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woyeu Romatzyh (GR) / 國語羅馬字 / 궈위뤄마쯔
(한어병음: Guóyǔ Luómǎzì)
중화민국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 | |||||
없음 | ← | 국어라마자 1928~1986 | →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 | |||||
없음 | ← | 국어라마자 1949~1958 | → | 한어병음 |
목차
1 개요
표준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병음)의 일종. 저명한 중국계 미국인 언어학자 자오위안런, 생활의 발견의 저자로 유명한 린위탕 등이 1925~1926년에 고안하였다.
이 표기법은 중국어의 다른 로마자 표기법들과 달리 성조를 표현하기 위해 악센트 부호나 숫자 등을 사용하지 않고, 알파벳만 가지고 표기한다. 즉 성조의 구분은 철자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변형함으로써 표시된다. 단, 경성은 음절 앞에 점(.)을 찍거나 고리점(。 또는 o)을 해당 음절 앞에 첨가하는 형태로 표시되므로 보조 부호가 아예 안 쓰이는 건 아니다. 하지만 고유 명사에서는 경성이 쓰일 일이 거의 없으므로 큰 문제는 없다.
1958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1], 1986년까지 중화민국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2]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국어라마자 표기법이 잘 안 쓰였고 사실상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우정식 병음(지명 표기 시) 등 다른 표기 방식이 널리 쓰였다. 정작 고안자들인 자오위안런과 린위탕도 본인의 이름을 이 표기법으로 안 썼을 정도니 말 다했다.[3] 오늘날 중국 본토에서는 한어병음을 주로 쓰고 있기도 하고.
이 표기법은 보조 부호 없이(단, 경성은 예외) 기본 로마자만으로 성조까지 정확히 표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규칙이 복잡하고 직관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거의 쓰이지 못하고 도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자오위안런은 성조 부호를 쓰는 경우보다 국어라마자의 방식이 중국어 학습에 유리하다고 생각했지만(영어 단어의 철자를 외우듯이 중국어 발음을 익힐 수 있다고 생각한 듯하다), 대부분의 연구 결과로는 국어라마자 표기법으로 학습하면 어렵다는 쪽이 대세인 모양.[4]
참고로 역시 자오위안런이 고안한 통자방안(通字方案, General Chinese·GC, Tung-dzih)이라는 표기법이 있는데, 이 통자방안 중 로마자 표기법은 중국어의 주요 방언, 일본어의 음독(音読み), 한국어·베트남어의 한자음을 고려한 중립적인 표기를 지향했다. 통자방안의 발음 체계에서는 전통적인 평성·상성·거성·입성의 4성을 두고 있는데, 이 4성을 국어라마자와 비슷한 철자 변형 규칙을 통해 나타내었다.
2 표기법
2.1 기본 형태(Basic form)
이 표기법은 성조에 따라 철자가 변형되므로 먼저 기본 형태부터 익힌 다음에 성조별 변형 규칙을 숙지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미 한어병음이 널리 쓰이므로 한어병음과 비교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헷갈리는 걸 막기 위해 필요할 경우 주음부호도 병기한다.
2.1.1 성모
성모에서 한어병음과 차이가 있는 부분은 설치음, 권설음, 설면음 세트이다. 나머지는 한어병음과 동일하다.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주음부호 | |
설치음 | tz | z | ㄗ |
ts | c | ㄘ | |
s | s | ㄙ | |
권설음 | j | zh | ㄓ |
ch | ch | ㄔ | |
sh | sh | ㄕ | |
r | r | ㄖ | |
설면음 | ji | j | ㄐ |
chi | q | ㄑ | |
shi | x | ㄒ |
설치음에서는 tz, ts가 다르다. 권설음은 j가 다르다. 그리고 설면음은 권설음과 동일한 자음을 쓰되 뒤에 i가 오는 걸 보고 구분하는 식이다(단 철자 변형 규칙에 따라 3성은 i 대신 e가 뒤따라 올 수 있다).
2.1.2 운모
아래 표에서 주음부호 없이 적힌 기호는 국제음성기호로 대략적인 음운을 표기한 것이다(단, /∅/은 국제음성기호가 아니라 음소가 없다는 뜻).
굵은 글씨로 돼 있는 부분이 한어병음과 다른 부분이며, 이런 글자는 밑에 ( ) 안에 한어병음을 적었다.
운복 | ∅ | a | ə | ||||||||||||
운미 | ∅ | ∅ | i | u | n | ŋ | ∅ | i | u | n | ŋ | ɻ | |||
운두 | ∅ | y 帀[5] (i) | a ㄚ | ai ㄞ | au ㄠ (ao) | an ㄢ | ang ㄤ | e ㄜ | ei ㄟ | ou ㄡ | en ㄣ | eng ㄥ | el ㄦ (er) | ||
i | i ㄧ | ia ㄧㄚ | iai ㄧㄞ[6] | iau ㄧㄠ(iao) | ian ㄧㄢ | iang ㄧㄤ | ie ㄧㄝ | iou ㄧㄡ (you, iu) | in ㄧㄣ | ing ㄧㄥ | |||||
u | u ㄨ | ua ㄨㄚ | uai ㄨㄞ | uan ㄨㄢ | uang ㄨㄤ | uo ㄨㄛ | o ㄛ | uei ㄨㄟ (wei, ui) | uen ㄨㄣ (wen, un) | ueng ㄨㄥ (weng) | ong ㄨㄥ | ||||
y | iu ㄩ (ü) | iuan ㄩㄢ (üan) | iue ㄩㄝ (üe) | iun ㄩㄣ(ün) | iong ㄩㄥ |
감탄사에서만 인정되고 있는 단운모 ㄝ(한어병음: ê)는 국어라마자에서 따로 표기 방식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어차피 일반적인 경우, 특히 고유명사를 기재할 때에는 쓰일 일이 거의 없어서 큰 문제는 아니라고 볼 수 있지만. 다른 감탄사 전용 운모인 ㄧㄛ(한어병음: io, yo)는 위 표에 기재가 안 돼 있지만 응용해서 io로 적으면 된다.
