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브라우닝이 개발하고 콜트사가 생산한 자동권총.
해머 유/무에 따라 콜트 M1903 포켓 해머/해머리스로 구분되는데, 이 둘은 서로간 연관성이 없다.
1 포켓 해머
1.1 상세
그립으로 작동하는 안전장치는 없다.
2 포켓 해머리스
M1908
2.1 상세
동시기에 등장한 FN M1903은 동일인물이 설계해서 그립으로 작동하는 안전장치을 비롯한 권총 디자인, 구경이나 사용탄은 다르지만 브라우닝이 개발한 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2.2 그 외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고급 장교나 항공 승무원의 호신용 권총으로 사용되거나, 첩보 및 공작요원도 애용했다.
스페인의 경우 이를 바탕으로 해서 루비 권총을 만들었다. 일본에서는 장교용 권총으로 FN M1910에 버금갈 정도로 인기가 있었으며, 이것을 데드카피한 스기우라식 자동권총(杉浦式自動拳銃)가 등장하였다. 수출 실적은 중국에서 제조한 것을 일본으로 가져오는 것 빼고는 없었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이 전사한 일본군의 권총을 전리품으로 가져가면서 시장에 돌아다니기도 한다.
3 둘러보기
중일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국민혁명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Kar98k, 모신나강,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4 엔필드 |
반자동소총 | ZH-29, 몬드라곤 M1908, SVT-40C,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스텐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PPD-40, PPSh-41C, PPS-43C, 유나이티드 디펜스 M42 | ||
권총 | 마우저 C96, 루거 P08, FN M1900, 콜트 M1903, FN M1922,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0/33 M1911A1, M1917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Vz.26/30, 마드센 M1902, DP-28, 호치키스 M1922, 라티-살로란타 M/26, FN M1930, 브렌 경기관총 |
중기관총 | PM M1910, 24식 중기관총, 30식 중기관총, MG34, M1919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PTRS-41, PTRD-41, 보이즈 대전차 소총 | ||
박격포 | 20식 82mm 박격포, 31식 60mm 박격포 | ||
냉병기 | 도검 | 대도 | |
※ 윗첨자C : 홍군이 사용 ※ 이탤릭체 : 무기대여법에 의한 지원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W1 | 연합군 | 동맹군 | ||||||||||||||||||
WW2 | 연합군 | 추축군 |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소련 | 프랑스 | 이탈리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 |||||||||||||||||
중화민국 | 폴란드 | 핀란드 | 헝가리 왕국 | |||||||||||||||||
스위스 | 스웨덴 | |||||||||||||||||||
냉전 | 소련 | 동독 | 중국 | 유고슬라비아 | ||||||||||||||||
한국전 | 한국 | 북한 | ||||||||||||||||||
월남전 | 미국 | 월맹 | ||||||||||||||||||
현대전 | 미국 | 러시아 | 영국 | 프랑스 | 한국 | |||||||||||||||
일본 | 중국 | 독일 | 핀란드 | 이스라엘 | ||||||||||||||||
체코 | 스웨덴 | 이탈리아 | 인도 | 폴란드 | ||||||||||||||||
중화민국 | 터키 | 스위스 | 싱가포르 | 호주 | ||||||||||||||||
스페인 | 노르웨이 | 태국 | 이집트 | 캐나다 | ||||||||||||||||
브라질 | - | - | - | 북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