通用拼音 / Tongyòng Pinyin
(한어병음: Tōngyòng Pīnyīn)
중화민국(대만)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 |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 | 통용병음 2002~2008 | → | 한어병음 |
- 복사용
- 일반
- á ǎ à å · é ě è e̊ · í ǐ ì i̊ (ı̊) · ó ǒ ò o̊ · ú ǔ ù ů
- Á Ǎ À Å · É Ě È E̊ · Í Ǐ Ì I̊ · Ó Ǒ Ò O̊ · Ú Ǔ Ù Ů
- ˚ (˙)
- 특수
- ḿ m̌ m̀ m̊ · ń ň ǹ n̊
- Ḿ M̌ M̀ M̊ · Ń Ň Ǹ N̊
- 일반
1 개요
중화민국(대만)에서 한 때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법으로 지정했다가 취소한 로마자 표기법이다. 이전까지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었던 실제론 잘 안 썼다 국어 주음부호 제2식을 이 통용병음으로 대체했다가 현재는 한어병음으로 대체된 상태이다. 하지만 가오슝, 타이난 등 대만 남부 지방에서는 아직까지 도로명, 지하철 역 이름 등에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으니 배워서 나쁠 건 없다.
차이잉원 정권이 들어섰으니 어떻게 될지는 모른다
2 상세
대만 독립론 노선인 민주진보당의 천수이볜 정권 시절(2002~2008)에 중국 대륙과 별개로 독자적으로 제정한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었다. 구체적으로는 표준중국어(관화. 만다린)[1]를 표기하는 화어통용병음(華語通用拼音), 대만어[2]를 표기하는 대어통용병음(臺語通用拼音), 객가어[3]를 표기하는 객어통용병음(客語通用拼音), 대만 원주민 언어들을 표기하는 대만원주민어통용병음(臺灣原住民語通用拼音) 네 가지로 나뉜다. 당연히 이 중에서 대표가 되는 것은 화어통용병음이다. 대만에서 쓰이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과 원주민 언어 발음 표기까지 고려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4] 그리고 부록에는 번역할 때(어떤 언어로 번역할 때인지는 명시하지 않았으나 누가 봐도 영어임을 알 수 있다.) 통용병음 원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들을 다양하게 언급하였다. 가령 臺北를 Taipei로 쓴다든지[5]. 물론 표준중국어 발음을 통용병음으로 제시하고자 할 때에는 Taibei 식으로 적어야 하지만 외국어로 제시할 땐 기존 표기인 Taipei를 따른다는 뜻이다.
하지만 생소하기 짝이 없는 새로운 표기법을 정착시키려니 당연히 불만이 늘어났고, 결국 국민당의 마잉주 정권이 들어서자 폐지됐다[6]. 흑역사 통용병음을 도입하기 전까지 그 이전까지 중화민국에서는 지명 표기에 우정식 병음, 발음의 로마자 표기에 웨이드식 로마자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정부 공식 표기는 장징궈 정권 때 만들어진 '주음부호 2식'이었지만 잘 안 쓰였다.[7][8]
마잉주 정권이 들어선 뒤 중화민국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은 대륙과 동일하게 한어병음으로 지정하였다. 물론 대만인들 입장에서 이것도 통용병음이나 마찬가지로 생소하기 짝이 없는 표기인 것은 매한가지다. 중국 대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빼고. 물론 이게 대만에서 채택되기 전에도 일부 사람들끼리 '대륙에서는 주음부호 안 쓰고 이런 거 쓴다더라'는 정보를 공유하긴 했다. 그래도 이미 세계적으로 중국어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으로 널리 전파된 상황이라 국제적 기준에 맞춘다는 의미가 있다.