한어병음에서 ü(또는 yu나 ju, qu, xu의 u)로 적히는 발음은 국어라마자의 기본 형태에서 iu로 적는다. 또한 한어병음에서 zhi, chi, shi, ri, zi, ci, si의 i 부분은 국어라마자의 기본 형태에서 y로 적으며, 한어병음의 ao는 국어라마자의 기본 형태에서 au로 적는다. 한어병음의 er은 국어라마자의 기본형에서 특이하게 el로 적힌다. 이것은 국어라마자에서 r이 모음 뒤에서 2성임을 나타내는 부호로 쓰이기 때문에 충돌을 회피한 것이다. 물론 이와 상관 없이 성모는 l=ㄌ, r=ㄖ로 적어서 한어병음과 동일하다.
한어병음과 달리 국어라마자의 기본 형태에서는 성모의 유무에 따른 철자 변형 규칙이 없다. 단 3성과 4성에서는 있다(아래에서 설명함).
2.1.3 음절 구분(격음·隔音)
음절 구분이 필요한 경우 음절 사이에 어깻점(’ 또는 ')을 찍는다. 예: pin'in(한어병음: pīnyīn).
격음 부호를 어깻점으로 한다는 점은 한어병음과 동일하다. 하지만 한어병음에서는 음절 첫 글자로 i, u가 오지 않기 때문에 어깻점의 수요가 국어라마자 표기법보다 적다.
2.2 성조에 따른 철자 변형
2.2.1 평성(平聲)
1성(음평성)과 2성(양평성)은 고어의 평성에서 갈라져 나왔다. 그래서인지 국어라마자 표기법에서는 1성과 2성의 표기 방식이 서로 반대되는 형태로 엮여 있다.[7]
- 기본 형태로 쓰면 1성이 되는 게 원칙이지만 공명음 성모가 쓰이는 음절은 예외로 기본 형태로 쓰면 2성이다. 공명음 성모가 쓰이는 음절이 1성을 나타내려면 성모 뒤에 h를 붙여야 한다.
- 1성은 y, w로 시작하는 음절이 없지만(1성만 유일) 2성은 반대로 y, w를 적극 사용한다.
상세 설명은 아래를 읽어 보도록 한다.
2.2.1.1 1성(음평성·陰平聲) : 대부분 기본 형태 사용
- 성모가 공명음 자음인 경우(l, m, n, r) 성모 뒤에 h를 붙이고 나머지는 기본 형태대로 적는다. 예:
reng→rheng,ma→mha(한어병음: rēng, mā). - 이외에는 기본 형태 그대로 쓴다.
공명음 성모만 h를 덧붙여 철자 변형을 하는 이유는 이 성모가 오는 음절 중에 1성인 경우가 드물기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 자세한 설명을 일일이 달면 복잡하니 각주[8]를 참고.
2.2.1.2 2성(양평성·陽平聲) : i/u → y/w, 또는 r 첨가
- 성모가 공명음 자음인 경우 그냥 기본 형태대로 적는다. 예: reng, ma, lian(한어병음: réng, má, lián)
- 성모가 공명음 자음이 아닌 경우 다음과 같이 적는다.
- 운모가 i, u로 시작하는 경우 각각 y, w로 바꾼다. 예:
iang→yang,huang→hwang,ing→yng,iu→yu(한어병음: yáng, huáng, yíng, yú)- 단 단운모 i, u의 경우 각각 y, w을 앞에 덧붙인다. 예:
i→yi(y아님),shi→shyi(shy[9] 아님),u→wu(w아님),shu→shwu(hw아님) (한어병음: yí, xí, wú, shú)
- 단 단운모 i, u의 경우 각각 y, w을 앞에 덧붙인다. 예:
- 이외에는 모음 맨 뒤에 r을 붙인다. 예: charng, bair, shyr(한어병음: cháng, bái, shí)
- 운모가 i, u로 시작하는 경우 각각 y, w로 바꾼다. 예:
2성의 운모 변형 규칙은 성모가 공명음 자음인 경우에 적용하지 않고 그냥 완전히 기본 형태대로 적으니 주의할 것.
2.2.2 측성(仄聲)[10]
3성(상성)과 4성(거성)은 전통적으로 측성인 탓에 표기 방식이 서로 상대되게 되어 있다. 자오위안런은 3성(상성)의 표기를 '가벼운' 모음으로 쓰고 4성은 '무거운' 운미로 쓴다고 설명하고 있다. 처음엔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안 가지만 아래 내용을 숙지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이해가 안 되면 그냥 철자법을 외우기만 해도 별 문제는 없다
참고로 앞서 언급한 통자방안에서도 비슷한(동일하지는 않음) 방식으로 상성과 거성을 나타낸다.
2.2.2.1 3성(상성·上聲[11]) : i/u → e/o, 또는 모음을 두 글자로
- 운모에 모음이 한 글자만 있으면 그 모음을 한 번 더 쓴다. 예:
chin→chiin,gu→guu,fan→faan(한어병음: qǐn, gǔ, fǎn) - i, u(단모음 i이나 단모음 u는 제외[12])를 각각 e, o로 바꿔 쓴다. 예:
duan→doan,dau→dao,shuei→shoei,hai→hae(한어병음: duǎn, dǎo, shuǐ, hǎi)- 단, i, u가 모두 있을 경우 첫 번째에만 철자 변형을 적용한다. 예:
jiau→jeau(jeao아님),guai→goai(goae아님),shiu→sheu(sheo아님) (한어병음: jiǎo, guǎi, xǔ) - 단, ei, ie, ou, uo는 i, u를 바꾸지 않고 e, o를 한 번 더 쓴다.[13] 예:
mei→meei(mee아님),kou→koou(koo아님),jie→jiee(jee아님),guo→guoo(goo아님) (한어병음: měi, kǒu, jiě, guǒ)
- 단, i, u가 모두 있을 경우 첫 번째에만 철자 변형을 적용한다. 예:
- i, u로 시작하는 음절은 y, w를 덧붙인다. 예:
i→ii→yii,ia→ea→yea,ing→iing→yiing,u→uu→wuu,uang→oang→woang(한어병음: yǐ, yǎ, yǐng, wǔ, wǎng)- 단 성모가 없이 복운모 ie, uo만으로 이뤄진 음절은 첫 글자를 y, w로 고친다[14]. 예:
ie→iee→yee(yiee아님),uo→uoo→woo(wuoo아님)(한어병음: yě, wǒ)
- 단 성모가 없이 복운모 ie, uo만으로 이뤄진 음절은 첫 글자를 y, w로 고친다[14]. 예:
모음을 두 글자로 겹쳐 쓰게 하는 규칙은 아무래도 3성(반3성인 경우는 제외)이 다른 성조보다 길게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착안한 것으로 보인다(길게 발음 = 모음을 반복해서 씀).
