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정 몬스터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군.

1 개요

평상시에는 마함존에 세트되어 있다가 발동하는 순간, 몬스터 카드가 되어 몬스터 카드 존에 특수 소환되는 지속 함정 카드들.

몬스터이면서도 함정 카드로 취급하기 때문에 몬스터를 파괴하는 카드에도 함정을 파괴하는 카드에도 둘 다 걸리는, 어떤 의미로는 대단히 안습한 녀석들. 대신 바운스 효과에는 별 타격을 입지 않는 편이다. 상대에게 기습적으로 공격을 가하는 것도 가능.

몬스터 효과로는 취급하지 않기에 천벌은 무시하지만 스킬 드레인의 효과는 받는다. 궁정의 관례가 있으면 전투, 효과 파괴를 모조리 무효화한다. 따라서 같은 지속함정인 문전박대와의 시너지도 좋은 편. 레벨 3, 4의 튜너를 넣어 스크랩 드래곤이나 블랙 로즈 드래곤 등을 사용하는 것도 쓸만하긴 하다.

발동 후 카드가 몬스터 카드존으로 이동해도 발동 전에 세트돼있던 카드존은 함정 몬스터가 필드 위를 벗어날 때까지 사용할 수 없다. 게임에선 해당 칸이 X로 표시되어 막혀버리니, 듀얼할 때는 헷갈리지 않도록 하자.

주의해야 할 건 트랩 스턴이나 왕궁의 포고령 등. 이걸 맞는 순간 지속 함정 상태로 마/함 존에 처박히며 그 후 포고령이 사라져도 다시 몬스터로 나오지도 않아서 처치가 곤란해진다. 쓰고 남은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꼴이 되어버리는 셈. 만약을 위해 비상식량, 매직 플랜터 등의 카드를 넣자.

이러니 저러니 해도 가장 중요한 용도는 신염황제 우리아 소환용. 우리아 덱을 제대로 돌리려면 필수로 덱에 3장씩 꽉꽉 눌러담아 놔야 하는 녀석들이다.

싱크로 소환과의 병용은 그저 그랬지만, 다행히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셰이프시스터가 추가되면서 범용 레벨 6 싱크로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엑시즈 소환은 꽤 할만하다. 각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함정 몬스터 대부분의 레벨이 4다. 랭크 4의 엑시즈 몬스터가 얼마나 많은지를 생각해보면... 다만 함정 몬스터가 계속 추가 되면서 레벨들도 점점 다양해 지고 있다. 소환할 수 있는 엑시즈 랭크도 더 다양해진다는 말.

유희왕 ARC-V 4화에서는 마법 몬스터가 등장했다. 발동 후 몬스터 카드로 취급하거나, 효과가 무효화되었을 때 파괴되는 것을 보면 그야말로 함정 몬스터의 마법 카드 버전. [1] 참고로 이 마법 몬스터는 그냥 평범한 특소 카드로 발매되었다.

2 카드 일람

2.1 사령 조마

소환시 수비 표시여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전투로 파괴되면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데미지를 주는 효과 때문에 상대도 함부로 공격하기 어려울 뿐더러 자신이 공격해서 일부러 파괴된뒤 데미지를 줄수도 있다. 소울 오브 스태추나 궁정의 관례가 있어서 파괴내성이 생겨도 공격력이 높아 하급 어태커로 사용 가능. 항목 참조.

2.2 메탈 리플렉트 슬라임

여차하면 벽이 되어 줄 수도 있지만 스태추(유희왕)를 중점적으로 쓸 경우엔 같이 쓰기에 썩 좋지 않다. 그래도 수비력 하나는 무식하게 높고 레벨도 10이나 되어서 다른 덱에 쓸 수도 있다. 항목 참조.

2.3 기동요새 스트롱홀드

가제트 시리즈와 함께 쓰면 쓸 수 있는 효과가 있긴 하나, 그걸 빼면 메탈 리플렉트 슬라임의 하위호환. 가제트 시리즈와 함정 몬스터를 같이 쓰는 건 어차피 힘들지만, 한때 2000의 방어력은 4레벨 함정 몬스터중엔 가장 높아 엑시즈 소재로 가끔 사용되었다. 그 후 레벨 4에 수비력 2200, 그리고 속성/종족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는 퀀텀 캣이 등장하며 실업자 신세.

2.4 아포피스의 화신

초창기 함정 몬스터 중 하나. 메인 페이즈에만 소환 가능한 디메리트가 있다. 부가 효과도 없고 공격력도 1600으로 약간 낮아 커스 오브 스태추와 사령 조마의 하위호환으로 여겨진다. 그나마 함정 몬스터는 수가 적어서 한 두장 정도 넣는 경우도 있었지만 스왐프 미로러의 등장으로 이젠 진짜 실업자 신세.