통용병음을 도입했을 때, 그리고 이를 폐지하고 한어병음을 도입할 당시 기존 유명 지명의 외국어 표기는 통용병음이나 한어병음을 따라가지 않고 예전에 쓰던 대로 우정식 병음이나 웨이드식 등으로 유지하고 있고 국민들의 이름 표기는 개인이 알아서 할 문제로 취급했다.[9] 한어병음 도입 후에는 중국어 발음을 로마자로 옮길 표기할 필요가 있을 때, 그리고 신설 행정구역이나 유명하지 않은 지명의 로마자 표기를 정할 때에만 성조 부호를 제거한 한어병음으로 쓰게 했다. 예를 들어 비교적 최근에 구획된 신베이시 산하의 구(區)들을 영문 등의 외국어로 표기할 때는 전부 성조 부호를 제거한 한어병음에 따라 지명을 표기한다. 그런데 신베이 산하 구는 과거 타이베이 현 산하의 현할시, 진, 향의 이름이었기 때문에 과거에 다른 로마자 표기법으로 썼던 것들이다. 다른 일례로 타이완 철도관리국에서는 역 이름의 영문 표기에서 '유명한 지명에서 따온 역 이름은 원래 쓰던 영문 표기(주로 웨이드식을 따른), 그 이외의 역 이름은 한어병음 표기를 따른다'는 원칙을 세워 놓고 있다. 다만 열차 등급의 영문 표기에서 중국어 발음을 음차할 때는 한어병음 표기를 따르지 않는다. 가령 쥐광하오는 Juguang이 아닌 Chukuang의 약자 C.K.를 사용한다.
타이난, 가오슝 등의 남부 지방에서는 도로 표지판의 영문 표기에 사용된 통용병음 표기를 현재까지는 수정하지 않고 있다(혹시 수정된 것을 발견하면 수정 바람). 가오슝 첩운도 영문표기에 통용병음을 사용하고 있으며(물론 유명 지명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가오슝은 Gaosyong이 아닌 원래 쓰던 대로 Kaohsiung이다.) 그러다 보니 타이완 철도관리국의 역 이름을 따서 만든 첩운역과 원래의 철도역의 철자가 다른 상황도 있다. 가오슝 첩운의 경우 죄다 통용병음이다.
3 표기 원칙
화어통용병음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한어병음방안과 다른 성모, 운모, 성조 표기만 설명한다.
- 성모
- 일부 설면음과 설치음은 같은 자모로 표기하되 뒤에 오는 운모를 보고 구분한다.[10]
- ㄑ(한어병음: q)와 ㄘ(한어병음: c)를 모두 c로 표기한다. 어차피 뒤에 오는 운모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된다.
- ㄒ(한어병음: x)와 ㄙ(한어병음: s)를 모두 s로 표기한다. 어차피 뒤에 오는 운모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된다.
- 단 ㄐ(한어병음: j)와 ㄗ(한어병음: z)는 서로 구분해서 한어병음과 동일하게 각각 j, z로 구분해서 적는다.
- ㄖr를 제외한 권설음 성모는 h로 끝난다는 점은 한어병음과 같지만, ㄓ(한어병음: zh)만은 한어병음과 달리 jh로 표기한다.
- 일부 설면음과 설치음은 같은 자모로 표기하되 뒤에 오는 운모를 보고 구분한다.[10]
- 운모
- 주음부호로 표기하지 않는 ㄓjh(한어병음: zh(i)), ㄔ(한어병음: ch(i)), ㄕ(한어병음: sh(i)), ㄖ(한어병음: r(i)), ㄗ(한어병음: z(i)), ㄘ(한어병음: c(i)), ㄙ(한어병음: s(i)) 뒤의 운모[11]는 ih로 표기한다. 즉, 한어병음으로 zhi, chi, shi, ri, zi, ci, si로 적히는 음절을 통용병음으로는 jhih, chih, shih, rih, zih, cih, sih로 적는다.[12]
- ㄈ(한어병음: f) 뒤에 ㄥ(한어병음: eng)이 오면 ong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ㄈㄥ(한어병음: feng)은 통용병음으로 각각 fong이라고 적는다. ㄈ가 오는 경우 외에는 원래대로 eng으로 표기한다.
- ㄨㄟ(한어병음: 원래 uei인데 실제로 성모가 없으면 u를 w로 바꾼 wei, 성모가 있으면 e를 생략한 ui)에서 e를 생략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성모가 있으면 생략하는 것도 허용된다. 마찬가지로 ㄧㄡ(한어병음: 원래 iou인데 성모가 없으면 i를 y로 바꾼 you, 성모가 있으면 o를 생략한 iu)에서도 o를 생략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성모가 있으면 생략하는 것도 허용된다. 따라서 ㄏㄨㄟ(한어병음: hui)와 ㄌㄧㄡ(한어병음: liu)는 통용병음으로 각각 huei(원칙)/hui(허용), liou(원칙)/liu(허용)로 쓴다. 통용병음이 대만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이던 당시 지명 등에서는 생략 안한 원칙적인 표기대로 적도록 규정했었다.
