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살

(편전에서 넘어옴)

아기의 살갗이 아니다!

2011090700604_3.jpg
조선시대에 군용으로 사용된 화살의 한 종류. 한자어로는 편전(片箭)이라 한다. 활, 덧살(통아:桶兒)과 한 세트.

1 소개

보통의 화살보다 훨씬 짧은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덧살을 덧붙여 그것을 가이드레일로 삼아 발사한다.

발사 후에는 덧살은 사수의 손에 남고 화살만 날아간다. 때문에 멀리서 봤을때 화살이 이미 발사되어 시위를 떠났는지, 아니면 아직 발사하지 않았는지 알아채기 힘들다.[1] 이러한 특수한 사격방식 때문에 사격시 극도의 주의를 요하는 화살이기도 하다. 숙련된 사람이 아닐 경우 아무데로나 화살이 날아갈 수 있다. 임란 당시 한 의병장이 쓴 <고대일록>을 보면 편전을 연습하다가 팔목이 꿰뚫리는 심각한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2] 한국에서는 고려시대 대몽항쟁 과정에서 보통 화살을 네개로 쪼개 사용한 것이 처음이라고 한다.

참고로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가 애기살을 정말 잘 쐈다고 한다. 제1차 요동정벌 당시 성 위에 농성 중이던 적군 70명을 애기살로 모두 머리를 맞혀 죽였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남아있다.[3]

2 철갑탄의 시조?

짧은 화살을 가이드레일에 놓아 발사한다는 메커니즘 자체는 쇠뇌와 유사하지만 그 교리는 다르다. 쇠뇌는 인간이 정상적으로는 활을 당겨 화살을 발사할 수 없는 강력한 위력의 활시위를 사용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고, 애기살은 보다 가벼운 화살을 이용해서 보다 더 멀리 날리기 위한 것이다.

일반 화살과 같은 같은 양의 운동 에너지를 가벼운 화살에 담아 관통력을 늘린다는 원리는 분리철갑탄과 동일하다. 애기살을 관통자, 덧살을 송탄통으로 생각하면 될 것이다.

3 특징

애기살은 3장의 화살깃 중 하나의 깃이 통아의 안쪽 벽에 눌리도록 장전한다. 통아에 넣는 화살깃이 일반 유엽전 사법과 마찬가지로 2개가 붙은 쪽인지 아니면 1개가 붙는 쪽인지는 단체마다 의견이 분분하여 아직도 통일이 되지 않았다. 또한, 화살깃에는 꿩의 깃털을 많이 쓴다고 한다. 꿩의 깃털이 탄력이 있어 통아에 눌렸던 화살깃이 날아가면서 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4 조선의 군사기밀

조선시대에는 군사기밀로 취급되었다. 왜관에 있던 일본인이 통아에 일반화살을 안에 넣고 따라하는 걸 보고 기밀관리가 해이해졌다고 우려하는 기록을 보면 알 수가 있다.군기가 빠졌다고 하는 말. 조선의 멸망과 궁도의 쇠퇴 때문에 사법이 실전되었다. 문서 기록도 거의 남아 있지 않으나 근래에 와서 궁도인들이 다시 복원하는데 성공했다. 허나 특정 단체에서만 편전습사를 하고 있는 까닭에 전 궁도인들이 애기살 쏘는 법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문헌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다른 나라에선 쓰지 않는 화살이라 적이 주워도 쓰지 못하는 것이 장점이라고 한다. 통아가 없으면 못 쏜다. 통아가 있어도 오발사고가 많이 나는 화살이라 이미 익숙한 사람이 아니라면 쏘기 힘들다.

