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韓 大討伐 作戰
1 개요
짧게 말하면 조선판 마닐라 대학살. 많은 사람들이 남북이 갈라지고 나서 남한을 대토벌한걸로 아는데, 이 사건은 일본 제국의 조선인 대학살이다. 어떤 학자들은 대 토벌이라는 어감이 좋지 못하다고 생각하여 '남한대토벌'이라고 일컫는 등의 표현방식을 쓰기도 한다. 대체할 다른 말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게 안습.
일본 제국이 1909년 9월부터 같은 해 10월까지 2달에 걸쳐서 당시 대한제국 내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던 의병들을 뿌리뽑기 위해 실시한 작전. 전라남도 지역이 작전상에 있어 타겟이 되었다. 일본군 정예 2개 연대가 투입되어 진행된 이 작전은, 의병과 같은 게릴라 저항세력의 생존을 위해서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는 해당 지역민간인들의 지원을 차단하기 위한 각종 초토화 작전을 동시 수반하였고, 결국 작전이 종결될 시점에 이르면 호남 지역의 의병들은 사실상 궤멸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후로 1945년 8.15 광복때까지 국내에서의 조직적인 항일 무장 투쟁은 사실상 사라지게 되고, 주로 중국 만주 일대에서 독립군이 활동하는 것으로 그 맥을 잇게 된다.[1][2]
2 배경
1907년 정미 7조약에 의해 대한제국의 군대는 강제 해산당하고, 해산된 정규군은 남대문 전투의 패배 이후 전국 각지에서 활발히 움직임을 보이던 의병에 가담하게 된다.[3] 이 시기 일어난 의병들을 정미의병이라고 부르는데, 각종 신식무기를 손에 든 정규군[4]이 가담함에 따라 의병들의 전력은 대폭 증강된다.
심지어 1908년 초가 되면 기존까지는 각개적으로 활동하던 전국의 의병들이 13도 창의군이라는 하나의 통일된 조직을 만들어 서울 진공 작전을 펼치기까지 한다. 애초에 전력이 명백한 열세였던데다가, 총사령관 이인영이 부친상을 당하면서 전투 직전에 진영에서 이탈하는 어처구니없는 사건[5]까지 터지면서 이 작전은 허무하게 실패로 끝났지만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기에는 충분한 행동이었고 이에 일제는 대한제국을 합병하기에 앞서 내부의 후환인 의병들을 뿌리뽑아야겠다는 결심을 굳히게 된다.
3 작전 개요
- 기한: 9월 1일부터 10월 10일.[6]
- 투입 병력: 보병 2개 연대 및 관할지역의 경찰과 헌병보조원 투입. 덧붙여 다도해인 호남 지방의 지리적 요건을 고려하여 해안봉쇄[7]를 위해 수뢰정 4정도 파견.
- 작전 구역: 전라도의 내륙과 연안도서. 전라도를 삼분하여 북쪽에서 남쪽으로 3단계에 걸쳐 나누어 진격하면서 의병을 퇴로를 차단하기로 계획. 또한 전라도를 좌우로도 양분하여 서부 지구는 보병 제1연대가 맡고, 남부 지구는 제2연대가 맡기로 하였다.
3.1 왜 하필 전라도가 주요 타겟이었는가?
간단히 말하자면, 당시 가장 의병활동이 활발히 진행되었던 지역이기 때문. 1908년 전라도의 의병 교전 횟수는 전국 전체에서 25%를 차지하였고, 의병의 수도 마찬가지로 25%를 차지했다. 1909년에는 더더욱 심화되어 1909년 6월까지 전투횟수의 47.3%, 전투의병수의 50.1%가 호남에서 활동하였다.
일제의 추산에 의하면 ‘남한대토벌작전’ 직전 호남지역의 의병은 의병장 약 50명을 포함하여 약 4,000여 명에 달했다. 이처럼 호남지역에서 의병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이곳이 1894년 동학농민운동의 본거지로서 반일의식이 강했을 뿐만 아니라 1904년 러일전쟁을 전후로 하여 일본인에 의한 토지 침탈, 경제적 수탈이 극심하여 반일의식이 고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제는 호남지역의 의병을 완전히 진압하지 않고서는 의병세력을 완전히 소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이 지역에 대규모 군사작전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 남한대토벌작전 [南韓大討伐作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 진행
작전은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1단계 작전은 변산 반도 - 남원 -하동군으로 이어지는 봉쇄선을 설치하는 것이 골자였다. 제2단계에서 일본군 2개 연대는 광주, 영광 등으로 남하하면서 의병을 압박하기 시작한다.[8] 제3단계에서는 해상 루트를 이용해 섬으로 숨으려는 의병을 추적하기 위해 일본 해군에서 동원한 수뢰정 4척을 이용하는 도서 지방 초토화 작전이었다. 이때만 하더라도 40년 뒤와 달리 육군과 해군의 공조가 잘 되었군.....?