- ㄨㄣ(한어병음: 성모 없을 때 wen, 성모 있을 때 un[13])과 ㄨㄥ(한어병음: 성모 없을 때 weng[14], 성모 있을 때 ong[15])은 한어병음에서 성모의 유무에 따라 철자가 확 바뀌는데, 통용병음에서는 성모가 없을 때 w만 추가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적힌다.
- ㄨㄣ(한어병음: wen, un)은 성모가 있을 때는 한어병음처럼 un으로 적지만, 성모가 없을 때는 wun으로 표기한다. 즉 한어병음에서 wen으로 적히는 음절은 통용병음으로 wun으로 적는다는 뜻.
- ㄨㄥ(한어병음: weng, ong)에서 성모가 있을 때는 한어병음처럼 ong으로 적지만, 성모가 없을 때는 wong으로 표기한다. 즉 한어병음에서는 weng으로 적히는 음절은 통용병음으로 wong으로 적힌다는 뜻.[16]
- ㄩ가 사용되는 운모(촬구호)[17]들을 통용병음으로 표기할 때는 철자에 y를 반드시 포함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단운모 ㄩ(한어병음: ü[18], 성모가 없을 때는 yu)는 반드시 yu로 고정하여 표기한다. 예를 들어 ㄌㄩ(한어병음: lü)는 통용병음에서 lyu로 적힌다.[19]
- ㄩㄣ(한어병음: ün[20], 성모가 없을 때는 yun)은 앞에 ㄌ이 올 때만 yuen, 그 밖은 모두 yun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ㄌㄩㄣ(한어병음: lün)만은 통용병음에서 lyuen으로 적히지만, ㄩㄣ(한어병음: yun), ㄐㄩㄣ(한어병음: jun) 등은 통용병음에서 yun, jyun 등으로 적힌다. 어느 쪽이든 여기서도 촬구호에서 y를 고정시킨다는 원칙은 지키고 있다.
- ㄩㄝ(한어병음: üe[21], 성모가 없을 때는 yue)도 마찬가지로 항상 yue로 고정시킨다.
- ㄩㄥ(한어병음: iong, 성모가 없을 때는 yong)은 반드시 yong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ㄒㄩㄥ(한어병음: xiong)은 통용병음으로 syong으로 적힌다. ㄩ가 들어간 다른 경우는 전부 yu로 적는데 이 경우만 yong이다. 물론 y를 고정시켜 둔다는 원리는 동일하다.
- 성조
- 2, 3, 4성은 한어병음방안의 표기 방식과 동일하다. 1성과 경성은 주음부호의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1성은 따로 성조를 기재하지 않는 게 원칙이지만 필요할 경우 한어병음에서처럼 기재할 수는 있다. 경성은 가로쓰기로 쓰는 주음부호와 비슷하게 음절 뒤에 올려 쓰는 게 원칙인데 주음부호와 달리 그냥 점보다는 고리점을 올려 쓰는 게 원칙인 듯(예: ma˚).[22] 다만 인터넷에서는 가로로 쓰는 주음부호처럼 그냥 음절 뒤에 점을 올려 쓰는 경우나(예: ma˙), 다른 성조처럼 모음 위에 ˚를 쓰는 경우(예: må)[23]도 보인다. 어느 쪽이 정확한 표준안인지 아시는 분이 계시면 수정바람.
- 기타
- 음절 사이에는 원칙적으로 이음줄(-)을 긋는다(띄어쓰기를 한 경우는 해당 안 됨). 단 지명을 적을 때는 이음줄을 생략하는 게 원칙이다.
4 통용병음이 남긴 것들
- 개요에 설명했듯이 대만 남부의 일부 지명들은 로마자로 적을 때 통용병음으로 적는 경우가 아직도 있...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가오슝 첩운은 죄다 역명들이 통용병음 쓴다. 민진당세가 강한 곳(가오슝, 타이난)은 죄다 통용병음이다. 관광시 주의.