2.2.2.2 4성(거성·去聲) : 마지막 글자를 변경하기/두 글자로 늘리기, 또는 h 덧붙이기
- 운미가 i, u[15], n, ng, l로 끝날 경우 각각 y, w, nn, nq, ll로 바꾼다. 예:
tzai→tzay,dau→daw,ban→bann,jeng→jenq,el→ell(한어병음: zài, dào, bàn, zhèng, èr) - 기타 운모는 마지막에 h를 덧붙인다. 예: shyh, dih, kuh, liuh(한어병음: shì, dì, kù, lǜ)
- 성모 없이 i, u로 시작하는 음절의 경우 i, u를 각각 y, w로 바꾼다. 예:
iau→iaw→yaw,iu→iuh→yuh,uang→uanq→wanq(한어병음: yào, yù, wàng)- 단 성모가 없는 음절 중 운모에 모음이 한 글자 뿐이면 앞에 y, w를 덧붙인다. 예:
i→ih→yih(yh아님[16]),ing→inq→yinq(ynq아님),u→uh→wuh(wh아님) (한어병음: yì, yìng, wù)
- 단 성모가 없는 음절 중 운모에 모음이 한 글자 뿐이면 앞에 y, w를 덧붙인다. 예:
2.2.3 경성 : 음절 앞에 점을 덧붙이기
국어라마자 표기법에서 유일하게 보조 부호가 동원되는 케이스이다. 음절의 구분을 명확히 해주는 '까지 포함하면 유이(唯二)한 케이스.
- 경성은 음절 앞에 온점(.)을 찍는다. 보통은 기본 형태로 철자를 쓰고 그 앞에 점을 찍는다. 예: .de(한어병음: de 또는 ·de)
- 국어라마자가 사용된 문헌에 따라서는 고리점(。 또는 o)을 찍는 경우도 있다. 예: 。de 또는 ode
- 본래 다른 성조가 있었다가 약화돼서 경성이 되는 단어들도 있는데, 이 경우 해당 음절의 본래 성조대로 적은 뒤 그 앞에 점을 찍으면 본래의 발음과 경성화된 발음을 동시에 나타낼 수도 있다.[17] 예: perng.yeou(한어병음: péngyou 또는 péng·you. 본래는 péngyǒu)
2.2.4 성조별 대응표
아래 표에서 주음부호 밑에 적혀 있는 로마자는 주음부호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 한어병음을 병기한 것이니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
아래 표에서 1, 2성은 성모가 공명음이 아닌 경우에 한정된 표기이다. 성모가 공명음일 경우 1성은 성모 + h + 아래 표의 1성 형태로, 2성은 성모 + 아래 표의 1성 형태로 적어야 한다. 3성과 4성은 공명음 성조든 아니든 아래 표대로 적으면 된다.
1성 | 2성 | 3성 | 4성 | 1성 | 2성 | 3성 | 4성 | 1성 | 2성 | 3성 | 4성 | 1성 | 2성 | 3성 | 4성 | |||||
帀 -i | -y | -yr | -yy | -yh | ㄧ i | i | yi | (y)ii | (y)ih | ㄨ u | u | wu | (w)uu | (w)uh | ㄩ ü | iu | yu | (y)eu | iuh/yuh | |
ㄚ a | a | ar | aa | ah | ㄧㄚ ia | ia | ya | (y)ea | iah/yah | ㄨㄚ ua | ua | wa | (w)oa | uah/wah | ||||||
ㄛ o | o | or | oo | oh | ㄧㄛ io | io | yo | (y)eo | ioh/yoh | ㄨㄛ uo | uo | wo | uoo/woo | uoh/woh | ||||||
ㄜ e | e | er | ee | eh | ㄧㄝ ie | ie | ye | iee/yee | ieh/yeh | ㄩㄝ üe | iue | yue | (y)eue | iueh/yueh | ||||||
ㄞ ai | ai | air | ae | ay | ㄧㄞ iai | iai | yai | (y)eai | iay/yay | ㄨㄞ uai | uai | wai | (w)oai | uay/way | ||||||
ㄟ ei | ei | eir | eei | ey | ㄨㄟ ui (wei) | uei | wei | (w)oei | uey/wey | |||||||||||
ㄠ ao | au | aur | ao | aw | ㄧㄠ iao | iau | yau | (y)eau | iaw/yaw | |||||||||||
ㄡ ou | ou | our | oou | ow | ㄧㄡ iu (you) | iou | you | (y)eou | iow/yow | |||||||||||
ㄢ an | an | arn | aan | ann | ㄧㄢ ian | ian | yan | (y)ean | iann/yann | ㄨㄢ uan | uan | wan | (w)oan | uann/wann | ㄩㄢ üan | iuan | yuan | (y)euan | iuann/yuann | |
ㄣ en | en | ern | een | enn | ㄧㄣ in | in | yn | (y)iin | (y)inn | ㄨㄣ un (wen) | uen | wen | (w)oen | uenn/wenn | ㄩㄣ ün | iun | yun | (y)eun | iunn/yunn | |
ㄥ eng | eng | erng | eeng | enq | ㄧㄥ ing | ing | yng | (y)iing | (y)inq | ㄨㄥ weng | ueng | weng | woeng | wenq | ㄩㄥ iong | iong | yong | (y)eong | ionq/yonq | |
ㄨㄥ ong | ong | orng | oong | onq | ||||||||||||||||
ㄦ er | el | erl | eel | ell |
2.3 얼화(兒化/儿化, rhotacization) 규칙
- 얼화된 음절은 표기상으로도 하나의 음절로 취급해서 적되, 얼화된 발음을 소리나는대로 적는다.[18]
- 단운모 y가 있는 음절에서 얼화가 이뤄지면 y가 탈락하면서 el을 더한다.
