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기

(파브르 곤충기에서 넘어옴)

1 파브르 곤충기


한국어 : 파브르 곤충
프랑스어 : Les Souvenirs entomologiques

한국어로는 '곤충기'이고 프랑스어를 직역하면 '곤충학에 대한 기록'정도가 된다. 장 앙리 파브르가 1879년부터 1909년까지 30여년간 곤충을 연구하면서 자신이 관찰한 결과를 책으로 펴낸 것.
곤충 분류학이나 진화학에 대한 연구는 많이 발전했으나 곤충 생태학에 관한 연구는 파브르 이후로 발전한 것이 없다고 할 정도로 뛰어난 저작물이다. 자신이 실험하는 과정 역시 자세히 적어두었는데 어릴 때 사람은 눈으로 보는가 입으로 보는가 궁금해서 산에 올라가 눈을 감고 입을 벌렸다가 다시 입을 다물고 눈을 떴다가 하면서 확인하던 기억을 적어두었다. 저녁때 이걸 어른들에게 말했다가 쓸데없는 짓 한다고 쫑코 먹은 것까지 그대로 기록해 뒀다. 어린이의 창의성을 묵살하는 어른들 이와 같이 여러모로 실험해보고 다양한 각도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노력이 책 안에 그대로 녹아있다. 곤충기를 읽으며 사고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생태학 연구에 발전한 부분이 없다는 주장에 공감이 갈 정도. [1]

단점으로는 전반적으로 곤충기 내부에 진화론에 대해 말도 안된다는 맹비난을 펼치고 있다. 그리고 어떤 부분에서는 곤충 따위에게는 학습능력과 사고능력이 없다고 단정짓는가 하면 어떤 부분에서는 곤충이 학습하는 것을 자연의 신비라고 추켜세우는 부분도 많다. 이것은 진화론과 행동생태학이 발전하지 않은 당시의 한계상 당연한 일일 수도 있다. 참고로 파브르는 진화론을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진화론을 주창한 찰스 다윈과 친한 관계였고 학문적으로 교류를 많이 했다.

또한 곤충기에 나오는 곤충의 종류 및 그 습성은 어디까지나 19세기 말 프랑스 지역에 서식하던 곤충 중 일부에 한정되어 있다. 가령 파브르는 쇠똥구리가 똥을 공 모양으로 만들어서 굴리는 습성이나, 송장벌레가 동물의 사체를 땅 속에 파묻는 습성을 관찰, 기록했지만 다른 아종 중에는 똥을 공 모양으로 만들지 못하거나 시체를 파묻지 않는 종류도 있다. 이는 책 자체의 단점은 아니고 프랑스 외 지역에서 연구하기 힘들었던 파브르의 여건을 감안해야 한다.

곤충에 대한 이야기뿐 아니라 자신이 교사로 일할 때의 학교의 풍경이라든가 어릴때 경험한 과학실험 및 대학생에게 대수학을 과외해주는 일 등 당시의 사회상이 여러모로 적혀 있기도 하다. 10권에는 버섯을 연구한 결과를 기록했는데 독버섯도 햇빛에 말려서 삶으면 독성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실려 있다. 착한 위키러는 따라하지 말자 직접 먹어본 결과일테니 파브르가 운이 좋았을지도...... 서양의 마귀곰보버섯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한국과 일본의 복요리자격증처럼 이것도 자격증이 있어야 요리가 가능하다.

국내에는 성신여대 명예교수인 김진일 교수가 완역한 파브르 곤충기 10권 세트가 있고(국내 최초로 원판을 번역한 파브르 곤충기)[2] 일본의 '오쿠모토 다이사부로'가 편집한 8권짜리 어린이용 곤충기를 중역한 버전이 유명하다[3]. 그 외에도 곤충기의 일부 내용을 편집해 만든 어린이용 과학 서적들이 오래전부터 제작되어 왔다. 다만 아동용 파브르 곤충기는 아이들이 좀더 친숙하게 볼 수 있게, 혹은 일본판 번역이나 비전문가들이 번역한 결과로[4] 왜곡된 부분도 있다
이곳에서 프랑스어 제목인 'Souvenirs Entomologiques'로 검색하면 출판 당시의 스캔본 중 몇 권을 원어로 읽을 수 있다.

이하 각권에서 연구한 대상.

1.1 1권

1.2 2권

1.3 3권

  • 배벌
  • 꽃무지
  • 미장이벌
  • 등에
  • 뿔가위벌

1.4 4권

1.5 5권

1.6 6권

1.7 7권

1.8 8권

1.9 9권

1.10 10권

1.11 11권(미완성)

2 조복성 곤충기

한국의 파브르라 불리는 일제강점기~근대시기의 박물학자 조복성(1905~1971)이 지은 1948년에 출판한 곤충기. 2011년에 내용을 보강, 정리해 재출간되었다. 책의 앞부분에는 곤충의 종류별로 기사가 실려있으며, 파브르 곤충기와 같이 상세한 관찰기는 아니고 신문이나 잡지에 연재되는 칼럼 정도 분량의 글을 모아 놓았다.[10] 뒷부분에는 자신이 박물학(생물학) 탐사대로 발탁되어 일본의 유명한 교수들과 함께 채집여행을 다니는 과정을 상세히 적어두었다. 이 과정에서 어류 연구의 대가인 모리 다메조[11] 교수와 함께한 내용도 실려 있다.

조 선생은 해방 이후에도 곤충과 동물에 대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목록집을 서술하였으며 석주명 선생, 이승모 선생과 함께 근현대 한국의 곤충학을 주도한 학자이다.

3 한국 곤충기

고려곤충연구소 소장인 고 김정환[12]가 지은 한국 곤충 이야기. 한국에서 볼 수 있는 곤충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테마로 엮어 올컬러 사진과 함께 실었다. 내용은 충실하지만 책이 상당히 크고 아름다우며 가격 역시 비싼 편. 곤충 도감으로도 손색이 없다.
  1. 물론 행동생태학은 그 이후로도 꾸준히 발전해와 여러가지 성과를 내고 있다. 행동생태학의 연구을 촉발시킨 주인공은 꿀벌의 춤 언어를 연구한 독일의 카를 폰 프리슈 박사이다.
  2. 김진일교수는 파브르 곤충기 중역판을 보고 곤충학자가 될 결심을 했다고 한다. 유학도 일부러 파브르의 생가 근처의 대학으로 갔을 정도. 대학 다니면서 쉴 때에도 파브르의 생가를 방문하기도 했다. 이미 이때부터 중역판이 아닌 제대로 번역판을 내겠다고 결심했다고 한다. 실제 번역에 집중한 것은 정년퇴임을 한 이후부터라고...
  3. 중역의 폐해가 그대로 드러나는 부분이 꽤 있다. 타란튤라를 '다랑주라'라고 번역해둔 부분이라든가......
  4. 비전문가의 번역으로 인한 왜곡은 김진일 교수가 파브르 곤충기 출판에 대한 인터뷰에서 언급했다.
  5. 사실상 파브르가 최초로 밝혀냈다고 해도 무방하다,
  6. 다만 책 내부에서는 이것을 의사 행동이라기보다는 진짜로 기절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린다.
  7. 페로몬의 단서가 되는 실험들이 많다
  8. 새잡이거미가 아닌 늑대거미
  9. Buthus occitanus
  10. 실제로 조 선생은 신문에 아이들을 위한 곤충 기사를 내기도 했다.
  11. 한반도에 분포하는 물고기의 학명에 많이 붙어있는 명명자 'Mori'가 이 사람이다. 대표적으로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12. 2013년 4월 16일 별세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