- 마이크로소프트는 Windows Vista를 출시하면서 ClearType 기술을 적용한 새 폰트들을 포함시켰고, 그 이후의 Windows 운영체제들과 Microsoft Office 2007 및 그 이후 버전에 기본적으로 이 폰트들을 탑재하게 되었다. 중국어 정체(번체)용 새 폰트는 '微軟正黑'(웨이롼 정헤이)체인데, 중국어 번체가 시스템 언어가 아닌 운영체제에서는 Microsoft JhengHei로 표시된다.[24] 이 JhengHei가 통용병음 표기이다. Windows Vista가 발매될 당시(2006) 통용병음이 중화민국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었기 때문에 폰트 이름에도 통용병음이 사용되었다. 물론 당시 MS가 통용병음을 굳이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던 건 아니지만 그냥 따랐다. 그런데 이후 정권 교체 후 통용병음이 폐지되었다(...). 그렇다고 이제 와서 Microsoft ZhengHei로 바꾸면 혼란이 생기기 때문에 지금도 Microsoft JhengHei라는 표기를 유지하고 있다.
- 다만 ZhengHei가 아니라 JhengHei로 쓴 덕분에 YaHei와 JhengHei 중 어떤 게 대륙의 신자형(간체자에 최적화) 글꼴이고 어떤 게 대만 국자표준자체(정체자에 최적화) 글꼴인지 헷갈릴 일이 없어서 좋다. jh는 한어병음에서 등장하지 않으므로 JhengHei라는 철자만 보고서도 이게 대만 정체자 글꼴임을 확실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대만 어학연수생들이 가장 많이 배우는 중국어 교재 '實用視聽華語(실용시청화어)'에는 통용병음과 한어병음이 함께 기재되어 있다. 미리보기 이미지에서 볼 수 있다.
- ↑ 물론 주로 대만에서 쓰는 표준중국어, 즉 궈위(國語) 발음을 적는 게 원칙이겠으나 필요하다면 중국의 보통화 발음을 통용병음에 따라 옮겨 적을 수는 있다.
- ↑ 대만의 민남어를 가리키지만, 필요할 경우 중국 대륙의 민남어 발음도 표기가 가능할 듯하다.
- ↑ 이 역시 대만의 객가어가 기준이 되긴 하겠으나 다른 지역의 객가어 발음도 표기 가능할 듯하다.
- ↑ 그런데 중국 본토에서 쓰는 중국어 방언이나 소수민족 언어의 로마자 표기법 상당수가 한어병음을 수정한 것이다. 따라서 통용병음 내에서 표준중국어가 아닌 방언, 언어의 표기법을 마련해 둔 것과 별 차이가 없다.
- ↑ 일단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이것은 존중해 주는 편이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나오는 영문 문서에서도 성조 기호를 생략한 한어병음 표기인 Taibei를 고집하지 않는다. 사실 통용병음으로도 Taibei긴 하지만. 반대로 대한민국 정부에서 발행하는 영문 문서에서는 Pyongyang, Kaesong이 아닌 Pyeongyang, Gaeseong으로 표기한다.
- ↑ 사실 중화인민공화국과 별개의 표기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였다면 굳이 만들 필요도 없었다. 대만의 '사실상' 표준인 웨이드식과 우정식 병음이 있었기 때문. 웨이드식과 한어병음 표기법은 차이가 크다. 오히려 통용병음-한어병음의 차이가 웨이드식-한어병음의 차이보다 적었다. 영국 사람이 만들어준 것을 쓰지 않고 자국에서 만들어보고 싶다는 게 목표가 아니었다면야. 그런데 그렇다면 주음부호 2식도 있었다. 설마 국민당 것이라서 싫다는 것이었을까?
- ↑ 중화민국 국내 한정으로 발음을 표기하는 문자는 주음부호이므로, 이들 로마자 표기는 거의 영어 등 외국어에 중국어 지명이나 발음을 표기할 때 활용하는 표기법이다. 이 점은 로마자로 발음을 표기하는 중국 본토나 홍콩, 마카오(이 두 도시는 광둥어 지역) 등과 다르다.
- ↑ 주음부호 2식은 더 이전의 로마자 표기법인 국어라마자를 단순화하고 부분 수정한 표기법이다. 국어라마자의 구조를 아는 사람은 쉽게 접근할 수 있다. 1980년대 대만의 일부 어학연수용 중국어 교재가 주음부호와 주음부호 2식을 병기하였다(주음부호 2식과 구분하기 위해 주음부호를 주음부호 1식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교재는 국내에서 재출판되면서 처음에는 주음부호 2식이 한어병음으로 바뀌어 나왔고, 현재는 정체자(번체)도 간화자(간체)로 바뀌어 나오고 있다.