- 事兒/事儿 shyh+erl → (기본형 shy+el) → (앞 음절의 운모 y 탈락) → (기본형 shel) → shell(얼화된 음절이 4성이므로 l을 ll로 고침) (한어병음: shìr)
- 운미로 쓰이는 i, n은 생략한다.
- 孩兒/孩儿 hair+erl → (기본형 hai+el) → (앞 음절의 운미 n 탈락) → (기본형 hal) → harl(얼화된 음절이 2성이고 공명음 성모가 아니므로 모음 뒤에 r 첨가) (한어병음: háir)
- 扇兒/扇儿 shann+erl → (기본형 shan+el) → (앞 음절의 운미 n 탈락) → (기본형 shal) → shall(얼화된 음절이 4성이므로 l을 ll로 고침) (한어병음: shànr)
- 味兒/味儿 wey+erl → (기본형 uei+el) → (앞 음절의 운미 i 탈락) → (기본형 uel) → well(얼화된 음절이 4성이므로 l을 ll로 고치고 첫 글자가 u이므로 w로 고침) (한어병음: wèir)
- 단모음 i, iu가 있는 음절에서 얼화가 이뤄지면 뒤에 el을 붙인다.
- 今兒/今儿 jin+erl → (기본형 jin+el) → (앞 음절의 운미 n 탈락) → (기본형 jiel) → jiel(얼화된 음절이 1성이고 성모가 공명음이 아니니 기본형 유지) (한어병음: jīnr)
- 魚兒/鱼儿 yu+erl → (기본형 iu+el) → (기본형 iuel) → yuel(얼화된 음절이 2성이고 공명음 성모가 아니므로 첫 i를 y로 고침) (한어병음: yúr)
- 나머지 음절에서 얼화가 이뤄지면 뒤에 l을 붙인다.
- 後兒/后儿 how+erl → (기본형 hou+el) → (기본형 houl) → houll(얼화된 음절이 4성이므로 l을 ll로 고침) (한어병음: hòur)
- 空兒/空儿 konq+erl → (기본형 kong+el) → (기본형 kongl) → kongll(얼화된 음절이 4성이므로 l을 ll로 고침) (한어병음: kòngr)
- 단 ing으로 끝나는 음절에서 얼화가 이뤄지면 중간에 e를 첨가해 iengl 꼴로 쓴다.
- 明兒/明儿 ming+erl → (기본형 ming+el) → (기본형 miengl) → miengl(얼화된 음절이 2성이고 성모가 공명음이므로 기본형 유지) (한어병음: míngr)
중국어가 아니라 영어 단어가 보이는 느낌이 들면 기분 탓이다.
l만 더해지는 경우는 얼화 시 '어' 같은 발음이 잘 첨가되지 않는 경우, el이 더해지는 경우는 '어' 같은 발음이 잘 첨가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扇兒/扇儿의 경우 '살'처럼 발음되므로 shall로 적히는 것이고, 今兒/今儿의 경우 '찌얼'처럼 발음되므로 jiel로 적히는 것이다. 그리고 ng 운미가 있는 음절이 얼화될 경우 실제 ng 발음은 탈락하지만 ng 발음의 영향이 남아 모음이 비음화(鼻音化)되기 때문에, 비음화되지 않는 경우와 구분하기 위해 ng라는 철자를 유지한다. 이 중 ing 운모가 얼화될 경우에는 ingl이 아닌 iengl로 적는 이유는, '이' 모음 뒤에 '어' 발음이 첨가되면서 비음화까지 되므로 이런 복잡한 철자가 된 것이다.
한어병음 등 많은 표기법은 얼화가 되기 전의 형태를 바로 알아볼 수 있게 기재하지만 국어라마자 표기법은 실제 발음을 기준으로 기재한다. 그래서 얼화음만큼은 한어병음과 1:1로 대응이 안 된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 국어라마자의 jiel은 한어병음의 jīr과 jīnr(실제 발음이 같음) 모두에 대응된다.
- 국어라마자의 jial은 한어병음의 jiār과 jiānr(실제 발음이 같음) 모두에 대응된다.
2.4 성조 변화, 예외적 표기, 축약형, 노국음 표기 관련
- 3성이 반복돼서 앞의 3성이 2성으로 바뀌는 경우는 바뀐 발음을 무시하고 본래의 3성을 기준으로 표기하는 게 원칙이다. 표준중국어의 다른 발음 표기법들도 이런 경우가 대부분이다.
- 상황에 따라 실제 발음의 성조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은 一, 七, 八, 不는 기본형 i, chi, ba, bu로 고정시켜 놓고 표기한다.[19]
- 예: 一點兒/一点儿(한어병음: 본래 발음 yīdiǎnr → 실제 발음 yìdiǎnr)을 소리나는대로 적을 경우 yihdeal이라고 적어야 하지만, 一을 i로 고정시킨다는 규칙에 따라 ideal라고 적는다.
영어 '아이디얼'로 읽으면 안 된다 - 예: 不是(한어병음: 본래 발음 bùshì → 실제 발음 búshì)을 본래 발음대로라면 buhshyh, 실제 발음대로라면 bwushyh라고 적어야 하지만, 不를 bu로 고정시킨다는 규칙에 따라 bushyh라고 적는다.