2.5 사이버 섀도우 가드너

상대 턴에만 소환이 가능한데 상대 턴 엔드 페이즈에 도로 세트되어 버리는 1회용 방패막이 같은 존재. 신염황 우리아의 코스트로 쓸 수도 없어 보통 버려진다. 다만 고문양의 토상과는 호궁합으로, 상대 턴마다 카드를 한장씩 날려버리는 제거요원이 된다.

2.6 기계왕 - B.C.3000

공격력, 수비력은 1000이라 처참하고 공격력 증가 효과는 기계족 몬스터를 릴리스해야 하는데다가 이 카드를 발동한 턴엔 일반 소환/특수 소환이 불가능해진다. 그런고로 버려진다.

2.7 커스 오브 스태추

함정 몬스터 덱의 필카.

2.8 소울 오브 스태추

함정 몬스터 덱의 필카 2. 하지만 커스 오브 스태추와 같이 쓰기엔 시너지가 안 맞아서 보통 3장 풀로 채우진 않는다.

2.9 카피 나이트

CopyKnight-DP12-KR-C-UE.png

한글판 명칭카피 나이트
일어판 명칭コピー・ナイト
영어판 명칭Copy Knight
지속 함정
자신 필드 위에 레벨 4 이하의 전사족 몬스터가 일반 소환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발동 후, 그 일반 소환된 몬스터와 같은 레벨, 같은 이름의 몬스터 카드(전사족 / 빛 속성 / 공격력 0 / 수비력 0)이 되어, 몬스터 카드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츠쿠모 유마가 사용한 함정 몬스터. 이후 고슈와의 듀얼에서 고슈의 바운서 덱에도 들어있는 것이 확인된다. 발동 타이밍이 한정되어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속공 엑시즈 소환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아 대부분 버려진다. 다만 이름을 베낄 수 있다는 점은 도움이 되는 편인데,예를들어 BK(유희왕)에서 사용한다면 한큐에 버닝 나쿠라의 슈퍼스타를 소환할 수 있다.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빛의 충격파PHSW-JP066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팩-유마편-DP12-KR028노멀한국
PHOTON SHOCKWAVEPHSW-JP066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팩-유마편-DP12-JP028노멀한국
Photon ShockwavePHSW-EN066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Gold Series: Haunted MineGLD5-EN055노멀미국

2.10 셰이프시스터

Shapesister-JOTL-JP-R.png

한글판 명칭셰이프시스터
일어판 명칭シェイプシスター
영어판 명칭Shapesister
지속 함정
이 카드는 발동 후 몬스터 카드(악마족 / 튜너 / 땅 속성 / 레벨 2 / 공격력 0 / 수비력 0)이 되어, 몬스터 카드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셰이프시스터" 는 1턴에 1장 밖에 발동할 수 없다.

셰이프스내치의 여동생 저 잉여 카드를 녹여서 어떻게든 쓸모있게 개조한 버전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새로 추가된 함정 몬스터.

함정 몬스터 최초의 튜너(!?)로, 이 카드가 등장하면서 함정 몬스터만으로도 싱크로 소환이 가능해졌다. 긴급 동조와 함께라면 배틀 페이즈에 난데없이 함정 몇 장이 발동되더니 싱크로 몬스터가 쨘 하고 튀어나오는 진풍경을 펼칠 수도 있다. 땅 속성인지라 나츄르 팔키온의 소환에도 용이한 것도 소소한 장점.

1턴에 1장뿐이라 자력으로 랭크 2 엑시즈를 하기는 어렵지만, 레벨 2에 함정을 샐비지해 주는 암흑의 가면을 쓰거나, 아예 2축 중심인데다 몬스터로서 필드에서 벗어나면 제외되는 함정 몬스터 카드군인 버제스토마와 섞어서 써 주면 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JOTL-KR079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JUDGMENT OF THE LIGHTJOTL-JP079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Judgment of the LightJOTL-EN079울트라 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2.11 시원의 제왕

강화형 제왕을 쉽게 소환할 수 있게 해 주는 함정 몬스터. 항목 참조

2.12 섀도르츠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에 등장하는 새로운 함정 몬스터. 섀도르의 융합과 마함을 서포트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2.13 운명의 문

넥스트 챌린저스 일본 월드 프리미어로 등장하는 몬스터. 직접 공격을 막으면서 특수 소환된다.

2.14 경상의 스왐프맨

한글판 명칭경상의 스왐프맨
일어판 명칭鏡像(きょうぞう)のスワンプマン
영어판 명칭Swamp Mirrorer
지속 함정
①: 종족 / 속성을 1개씩 선언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는 발동 후 선언한 종족의 일반 몬스터(레벨 4 / 공격력 1800 / 수비력 0)이 되어, 몬스터 카드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해외 TCG 팩인 배틀 팩3에 선행 발매된 카드.

