땅가르기가 터지지 않는 이상 같은 개미아이앤트를 이길 수 없다. 적어도 불꽃엄니라도 배우면 좋으련만...

여담으로 십자 모양의 특이한 모양의 눈을 하고 있다.

핫삼의 손 모양하고 살짝 비슷하다.

3세대에서는 악 타입이 죄다 특수로 분류되어 있어 갓 잡은 톱치의 물기속여때리기로는 제대로 데미지가 안나오니 비밀의힘이나 괴력이라도 가르치면 좋다.

애니에서는 72화에서 등장했는데 불법으로 리오르를 갖고자 하는 이의 부하들에 맞서서 지우와 포켓몬 레인저 하늘을 제외한 지우의 동료들과 여경, 포켓몬 레인저인 희정이서 붙고 있었는데 상대가 너무 강해서[3] 희정이 톱치를 캡쳐 해서 암석봉인을 시전해 그 다섯마리를 꼼짝 못하게 만드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1. 비브라바보다 30 높다. 플라이곤까지 진화하면 공격력이 되돌아온다.
  2. 물론 스핏이고 뭐고 우선도로 씹어먹는 선공기나 버드미사일은 답이 없다.
  3. 뿔카노,데구리,딱구리,니드킹에 600족인 마기라스까지 있었다!일회용 주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