- 예: 一點兒/一点儿(한어병음: 본래 발음 yīdiǎnr → 실제 발음 yìdiǎnr)을 소리나는대로 적을 경우 yihdeal이라고 적어야 하지만, 一을 i로 고정시킨다는 규칙에 따라 ideal라고 적는다.
- 羅馬字/罗马字(라마자, 로마자; 한어병음: Luómǎzì)는 본래 규칙대로라면 Luomaatzyh라고 적어야겠지만 '로마'의 원어(라틴어, 이탈리아어) 표기인 Roma를 보존해 Romatzyh로 적는다. 이 표기법의 명칭인 Gwoyeu Romatzyh(한어병음: Guóyǔ Luómǎzì)자체가 이 예외가 적용된 케이스이다.
- 자주 쓰이는 경성 접미사를 약식으로 적을 수 있다. 단, 반드시 이렇게 적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 個/个 .geh(한어병음: ge): → -g
- 著/着 .je(한어병음: zhe): → -j
- 麼/么 .me(한어병음: me): → m
- 是 .shyh(한어병음: shi): sh
- 예: 就是 jiow.shyh(한어병음: jiùshi) → jiowsh, 但是 dann.shyh(한어병음: dànshi) → dannsh 등
- 子 .tzyy(한어병음: zi): tz
- x와 vx를 반복 부호로 쓸 수 있다.[22] 다만 이 표기를 채택한 문헌과 채택하지 않고 모든 철자를 또박또박 적은 문헌 모두 존재한다. 심지어 자오위안런의 저서들 중에서도 채택한 저서와 채택하지 않은 저서 모두 존재한다.
- x는 한 음절이 반복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shieh.x는 shieh.shieh(한어병음: xièxie)와 같다.
- vx는 두 음절이 반복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haoshuo vx는 haoshuo haoshuo(한어병음: hǎoshuō hǎoshuō)와 같다.
- 노국음(老國音)[23]의 발음을 표기할 수 있게 추가적인 표기법이 존재한다.
- 노국음에는 성조 중에 입성(入聲)이 인정된다.[24] 이 입성 발음을 표기할 때에는 기본 형태로 쓴 음절 맨 뒤에 q만 추가하면 된다. 예: maq, jiueq(한어병음의 ma, jue 발음을 입성으로 발음).
- 노국음에서만 쓰이는 성모로 v(옛 주음부호: ㄪ(万), 국제음성기호: [v][25]), ng(옛 주음부호: ㄫ(兀), 국제음성기호: [ŋ]), gn[26](옛 주음부호: ㄬ(广), 국제음성기호: [ɲ]) 같은 것들이 국어라마자 표기법에서 인정된다. 이것들은 공명음처럼 취급돼[27] 1, 2성 표기 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예를 들어 ng 성모와 a 운모가 결합할 경우 ngha(음평성, 1성) - nga(양평성, 2성) - ngaa(상성, 3성) - ngah(거성, 4성) - ngaq(입성) 식으로 적는다.
- 노국음에서만 인정되는 복합운모로 ㄩㄛ(한어병음을 응용해서 적을 경우 üo)가 있는데, 이것은 이미 기재한 규칙을 응용해서 iuo(음평성, 1성)[28] - yuo(양평성, 2성)[29] - (y)euo(상성, 3성) - iuoh/yuoh(거성, 4성) - iuoq(입성) 식으로 적는다.
3 국어라마자의 유산과 여담
국어라마자는 요즘 거의 쓰이진 않지만 아직까지 영향이 좀 남아 있다.
- 한어병음,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등 다른 로마자 표기법만으로는 로마자 표기상 여러 고유명사를 구분하기 어려울 때 국어라마자를 동원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 표준 중국어에서 두 산시 성, 즉 한국 한자음으로 산서(山西·Shānxī)성과 섬서(陝西/陕西·Shǎnxī)성은 표준중국어에서 성조만 다르기 때문에, 성조 기호를 지우면 둘 다 Shanxi로 적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성조 기호 없이 적을 경우 관행적으로 첫 음절을 국어라마자로 바꿔 적어 전자는 Shanxi, 후자는 Shaanxi로 적는 경우가 흔하다. 첫 음절(Shan, Shaan)에 한정되긴 하지만[30]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국어로마자 표기 중 가장 널리 쓰이는 케이스라 할 수 있다.[31] 산시 성 문서에 추가 설명이 있으니 참고할 것.
- 춘추전국시대의 역사를 영어 등 외국어로 기술할 때 한자가 다른 두 위나라(魏와 衛/卫)는 표준중국어에서 성조까지 똑같은 Wèi(한어병음 기준)로 발음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32] 그래서 한자 없이 로마자로만 표기할 때 혼동의 우려가 있다. 그래서 영어로 적을 때 魏는 한어병음이나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성조 부호나 번호 생략)대로 적어서 Wei라고 적고, 衛/卫는 국어라마자 표기법에 따라 Wey라고 적어 양자를 구분하는 경우가 꽤 있다. 魏라는 이름의 나라는 춘추전국시대 이후로도 여러 차례 등장하기 때문에 중국사의 다른 시대를 서술할 때 재활용(...)이 필요하므로 흔히 쓰는 Wei로 적고, 衛/卫라는 이름의 나라는 춘추전국시대 이후로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듣보잡철자인 Wey로 쓰게 하는 관행이 생긴 것으로 짐작된다.
-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고유명사를 거의 대부분 한어병음대로 표기하지만, 중화민국(대만)이나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중국 출신자 인명에서는 가끔 국어라마자 표기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마잉주(馬英九/马英九)의 로마자 표기를 Ma Ying-jeou로 하고 있는데, 이 중 jeou 부분은 국어라마자 표기법과 정확히 일치한다.[35] 또 중국 출신의 수학자인 천싱선(陳省身/陈省身)은 Shiing-Shen Chern[36]으로 성명을 적었는데 모든 음절이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적혀 있다.