일반 몬스터로 취급하기 때문에 전선부활의 제물 등의 코스트로 쓰는 등의 활용법이 가능하지만, 필드 위에서 일반 몬스터라는 걸 살리기는 힘든 편.

이 카드의 핵심은 종족과 속성을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는 것. 당장 레벨도 4라서 엑시즈로도 사용하기 쉽고, 4축 엑시즈에는 속성과 종족 제한이 붙었지만 강력한 엑시즈가 여럿 있다. 하지만 다른 함정 몬스터와 생판 다른 종족 내지 속성을 사용한다면 이 카드나 밑의 퀀텀 캣과 같이 2장을 모아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 외에는 각종 종족 / 속성 제약이 붙은 싱크로도 가능한 것이 눈여겨볼 점.

또한 공격력 1800은 어태커로 사용하기 좋은 공격력이니 그냥 종족 속성 변경 효과를 감안하지 않더라도 괜찮은 함정 몬스터라고 볼 수 있다. 이 용도로는 위의 커스 오브 스태추가 조금 더 유용하지만.

여담이지만 이름의 Mirrorer는 사전에 없는 단어. 아마 Mirror + er로 거울과 같이 모습을 복제하는 자 라는 뜻으로 사용된 듯하며, 엑스트라 팩으로 OCG에 넘어올 때에는 거울상으로 의역되었다.

2.15 양자고양이

한글판 명칭양자고양이
일어판 명칭量子猫
영어판 명칭Quantum Cat
지속 함정
①: 종족과 속성을 1개씩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발동 후, 선언한 종족과 속성의 일반 몬스터(레벨 4 / 공 0 / 수 2200)이 되어,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수비력이 2200이라서 어태커 대신 수비벽으로 사용하게 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스왐프 미로러와 거의 똑같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사용법도 거의 똑같으므로 그쪽을 참고. 2장 모아서 탄호이저 게이트썬더엔드 드래곤을 소환해보자

위의 두 카드 모두 배틀 팩 3에서 발매되었고, 엑스트라 팩 2015를 통해 OCG 환경으로 넘어오게 된다.

모티브는 슈뢰딩거의 고양이.
상대가 함정카드 한장을 세트했을때. 그 카드는 양자고양이 일수도 양자고양이가 아닐수도 있으므로 그 카드는 양자고양이와 양자고양이가 아닌 카드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인것이다!

2.16 심연의 스턴그레이

한글판 명칭심연의 스턴그레이
일어판 명칭深淵のスタングレイ
영어판 명칭Abyss Stungray
지속 함정
①: 이 카드는 발동 후 효과 몬스터(번개족/빛/레벨 5/공1900/수0)이 되어, 몬스터 카드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②: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등장한 새로운 함정 몬스터 1호로, 함정 덱의 새로운 어태커이자 전투용 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치와 효과를 가지고 나왔다. 레벨 5이니 셰이프시스터와 함께 레벨 7 싱크로 소환을 감행하는 것도 가능.

2.17 고문양의 토상

한글판 명칭고문양의 토상
일어판 명칭苦紋様の土像
영어판 명칭Statue of Anguish Pattern
지속 함정
①: 이 카드는 발동 후 효과 몬스터(암석족/땅/레벨 7/공 0/수 2500)이 되어, 몬스터 카드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②: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 취급의 함정 카드가 존재하는 한,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이 카드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③: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이 카드가 존재하고, 자신 마법/함정 존의 카드가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함정 몬스터의 새로운 에이스
함정 몬스터 덱 필카 3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등장한 새로운 함정 몬스터 2호. 다른 함정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대상 내성을 얻으며, 마함 존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면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마함존 과식을 해결할 수 있다면 보옥수에 용병으로 집어넣어 보자.

참고로 파괴 효과는 ~경우 라서 타이밍을 놓치지 않으며, 동일 체인에서 중복 발동이 가능하다. 이 점을 이용하여 카드를 여러 장 날려먹는 짓도 가능. 만약 토상이 2장을 넘어간다면 상대 필드가 남아나질 않는다.

사이버 섀도우 가드너와도 꽤 호궁합인데, 이 카드를 소환해놓은 상태라면 매 턴 상대 메인페이즈마다 상대의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효과를 쓰지 않더라도, 셰이프시스터가 소환되어 있다면 함정만으로 레벨 9의 싱크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태까지 대원의 전례를 보아 고문양의 흙코끼리상으로 번역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지만 다행히 제대로 번역되었다.

