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7 총류탄발사기

1 개요

M1_Garand_rifgren-shooting_line.jpg
미국의 M1 개런드전용 총류탄 발사기. 제2차 세계대전기 미군이 사용하였으며, 6.25전쟁에서도 사용되었다.
파쇄탄, 대장갑탄, 연막탄의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2 상세

기존의 미군은 총류탄 발사로 M1(스프링필드 M1903용)과 M2(M1917 엔필드용)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걸 2차 세계대전까지 사용하기에는 주력 소총이었던 개런드와 호환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전용 총류탄 발사기로 개발된 것이 이 M7인 것이다.

제식 수류탄이었던 Mk.II[1]의 투척 거리인 32m보다 넓은 228m의 사거리를 가졌다. 최대 사거리는 380m.
소총 분대당 3개의 발사기가 배치되었다.

발사기는 튜브 모양으로 된 장치로 총구(총검 부착대)에 장착하여 M15 보조 조준기를 좌측 상단에 부착할 수 있다. 반동에 따른 사수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개머리판에 고무로 된 덮개를 끼우기도 한다. 발사할 때 M3 고압 공포탄을 사용하는데, 이 공포탄은 총에 부담을 준 탓에 사용을 위해 반자동 장전기능을 막아둘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발사기 전용 소총[2]과 일반 소총이 구별되었고, 당시 다른 총류탄 발사기들에 비해 사용되는 소총이 반자동소총에 위에서 장전하는 개런드이다 보니 공포탄 장전이 쉬운 편일 수 있다.

3 개량형

  • M7A1
  • M7A2
  • M7A3

4 기타

이후 M1 카빈용으로 등장한 M8은 M7과 구조는 거의 동일한 대신 M6 총류탄용 공포탄을 사용한다.

5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윈체스터 M70
반자동소총M1 개런드, M1 카빈, M1941 존슨
자동소총M1918A2, M2 카빈
기관단총M1928A1/M1A1 톰슨, M2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M50/55 레이징, 유나이티드 디펜스 M42
산탄총윈체스터 M1897/12, 이사카 M37, Auto-5
권총M1903(포켓 해머리스), M1911A1, M1917 리볼버, 콜트 오피셜 폴리스, 하이-스탠다드 HDM
지원화기기관총M1917/18 루이스, M1917A1, M1919A4/A6, M1941 존슨, M2 중기관총
대전차화기보이즈 대전차 소총, M1/M9 로켓발사기(바주카), M18 무반동포
화염방사기M2 화염방사기
박격포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유탄Mk.2 수류탄, M7/M8 총류탄발사기
한국전쟁기의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M1917 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M1918A2, M2 카빈
기관단총100식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M1A1 톰슨
권총94식 권총, M1911A1
지원화기기관총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대전차화기M9/M20 로켓발사기(바주카),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화염방사기M2 화염방사기
박격포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유탄Mk.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보병장비 둘러보기
WW1

연합군

동맹군
WW2
연합군
추축군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소련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중화민국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왕국
스위스 스웨덴
냉전
소련
동독
중국
유고슬라비아
한국전
한국
북한
월남전
미국
월맹
현대전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독일 핀란드 이스라엘
체코 스웨덴 이탈리아22px-Flag_of_India.svg.png 인도 폴란드
중화민국 터키 스위스 싱가포르 호주
스페인 노르웨이 태국 이집트 캐나다
브라질--- 북한
  1. 무게를 유지하기 위해 폭발 범위는 5.5m 정도였다.
  2. 전장에서 전투가 벌어지면 급한 상황이니 일반탄으로도 사용할 수는 있고, 수작업 좀 해주면 원래 반자동소총이 될 수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