- 기본 형태를 모든 성조에 적용하는 대신 한어병음과 동일한 성조 기호로 성조를 표기하고, 성모, 운모 표기에 약간의 수정을 거친 로마자 표기법이 존재한다. 이것이 1986년부터 통용병음이 나오기 전까지 중화민국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쓰였던
근데 사람들이 실제론 잘 안 썼다국어 주음부호 제2식이다.
- 지금도 종종 로마자만 사용해서 성조 언어의 성조를 구분하는 표기법들이 있는데 이것도 국어라마자 표기법의 방식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국 소수민족 언어 중에 하나인 좡어의 현행 표기법(로마자만 사용한다)이 그 예. 그리고 중국어 고어 추정음을 표기하는 로마자 표기법 중에 로마자만 가지고 성조까지 표기하는 방식을 고안한 사례가 인터넷에 있다(예). 그리고 자주 쓰이진 않지만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약식 표기법으로 음절 뒤에 잘 안 쓰는 로마자를 붙여 성조를 구분하는 방식도 존재하는데(1성은 아무 글자도 안 붙이고, 2~4성은 각각 v, x, z를 붙임) 이것도 접근법은 비슷하다. 다만 이런 표기법들은 성조 표기용 글자를 특정 위치에 더하기만 하는 식이라 국어라마자 표기법에 비하면 규칙이 단순하다.
한편, 국어라마자와 비슷한 시기에 구 소련에서 성조를 무시하고(단 성조를 지우면 헷갈리는 소수의 자주 쓰이는 단어는 예외적 철자를 마련함) 성모와 운모만 적는 라틴화 신문자(Latinxua Sin Wenz, 拉丁化新文字)#라는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도 출현했었다. 이 표기법은 그냥 문맥을 보고 성조를 짐작하는 방식[37]이었다. 성조를 나타내기 위한 보조 기호를 쓰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국어라마자와 비슷하지만 국어라마자는 철자 변형을 통해 성조를 보존한다는 차이점이 있다.[38]
앞서 언급한 자오위안런의 통자방안 중 로마자 표기법은 중국어의 주요 방언, 일본어의 음독(音読み), 한국어·베트남어의 한자음을 고려한 '중립적인' 표기를 지향했다. 통자방안의 발음 체계에서는 전통적인 평성·상성·거성·입성의 4성을 두고 있는데, 이 4성을 국어라마자와 비슷한 철자 변형 규칙을 통해 나타내었다. 그런데 통자방안은 너무 인위적인 표기법이라 오늘날 국어라마자보다도 쓰이지 않고 있다.
국어라마자는 별도의 성조 표기 없이 철자 변형으로 성조를 나타내다 보니 이 점은 역시 별도로 성조를 분리하지 않았던 옛 발음 표기법인 반절과 유사한 면이 있다. 하지만 국어라마자가 반절과 달리 성조가 아닌 음소(분절음소)는 알파벳으로 확실히 드러난다는 차이점이 있긴 하다.
혹시 본인이 중국어를 학습 중인데 성조만 유독 외우질 못한다면 한자음 메모를 한어병음이나 주음부호 대신 국어라마자(또는 한어병음의 성모+국어라마자의 운모 결합이라는 마개조도 가능)로 하는 방법을 시도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물론 국어라마자 표기법을 그 전에 먼저 숙지해야 한다). 성조 기호보다는 알파벳 철자의 차이가 머릿속에 잘 들어와서 암기가 잘 되는 사람한테는 이 방법이 성조 암기에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자오위안런도 비슷한 입장이긴 했다). 다만 이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런 방식이 중국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보장은 없다. 국어라마자가 실용적이지 않다는 반론이 예전부터 만만치 않았으니... 결국 국어라마자를 이용해 중국어를 학습할지 말지는 학습자 본인이 신중히 선택해야 할 것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병음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 1958년에 한어병음이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대체되었다. 다만 1978년경은 돼야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으로 자리잡았다고 한다.
- ↑ 1986년에 국어 주음부호 제2식(MPS2)가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 되었는데 국어라마자와 마찬가지로 실제로는 잘 안 쓰였다. 이후 2002년 민주진보당 천수이볜 정권 하에서 통용병음이 도입되었지만 민진당세가 강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역시 잘 안 쓰였다. 그래서 결국 2008년까지만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었다가, 2009년부터는 국민당 마잉주 정권이 중국 본토처럼 한어병음을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채택했다. 다만 2016년에 민진당 차이잉원 정권이 출범하면 또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
- ↑ 물론 이들은 국어라마자를 정하기 전에 이미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나 그 변형 표기법에 따라 이름을 적고 있어서 기존 표기를 바꾸기가 곤란했다는 점도 있었을 것이다. 자오위안런은 미국에서 살았던 탓인지 성명을 뒤집은 Yuen Ren Chao(약칭 Y. R. Chao)으로 썼고, 린위탕은 Lin Yutang으로 적었다. 이 둘의 이름을 국어라마자대로 적을 경우 Jaw Yuanrenn(한어병음 Zhào Yuánrèn에 대응), Lin Yeutarng(한어병음 Lín Yǔtáng에 대응)으로 써야 한다.
- ↑ 20세기 초에 이미 불편하다는 비판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영어)을 참고. 긴 글이므로 본문에서 Karlgren을 검색해서 앞뒤 문장을 읽어 보는 게 빠르다.
- ↑ 일반적으로 쓰는 주음부호가 아니다. 한어병음으로 zhi, chi, shi, ri, zi, ci si의 i 부분에 해당하는 발음을 의미한다. 사실 주음부호용 유니코드 문자는 ㄭ(U+312D)를 써야 하는데 이 글자를 제대로 표시해주는 기기가 드물어 읽는 분들의 편의를 위해 부득이 모양이 같은 한자 帀로 썼다.