- ↑ 대만 사람들은 대체로 자기 이름을 영문 등 외국어로 표기할 때 웨이드식에 가깝게 표기하지만, Lee(李)처럼 일부 예외적 표기들이 있다. 또한 자기 이름을 로마자 표기법에 의해 옮겨 적는 게 아니라 영어 이름을 따로 만들어 쓰는 경우도 많다. 중화인민공화국 바깥에서 출판되는, 중국계 저자가 영어로 쓴 중국어 학습서를 보면 본문의 중국어 발음 표기는 한어병음방안을 따라갔으면서도 막상 저자 자신의 이름은 한어병음방안대로 쓰지 않은 경우를 꽤 볼 수 있다. 아니면 Chiang Kai-shek처럼 광동어식으로 표기하거나...
-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과 국어라마자 표기법의 경우 일부 설면음과 권설음을 같은 자모로 표기하되 운모를 보고 구분하게 했었다. 통용병음과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 이렇게 표기상 병합 대상이 된 성모들의 종류는 다르지만, 성모를 통해 구분을 한다는 점은 똑같다.
- ↑ 즉 한어병음에서 zhi, chi, shi, ri, zi, ci, si의 i 부분.
-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경우 통용병음의 ih에 해당하는 표기가 두 종류로 구분된다. 다소 복잡하니 자세한 건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문서의 설명을 참고.
- ↑ 원래 uen이어야 하지만 성모가 없으면 u를 w로 바꾼 wen, 성모가 있으면 e를 생략해서 un이 된다.
- ↑ 원래는 ueng이어야 겠지만 어두에서 u가 w로 바뀌는 규칙에 따라 weng으로 바뀜.
- ↑ 단 중국 대륙에서는 의성어, 의태어나 감탄사로 쓰이는 글자는 성모가 없어도 ong으로 적을 수 있다고 취급한다. 예를 들어 중국 대륙의 사전에는 嗡의 발음으로 wēng과 ōng을 함께 기재한 경우들이 있다. 대만에서 한어병음으로 만든 사전은 어떤지 확인바람. 다만 두 발음은 표준중국어에서 변이음으로 취급되다 보니 주음부호에서는 양자의 구분을 두지 않고 ㄨㄥ으로 동일하게 기재한다.
- ↑ 이 규칙 때문에 중국 대륙에서 嗡의 발음으로 wēng과 ōng(한어병음 기준) 모두 기재하는 것을 통용병음으로 구분해서 적기가 곤란하다. 통용병음에서는 성모가 없을 때 u(단 ong은 예외적으로 o) 앞에 w를 덧붙이거나 u를 w로 고치는 규칙을 여기에도 적용을 시켜버렸기 때문에 wong과 ong을 구분할 수 없다. 통용병음의 규칙에 따르면 wu와 u가 같은 발음인 것처럼 wong과 ong도 (명목상으로는) 같은 발음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어병음에서는 weng과 ong이 다른 발음일 여지를 열어 뒀기 때문에 嗡의 발음으로 wēng과 ōng을 모두 기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통용병음과 한어병음이 호환이 안 된다고 봐야 할 것이다.
- ↑ 중국어 음운론의 전통적인 사호(四呼) 체계에서 이것을 촬구호(撮口呼) 또는 촬구류(撮口類)라고 부른다.
- ↑ 단, 한어병음에서는 j, q, x 뒤에 ü가 올 때는 표기의 편의를 위해 두 점을 생략하여 u로 적는다.
- ↑ 한어병음에서 ü를 쓰기 곤란한 경우 대체 표기법으로 yu로 바꿔 쓰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한어병음 문서의 대체 표기 단락 참고.
- ↑ 단, j, q, x 뒤에 올 때는 표기의 편의를 위해 두 점을 생략하여 un으로 적는다.
- ↑ 단, j, q, x 뒤에 올 때는 표기의 편의를 위해 두 점을 생략하여 ue로 적는다.
- ↑ 중화민국 교육부에서 만든 중문역음전환계통 시험판 홈페이지에서 통용병음의 경성 표기를 이런 식으로 적고 있다.
- ↑ 영어판 위키백과에서 현재 이렇게 표기하고 있다.
- ↑ 중국어 간체용으로 나온 새 폰트는 微软雅黑(Microsoft YaHei, 웨이롼 야헤이)체이니 혼동에 주의할 것. 그리고 Windows Vista 출시 당시 새로 선보인 한국어 폰트는 맑은 고딕(Malgun Gothic), 일본어 폰트는 メイリオ(Meiryo, 메이리오), 로마자 폰트는 Segoe UI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