5 관통력

보통의 화살보다 짧고 가볍고, 에너지 보존법칙 덕에 화살이 더 빠르고 멀리 날아가며, 화살 몸체의 요동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도 적다. 직진성이 더 높은 탄도 특성을 가진다. 속도가 빠르고 길이가 짧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보통 화살에 비해 날아오는 것이 잘 보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민승기씨가 2004년에 출판한 "조선의 무기와 갑옷"에서 편전이 가벼운 무게 때문에 일반 화살보다 관통력이 뒤떨어진다고 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를 믿는 편이다. 하지만 1619년 심하 전투 당시 조선군으로 참전한 이민환이 후금군에게 끌려가 포로생활을 하면서 한 경험을 기록한 "건주견문록"을 보면 후금군이 편전이 먼거리에서도 갑옷을 뚫을 수 있기에 이를 가장 두려워했다는 기록도 있다. 임란 당시 조정 관료였던 정탁은 <약포선생문집>에서 "활과 조총의 위력을 비교하면 활은 조총의 절반에 미칠 뿐이지만, 편전을 쏘면 그 위력이 조총에 비견할 만하다."라고 하여 편전이 일반 화살보다 위력이 좋다는 투로 서술하였다. 실제로 편전과 거의 유사한 무기(아랍권에서는 majra라고 부른다.)를 쓴 서남아시아권과 인도에서 받침대를 통해 쏘는 짧은 화살의 관통력을 여러 차례 칭찬하였고 이쪽의 실존 유물을 보면 일반 화살보다 몇배나 짧은 화살(편전)이 무게는 일반 화살의 4분의 3까지 이른다. 가볍다고 무조건 관통력을 낮게 볼 수는 없다는 이야기이다. 실례로 스펀지에서 애기살의 관통력을 실험한 결과, 얇은 쇠 쟁반 정도는 뚫고 그 뒤에 세워놓은 마네킹을 관통하여 박혔을 뿐 아니라, 차 유리를 뚫고 건너편 문에 박히는 결과를 보여줬다. 실험 당시 양궁(리커브 보우)보다도 빠른 탄속을 보여줬다. 같이 등장했던 일반 국궁의 경우 속도와 정확성 면에서 현대식 양궁보다 훨씬 뒤떨어지는 성능을 보여줬는데, 화살과 발사방식을 바꾼 것만으로 이 정도 속도향상이 나오는 것을 보면 옛 기록의 신빙성이 아주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글 링크

이 관통력 문제 때문에 한 밀리터리 사이트가 개판이 된 사례가 있다. 실제론 화살을 쏘는 순간엔 에너지가, 화살이 갑옷을 뚫는 순간엔 운동량(충격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화살의 무게를 줄인다고 크게 불리해지는 것은 아니다.

화살의 경우 화살의 질량을 m, 발사시 화살의 속도를 v라 하자. 활이 가진 모든 탄성에 의한 위치에너지가 화살의 운동에너지로 전환되었다고 가정할 때, 운동하는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1/2*mv^2이므로 질량이 반으로 줄어들면 속도가 약 1.4배(정확하게는 루트2)가 된다. 다만 초기 속도는 1.4배가 되었지만, 항력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공기저항이 급속도로 커지게 되어 속도는 빨리 줄어든다. 따라서 1.4배의 거리까지는 못 날아가고, 조금 더 멀리 날아간다 보면 된다. 반대로 갑옷을 부술 수 있는가를 결정 짓는 것은 충격력이므로, 표적에 박히는 순간에는 운동량이 중요해진다. 운동량은 mv이므로 질량은 0.5배, 속도는 1.4배라면 대략 일반 화살의 0.7배정도의 위력이다. 즉, 무게가 절반이 되었다고 위력도 절반이 되지는 않는다. 참고로 관통 깊이는 화살이 박혀들어가는 데 대한 저항력을 깊이로 적분하여 계산되는 에너지와 관련이 있고, 이 에너지는 화살의 운동에너지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활이라면 화살에 상관없이 관통 깊이는 동일하다.(단, 공기저항을 무시했을 때)

다만 실제 전장에서 사용할 경우, 바람에 의한 손실같은 경우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저중량 고속도 발사체의 특성상 장거리를 날아가면 발사체의 에너지 손실률도 클 수 밖에 없다.[4] majra나 솔레나리온 같이 편전과 유사한 화살들도 대개 원거리에서 적을 견제하는 것이 주요 용도로 쓰였고, 근거리에서 갑주를 관통하는 화살들은 일반 화살에 화살촉만 달리한 것들이다. 실제 원균먼거리에서는 편전, 중거리에서는 장전을 쏘아 왜군을 물리친다는 말을 한 것을 보면 잠깐 원균이잖아, 편전류의 화살이 원거리에서 적을 교란시키는 주용도에서 벗어나 갑주 관통용으로 널리 쓰인 것은 아닐 수 있다.[5][6] [7]

6 타국의 애기살

서양과 서남아시아, 인도에도 솔레나리온##,##[8],마즈라[9] 같이 가벼운 화살을 통아에 넣어서 발사하는 방식이 이미 오래 전부터 존재해 왔다. 효과도 비슷해서 먼 거리에서 빠른 화살을 날려서 적을 교란시키는 용도였다. 우리나라에서 애기살은 몽골 침입 이후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데, 저쪽은 훨씬 전인 6세기 경부터 기록이 등장한다.