- ↑ 본래 중화민국 국어(궈위)에서는 이 발음이 보존돼 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국어를 수정한 보통화(푸퉁화)에서는 이 발음이 ia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원본 한어병음에는 iai가 없지만, 국어의 해당 발음을 유추하여 표기할 때 iai로 적는다. 그리고 이제 중화민국에서도 한어병음을 채택했으니 iai가 사실상 쓰이고 있다. 그래서 한어병음과 국어라마자가 일치하는 경우로 취급하여 이 표에서는 따로 굵은 글씨로 표기하지 않았다.
- ↑ 또한 국어라마자 표기법은 위에서 언급한 통자방안의 로마자 표기법과 관련돼 있는데, 통자방안에서는 고어 발음에 가깝게 음평성과 양평성의 구분이 없이 평성으로 뭉뚱그려져 있다. 통자방안(음평성과 양평성의 구분이 없음)과 국어라마자(음평성과 양평성의 구분이 있음)이 대략적으로 대응된다는 점을 이해하면 1, 2성이 왜 서로 표기 방식상 서로 엮여 있는지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통자방안의 평성을 수정해서 국어라마자의 음평성과 양평성으로 갈라 놓은 셈이라고 볼 수 있다.
- ↑ 현대 표준중국어에서 공명음 성모와 1성의 결합이 드문 이유는 고어와 현대어의 음운 대응과 관련이 있다. 본래 고어의 평성이 분화하여 현대 표준중국어의 1성(음평성)과 2성(양평성)이 된 것이다. 고어에서 평성인 발음이 성모가 청음(무성음)이었면 1성, 탁음(유성음)이었으면 2성으로 변화했다(물론 예외도 소수 있음). 현대 표준중국어에서 l, m, n, r으로 발음되는 성모는 고어에서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유성음으로만 발음됐다(l, m, n은 거의 그대로이고 r은 지금과 발음이 달랐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어쨌든 유성음인 건 확실하다). 그래서 고어에서 이런 성모가 쓰이면서 평성이었던 글자들은 현대 표준중국어로 오면서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거의 2성으로 실현되었다. 그래서 공명음 성모가 있는 음절이 1성인 경우가 적고 2성인 경우가 많으다. 따라서 국어라마자 표기법에서는 성모가 공명음일 경우 2성은 기본형대로 적고, 1성은 철자를 변형시켜 성모 뒤에 h를 덧붙여 쓰게 조치한 것이다.
- ↑ 국어라마자의 shy는 한어병음의 shī에 해당돼 완전히 다른 발음이기 때문에, 충돌을 막기 위해 단운모 i를 y로 바꾸는 게 아니라 y를 i 앞에 덧붙이도록 하는 추가 규칙을 만든 것이다. 단운모 u를 wu로 고치도록 하는 건 i→yi의 규칙을 유추하여 적용한 것이고.
- ↑ 상성·거성과, 현대 표준 중국어에 사라진 입성(入聲)은 전통적으로 뭉뚱그려 측성이라고 했다. 한시 쓸 때는 사실 평성·상성·거성·입성의 넷으로 구분하기보다 평성·측성의 둘로만 구분한다.
- ↑ 참고로, 오늘날 표준 중국어에서는 上 자가 발음이 변해서 정작 상성이 아닌 거성 ㄕㄤˋ(국어라마자: shanq, 한어병음: shàng)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上자가 상성(上聲/上声)을 의미할 때는 상성 성조를 보존하여 ㄕㄤˇ(국어라마자: shaang, 한어병음: shǎng)이라고 읽는다.
- ↑ 이 경우는 윗줄에 적힌 규칙에 따라 해당 모음 글자를 한 번 더 써서 ii, uu 식으로 적는다.
- ↑ 만약 ei, ie, ou, uo의 i, u를 e, o로 바꿀 경우 철자가 각각 ee, ee, oo, oo가 돼서 문제가 생긴다. 그러면 ei와 ie의 3성, ou와 uo의 3성이 각각 똑같아져서 서로 구분이 안 된다. 뿐만 아니라 앞에서 적은 '운모에 모음이 하나만 있으면 그 모음을 한 번 더 쓴다'는 규칙과 충돌해 e, o의 3성과도 똑같아진다. 그래서 이런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이런 규칙을 둔 것이다.
- ↑ 원래 y는 i에 대응되는 반모음 글자이고, w는 u에 대응되는 반모음 글자이다. 따라서 굳이 yiee, wuoo 식의 철자보다는 yee, woo 식의 철자가 경제적이라 이런 규정을 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성모 없이 단모음 i, u만 쓰인 3성 음절의 경우 i를 yi, u를 wu로 고치게 하진 않고 yii, wuu로 고친다. yi, wu 같은 표기는 2성에서 이미 사용된 철자이기 때문에 충돌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 ↑ 단, 단운모 iu(한어병음: ü)의 u는 해당되지 않는다. iu 자체가 하나의 단모음이므로 u 부분이 운미가 아니라 운복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 ↑ yh는 jyh, chyh, shyh, ryh, tzyh, tsyh, syh(한어병음: zhì, chì, shì, rì, zì, cì, sì)에서 이미 쓰이기 때문에 회피한 것이다. 물론 yh에 운모 없이 단독으로 쓰일 일은 없지만 yih 식의 철자를 쓰도록 해서 확실하게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
- ↑ 물론 경성인 음절을 기본 형태로 쓰는 경우 1성(성모가 공명음이면 2성)이었다가 경성으로 변화한 케이스와 원래부터 경성인 케이스를 구분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고, 두 가지 발음을 다 적어서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특별한 문제가 되진 않는다.
- ↑ 주음부호의 경우 얼화되기 전의 본래 음절을 그대로 표기한 뒤 '얼' 발음을 경성인 1음절로 취급해서 표기한다. 하지만 국어라마자 표기법은 그런 식으로 안 적고, 실제 발음대로 하나의 음절로 합쳐서 표기한다는 뜻이다. 이 점은 한어병음과 비슷하다. 하지만 한어병음은 얼화되기 전의 형태를 보존해서 적는데 반해 국어라마자 표기법은 보존하지 않는다. 이 점은 본문 설명 참고.