2.18 킹 스카레트

더 다크 일루전에서 등장한 새로운 함정 몬스터. 레드 데몬즈 몬스터가 전투할 때 그 몬스터를 지키고, 레벨 1의 튜너로서 특수 소환되는 함정 몬스터.

2.19 크리스탈 아바타

한글판 명칭크리스탈 아바타
일어판 명칭クリスタル・アバター
영어판 명칭Crystal Avata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지속 함정
①: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그 몬스터의 공격력이 자신의 LP 이상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발동 후, 자신의 LP의 수치와 같은 공격력의 효과 몬스터(전사족 / 빛 / 레벨 4 / 공 ? / 수 0)가 되고, 몬스터 존에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공격 대상을 이 카드에 옮긴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②: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무비팩에서 새로 등장한 함정 몬스터. 발동 조건이 심히 힘들다. 스타더스트 리 스파크 수준. 카이바 세토가 예고편에서 크리스탈 드래곤을 쓴 것을 보아 이 카드도 쓸 듯.

유우기와 태그로 아이가미와 싸운 마지막 듀얼 때 유우기를 노린 아이가미의 직접 공격에 대응해서 이 카드로 특공을 해서 유우기를 구하고 아이가미에게 1000포인트 데미지를 주지만 이 데미지로 카이바도 소멸. 그래도 이 카드를 사용해서 4000점으로 아이가미의 라이프 포인트를 깎아놓은 덕에 왕님이 후에 수호신관 마하드로 듀얼을 한 방에 끝낼 수 있었다.

2.20 메타모르 클레이 포트리스

한글판 명칭메타모르 클레이 포트리스
일어판 명칭メタモル・クレイ・フォートレス
영어판 명칭Metamorphortress
지속 함정
①: 자신 필드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발동 후, 효과 몬스터(암석족 / 땅 / 레벨 4 / 공 1000 / 수 1000)가 되고,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대상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고 이 카드에 장착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②: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이 카드의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리고, 이 카드는 공격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수비 표시가 된다.

무비팩에서 새로 등장한 함정 몬스터. 이름은 메타모르 + 점토 + 포트리스로 예상. 즉, 형태가 변화하는 점토 성벽 정도로 보면 된다.메타모르 포트와는 이름 외에는 딱히 관계는 없을 것이다.

효과가 특이한데, 자신 필드 위 몬스터를 대상으로 해서 발동, 함정 몬스터로 특수 소환, 대상이 된 몬스터를 장착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 후, 자신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장착된 몬스터의 수치만큼 상승. 바로 장착되기 때문에 발동 전이나 발동 후나 몬스터 숫자는 변하지 않는다. 즉, 대상 몬스터를 공/수 1000 올리고,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수비 표시가 된다]라는 효과를 가진 함정 몬스터로 바꾸는 카드라고 생각해도 큰 무리는 없다.

공격 기회를 쓴 다음 또 공격을 하는데 쓰거나, 효과를 이미 쓴 몬스터, 스테이터스는 높지만 효과가 개판인 카드들에게 발동하면 좋다.

영화상에서는 무토오 유우기가 블랙 매지션을 장착해서 푸른 눈의 백룡을 폭살하지만 그 후에 카오스 맥스 드래곤에게 당해서 큰 데미지를 입는다.

2.21 디멘션 리플렉터

문서 참고.

2.22 기동요새 메탈 홀드

문서 참고.

2.23 Space Dragster

인베이전 오브 베놈의 북미판 팩인 Invasion: Vengeance에서 새로 발매된 화염속성/기계족/레벨 1의 함정 몬스터로, 튜너 몬스터로 취급되는 효과를 갖고 있다.

3 변종 함정 몬스터

이 쪽은 몬스터로 소환된 상태에서는 함정 카드로 취급하지 않는 카드들을 분류해 둔다. 다크 건틀릿을 빼고 모두 일반 몬스터 취급으로 특수 소환되며, 셰이드 브리간딘, 툼 실드, 클리포트다운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 함정 카드들은 필드에서 벗어날 경우 제외된다는 디메리트를 갖고 있다. 그래서 이런 카드들은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1 팬텀 나이츠 관련 몬스터

3.1.1 팬텀 나이츠 섀도우베일

3.1.2 팬텀 나이츠 다크 건틀릿

3.1.3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

3.1.4 팬텀 나이츠 툼 실드

3.2 구호부대

3.3 버제스토마

아예 변종 함정 몬스터들로 구성된 카드군. 항목 참조.

3.4 진원의 제왕

3.5 클리포트다운

  1. 그 이전인 ZEXAL에도 비슷한 카드는 나왔다. 4레벨 엑시즈 소재로 대체할 수 있는 신비의 모노리스가 그것. 다만 이 쪽은 그냥 엑시즈 소재로만 사용할 수 있고 취급은 마법 카드인지라 마법 몬스터와는 거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