의병은 활동 지역 근처의 민간인들의 후원을 필수적으로 하는 게릴라 세력이었으므로, 호남 일대 민간인들에 대한 탄압도 이 과정에서 뒤따랐다. 의병을 후원해주는 것으로 의심되는 마을을 포위하고, 호적 또는 명부나 민적 등에 기록된 남자를 일일이 대조하면서 무언가 의심스러운 점이 나타나면 추궁하였으며, 한 번 수색한 마을을 불시에 다시 수색하면서 일본군의 단속을 피해 숨었다가 안심하고 다시 나타난 의병을 체포하는 치밀함까지 보여주었다.[9] 이러한 일제의 군사적 압박에 의병들은 전면전을 회피하고 은신처를 자주 옮기거나, 부대를 나눠 각개적으로 일본군의 봉쇄선을 뚫으려고 시도하면서 전력 보존을 위해 노력했지만 일본군이 친일 밀정들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예상 이동로에 매복까지 하면서 철저하게 때려잡는 바람에 큰 소득은 없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행정구역마저 파괴하는 병크를 저지르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전라남도 낙안군에 있던 벌교라는 마을에서 의병장 안규홍이 맨손으로 헌병을 때려죽였다는 이유로 낙안군을 폐군해 버렸다(...). 게다가 낙안 지역을 2개로 나누어 보성, 순천에 각각 편입하여 행정구역이 갈려버렸다.
5 결과
일본 측이 사망자가 136명, 부상자 277명이었던 반면, 의병측은 사망자 17,779명[10][11], 부상자 376명, 포로 2,139명이라는 어마머한 피해를 남기면서 사실상 활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뼈 아팠던 것은 심남일, 안규홍, 전해산 등 지방 사족 출신이 다수였던 주요 의병장이 체포되어 처형당했던 것. 일본 경찰의 보고에 의하면 이 기간 동안 희생된 의병장만도 103명이다.
한편 포로로 잡힌 의병들은 '폭도'로 규정당하고 일본군에 의해 해남에서 강진, 장흥, 보성, 벌교, 순천, 광양 등을 거쳐 하동까지 도로를 개설하는 강제노동을 당하기도 했다. 그래서 일제는 이 도로를 ‘폭도도로(暴徒道路)’라고 불렀다고.... 이 작전 이후 근거지를 송두리째 상실한 항일세력은 국경을 넘어 만주, 연해주 등으로 망명하여 독립군으로 그 명맥을 잇게 된다.
덧붙여 이 학살극으로 인해 호남 지역의 항일 세력이 사실상 청소되다시피 하면서, 한동안 항일 운동의 기세가 꺾이고 3.1 운동 때 호남 지역의 참가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요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남한 대토벌 작전 시기 호남 거주 민간인들에게 가했던 탄압은, 경술국치 이후로 이어지는 무단통치의 첫 시범 케이스로 여겨지기도 한다.
6 관련 문서
- ↑ 물론 의열단과 같은 단체가 있기는 했지만 교전권을 갖춘 정식 군대라고 보기에는 애로사항이 많다.
- ↑ 30년대 보천보 전투가 있기는 했지만 그것도 어디까지나 만주와 소련을 거점으로 잠깐 국내에 잠입했다가 튄 수준에 그친데다가 결정적으로 윗동네에서 김씨 일가를 우상화하는데 써먹느라 온갖 어처구니 없는 과장이 덧붙여졌기에..
- ↑ 특히 일본의 통제와 감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던 지방의 진위대에서 이런 움직임이 더욱 활발했다.
- ↑ 물론 그래봤자 일본군의 장비와 비교하면 보잘 것 없기는 했다.
- ↑ 오늘날 우리가 보기에는 어처구니없지만, 당시 유림들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것이기도 하다. 애초에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에서 '가'가 '국'보다 먼저 나오는 것을 생각해보자.
- ↑ 그러다가 작전 개시 초기 단계에서 별다른 성과없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10월 30일까지 연장되었다.
- ↑ 도서지방으로 탈출하는 의병들을 잡아내기 위해서이다.
- ↑ 서부를 맡은 제1연대는 영산강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동부를 맡은 제2연대는 섬진강에서 소백 산맥을 통과해 영산강으로 진격했다.
- ↑ 의병과 관련이 깊은 곳은 수십번까지도 수색을 했다고...
- ↑ 친 의병 성향을 보이다 피살된 민간인도 포함한 통계
- ↑ 더 끔찍한 내용은 이것도 축소됐을 확률이 매우 높다. 심할 경우 최대 5만명에 육박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