참고로 조선에서는 당나라 때 중국에 존재한 통전(筒箭, 통사(筒射))가 애기살과 유사한 무기라는 관념이 조선시대에 존재하였다. 때문에 애기살과 유사한 무기가 고려 말 이전부터 동아시아 지역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7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movie_image.jpg

  • 영화 최종병기 활에서는 주인공 남이가 사용한다. 최후반부 자신을 추격하는 청의 특수부대 니루와 싸울 때도 사용하는데 그때 사용한건 가지고 있던게 아니라 자신이 대나무가 날 리 없는 만주에서 즉석제작 한거(...). 제작하는 모습을 보면 이 분이 떠오른다.툼레이더 거기다 편전은 니루가 쓰던 육량시를 꺾어서 날카롭게 하여 만든 것이다. 흠좀무.
근데 이게 아주 근거가 없는게 아닌게 애기살의 기원이 이덕무의 "청전관전서 앙엽기"에 따르면 몽골 제국고려침입 때 화살이 부족하여 적의 화살을 4등분하여 사용했던 데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편전의 길이가 초기에는 보통 살의 1/4 길이였다가 현재 전해져오는 길이인 1/2정도의 길이로 변했다.
  • 영화 신기전에서 극초반 주인공 상단에 속한 방옥(류현경)이 애기살을 쏴 수박 관통하기 경연에서 매달린 수박을 모두 관통하며 우승한다.
  • 드라마 기황후에서 기황후가 쓰는 화살이다. 관통력이 강하다고 나온다.
  • 영화 역린에서 정조가 거의 저격총 수준으로 쏜다
  • KBS 스펀지에서도 등장한 적이 있다. 그 위력이 자동차 유리까지 관통할 정도.
  • 마찬가지로 네이버 웹툰 블레이드 노트에서 김달섭이라는 인물이 주인공 유진 라이너스를 제압하기 위해 사용했다.
  1. 그래서 상대 입장에선 '얼라? 왜 쟤 아직 활 안쐈는데 내 가슴팍에 박힌 이것은 뭐지?' 라고 착각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2. 화살이 짧을수록 사고가 날 확률이 높다. 레일에서 탈선한 화살을 보지 못하고 발사해서 눈먼 화살이 되는 것. 때문에 화살의 길이가 계속 길어졌다. 초기와 후기의 편전의 길이를 비교해보면 심하게 차이가 난다. 근래에 복원한 애기살들 중에는 총의 약실과 총탄의 관계처럼 덧살과 애기살이 꼭 맞물리게 제작하여 오발 위험을 크게 줄인 물건도 있다.
  3. 다만 고려사는 조선 왕조 건국 후 전 왕조의 역사를 기록한 사서로, 왕조의 창건자인 태조를 미화하는 점이 있음을 가감하여 보아야 할 것이다.
  4. 포탄으로 바꿔서 얘기해보자면, 2차대전 독일 전함 비스마르크의 주포는 동급의 경쟁국 주포와 비교해서 경량의 포탄을 사용하였다. 이는 상당히 빠른 탄속으로 포탄을 쏠 수 있었지만, 경량탄이였기 때문에 공기저항과 바람의 흐름에 영향을 더 많이 받았기에 원거리로 멀리 갈수록 명중률과 관통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었다.
  5. 단 병인양요당시 실록기록으로 애기살이 선저를 반 이상 관통했다는 언급이 있는거 보면 관통력도 상당해 보이기는 하다. 단 어느정도 거리에서 쐈는지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불명
  6. 화살이랑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전차철갑탄 중에는 그 무게를 가볍게 하고 탄속을 높여서 관통력을 향상시킨 '고속철갑탄'이라는 부류도 존재했다. 본격적으로 관통력을 높인 날개안정분리철갑탄의 등장으로 도태되긴 했지만 보통 고폭탄보다 관통력은 월등했으므로 결국 탄의 무게만이 관통력에 영향을 준다고 보기는 어렵다.
  7. 물론 전차포의 경우처럼 비행중 공기저항에 의한 속도 손실분이 적은 중근거리 직사 화력전이라면 맞는 얘기이긴 하나, 활이라는 무기 자체는 원거리에서는 곡사무기에 가깝다는 것을 감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2차대전기 미국 해군이 괜히 초고질량 철갑탄(SHS탄)을 쓴게 아니다.
  8. 출처 : http://www.kjclub.com/kr/exchange/photo/read.php?tname=exc_board_14&uid=6413&fid=6413 ##
  9. 출처 : http://defense-and-freedom.blogspot.com/2011/04/exotic-ancient-weapons-i-majra.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