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니

파일:Attachment/XMFSL.jpg

1 개요

Denture

인공적으로 만들어 잇몸에 넣어 끼웠다 뺐다 하는 이. 의치라고도 한다. 치과업계쪽은 영문 그대로 그냥 덴쳐라고 부른다(...)

역사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의치는 기원전 1000년 경 한 페니키아인이 다른 사람의 치아 4개를 줄로 묶어 자신의 입 안에 고정시킨 것.
지금에야 Resin이라는 훌륭한 재료가 있어 틀니를 끼우는데 특별한 고정 장치가 필요하지도 않고, 사용되는 인공치 역시 합성수지 하나면 땡이지만, 의치가 여기까지 오는데는 굉장한 시간이 걸렸다. 일단 사용되는 인공치를 다른사람의 치아나 타 동물의 생치아가 아닌, 도자기상아로 깎아 만들기 시작한 것이 17세기이다. 현대적인, 고정장치를 없앤 의치는 1839년 경화고무의 발명으로 등장했다. 그리고 진정한 의미의, 의치상과 인공치 모두 Resin으로 이루어진 현재의 의치가 나온것은 20세기이다.

현재로선 다수의 치아가 발거된 후 임플란트를 적용할 수 없다면(비용 및 구강건강상태) 틀니가 유일한 방법이다.

2016년 7월 1일 부터 틀니의 보험 적용 대상이 만 70세 이상으로 확대된다. 보험 미적용 대비 60% 정도의 비용이 절감된다. 대충 본인 부담금이 위 아래합 쳐 300만 원에서 120만 원 정도로 줄어든다. 근처의 노인이 종전의 보험적용대상(만 75세)에 미달하여 고생하고 계시다면 이 소식을 알려드리고 권유해보자. 기존과는 달리 금속상 총의치도 포함이 되어 구개상태가 많이 안 좋은 분도 대부분 기존보다 저렴한 가격에 틀니를 마련할 수 있는 기회.

2 특징

여러 개의 치아가 결손되면, 치아에 부착하는 보철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회복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있을 때가 있는데, 이 경우 쓰이는게 틀니이다. 종류는 완전 틀니와 부분 틀니가 있다. 나이를 먹어서 치아가 거의 빠진 노인분들이 거의 사용한다. 틀니는 치아가 결손된 사람들이 음식을 씹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주로 하지만 말을 할 때 발음을 제대로 할 수 있게 해주고 치아 결손으로 인해 안쪽으로 말려 들어간 입술을 다시 원위치로 잡아주어 얼굴의 형태를 유지 해주는 기능도 있기에 이런 사람들에게는 여러모로 굉장히 중요한 물건이라고 할 수 있다.

1. 완전 틀니 (full denture)
남아 있는 잔존 치아가 하나도 없을 시에 시술하는 틀니. 틀니 유지력을 오로지 잇몸을 통해서만 얻게 된다. 최근에는 유지력을 위해 임플란트를 심어서 유지력을 보강하는 임플란트 틀니가 많다.

2. 부분 틀니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남아 있는 잔존 치아가 있을 때 시술하는 틀니. 남아있는 이에 갈고리 모양의 장치를 걸어서 사용하는 크래습 틀니와, 틀니의 유지력이 증가된 상하악 부분 틀니, 이중관을 이용한 틀니, 단추와 비슷하여 남아 있는 치아에 부착시켜 틀니의 유지력을 증가시키는 부분 틀니로 구성되어 있다.

3 주의사항

3.1 초기 의치 장착시의 문제

처음 장착하고 나면 식사하기가 힘들다. 그리고 의치가 입안에 꽉차기 때문에 이물감이 크다. 발음하기도 곤란하다. 이 많이 나와서 적응할 때까지 계속 삼켜야 한다.

3.2 식사시 주의사항

섬유성 음식(김치, 깍두기), 질긴 음식(갈비), 단단한 과자류, , 은 피해야 한다.

3.3 의치 관리시 주의사항

의치라도 세균의 번식이 일어날 수 있고 치석이 생길 수 있으니 자기 치아만큼 깨끗이 관리하여야 한다. 세척할 때는 치약대신 퐁퐁 같은 주방세제를 사용해야 한다. 틀니 전문 세척제도 있다. 보통 통에 물을 담고 세척제(알약처럼 생겼다)를 넣은 뒤 틀니를 통에 담구는 스타일이다.

3.4 잇몸관리의 주의사항

3.5 주기적인 관리

4 기타

영화나 만화나 애니에서는 보통 노인 캐릭터(예외도 있기는 하다)의 개그로 틀니가 튀어 나가거나 빠져나와 그 캐릭터가 난처해지거나 아니면 틀니 때문에 여러가지 트러블이나 위기, 아니면 역으로 위기를 넘어가는 연출에 쓰이기도 한다.[1]

5 관련 항목

  1. 그런데 실제로도 틀니가 빠져나가는 일이 간혹 있다.
  2. 빠진 이 대신에 .45 ACP 총알이 틀니로 끼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