- ↑ 표준중국어의 다른 병음 표기법들도 이 글자들은 본래의 성조를 고정시켜 놓고 표기하도록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단 필요에 따라서는 실제 발음을 반영해서 표기하기도 함). 그런데 不의 경우 본래의 성조가 4성(한어병음으로 적으면 bù)이라, 성조를 고정시켜 표기할 경우 대개 4성으로 고정시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국어라마자 표기법에서는 그냥 기본형을 유지한다. 그래서 4성 buh가 아닌 1성으로 읽힐 수 있는 bu로 적히니 주의할 것.
- ↑ m을 운미처럼 취급해서 4성의 규칙을 응용해 m을 두 번 씀.
- ↑ 발음 표기가 여러 개인 것은 과거 표준 발음과 현재 발음과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내용은 확인바람.
- ↑ 일본어에 존재하는 반복 부호(오도리지·踊り字)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글자 반복을 나타내는 부호 자체는 전통적으로 한자 문화권 모두에서 쓰였었지만(보통 가로획이나 점 두 개로 씀), 일본어는 더 나아가 여러 음절들이 반복되는 걸 나타내는 특수한 반복 부호도 있는데(단, 요즘엔 잘 안 쓰임) 국어라마자에서는 이와 비슷한 vx가 있다. 따라서 일본어의 영향으로 보는 게 맞을 듯 하다.
- ↑ 1913년에 정했던 중국어의 표준어였는데 인위적인 면이 다분한 표준안이었다. 그래서 아무도 이 발음법대로 읽지 않아 결국 폐기됐다. 관화(官話)에 속하는 하위 방언이나, 당대에도 이미 책을 읽을 때만 쓰고 구어로는 안 쓰던 발음 체계(독서음. 물론 오늘날은 이것도 안 씀) 등을 참고해서 정한 표준안인데 거의 인공어를 만든 수준이라 애초부터 현실성이 없었다.
- ↑ 다만 광둥어의 입성은 고전적인 [k\], [t\], [p\] 운미를 달고 있는 데 반해, 노국음의 입성은 차이가 있다. 노국음 제정 당시 난징 방언의 입성이 노국음의 입성 발음으로 채택됐던 것과 관련 있다. 난징 방언에서 입성 운미는 고어의 [k\], [t\], [p\]가 탈락해 흔적만 남긴 성문 폐쇄음 [ʔ\]으로 바뀐 상태로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입성일 때 음의 높낮이는 자오위안런의 기술대로라면 44♯로 한다고 한다. 다만 현재 난징 방언에서 음의 높낮이는 바뀌었다고 한다. 중국어 위키백과의 난징 방언 항목 참고.
- ↑ 또는 접근음인 [ʋ\]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 ↑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 등에서 gn이 [ɲ\] 발음을 나타내는 철자로 쓰여서 채택되었다.
- ↑ 사실 v가 마찰음 [v\]로 읽힐 경우 공명음이 아니다(단, 접근음 [ʋ\]으로 읽는다면 공명음이 맞음). 나머지 둘은 공명음이지만. 물론 공명음과 [v\] 모두 유성음이라는 공통점이 있긴 하다.
- ↑ 성모가 공명음일 경우 성모 뒤에 h도 추가(예: nhiuo).
- ↑ 단, 성모가 공명음일 경우 그냥 기본형으로 기재(예: niuo).
- ↑ 이 둘을 2음절까지 완벽하게 국어라마자 표기로 적으면 각각 Shanshi(산서)와 Shaanshi(섬서)가 돼야 하는데, 이들 표기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 ↑ 다만 현재의 표기가 정착되기 전에는 우정식 병음이 지명의 로마자 표기에 주로 쓰여서 산서성은 Shansi, 섬서성은 Shensi로 적혔다.
- ↑ 단 일부 중국어 방언이나 베트남어, 일본어 등에서는 양자의 발음이 구분되고 있다. 그래서 언어학자들은 고대 중국어에서도 둘의 발음이 구분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사실 이 위나라는 춘추전국시대의 위나라에서 따온 것이긴 한데 춘추전국시대 외에는 굳이 Wey라는 철자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 ↑ 보통 국내에 제후로 임명하는 '왕'은 영어로 king이 아니라 prince로 번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 ↑ 성명 전체를 다 국어라마자로 적을 경우 Maa Ingjeou(한어병음: Mǎ Yīngjiǔ) 식으로 적어야 한다.
- ↑ 그는 중화민국과 미국의 복수국적자였고 주로 미국에 살았기 때문에 성명을 뒤집어 썼다(한어병음식으로는 Chén Xǐngshēn). 그는 청나라 멸망 직전인 1911년 중국 본토의 저장 성 자싱(嘉興/嘉兴)에서 태어났고 일생의 대부분은 미국에서 살았다. 국부천대 후에도 중화민국 국적을 평생 유지했고 1961년에 미국 국적을 추가로 얻었다. 다만 2000년부터 사망한 해인 2004년까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관할 지역인 톈진에 거주했다.
- ↑ 사실 음소를 모두 표기하지 않고 일부를 생략하는 표음문자 표기법은 흔하다. 예를 들어 영어 등 많은 유럽 언어들과 일본어(일부 방언은 제외)에서는 강세가 단어 변별의 기능을 하고 있는 초분절음소로 존재하는데도, 일반적으로 강세 기호를 생략한다. 중동의 많은 언어의 문자 체계에서는 심지어 분절음소인 모음조차도 생략하고 쓰는 경우가 많다.
- ↑ 애초에 라틴화 신문자 고안자들은 성조가 중국어에서 '사라져야 할' 요소라고 생각했던 점 때문에 이런 표기법으로 정했다. 하지만 지금 관점에서 보자면 언어마다 특성이 다르다는 점을 무시하고, 서양 언어를 우월하게 인식해 그 특성에 끼워 맞췄다는 비판도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