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bulous

이 문서에는 독자연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신뢰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독자연구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사실과 상식에 기초하여 문서를 편집하여야 하며, 정당한 반론이 있을 경우 내용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출처 제시는 논리를 강화하며 내용을 풍성하게 하므로 되도록 출처를 제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에 각별히 주의하여 틀 아래의 내용을 읽어 주세요.
Nebulous
개발Simplicial Software, LLC
플랫폼 안드로이드 , iOS
출시일안드로이드 : 2015년 5월 16일
iOS : 2016년 2월 4일
장르액션
링크구글 플레이 링크
애플 앱스토어 링크
페이스북 페이지

1 개요

Agar.io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모바일 게임이다. Agar.io의 공식적인 모바일 버전이 있지만 인식률이 굉장히 낮아서 모바일판 Agar.io보다 네뷸러스가 PC의 Agar.io를 가장 잘 구현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2 특징

Agar.io와는 다르게 한 방에 들어갈 수 있는 인원이 일반 넓이 기준[1]최대 21명이고 맵도 좁아 랭킹에 가기가 매우 쉽다. 작정하고 플레이하면 1위도 될수 있다. 특히 Agar.io가 1위와 그 아래의 격차가 별로 심하지 않고 비슷했던 것과 반대로 Nebulous는 보통 2위가 1위의 크기보다 매우 작은 경우가 일반적이다. 팀플에서는 보통 유명한 클랜 몇개로 짜여저 있는 Agar.io와는 달리, 작은 네임드 클랜들이 굉장히 많다. 레벨 시스템이 있다. 구글, 페이스북 계정과 연동해 사용할수 있으며, 로그인하지 않으면 레벨 적용이 되지 않는다. 경험치는 일반적으로 점수[2]로 얻지만, 도전과제 달성, 승리 등으로도 얻을 수 있다. 싱글 플레이는 멀티용 레벨과 구분된 다른 계정이 존재한다. 예전엔 동아시아 서버가 한국서버라 불릴 정도로 한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으나[3]요즘은 중국계 유저나 일본계 유저가 가끔 보인다. 홍콩인 목격담도 있다.

3 게임

3.1 싱글플레이어

혼자서 할수 있는 모드로, 인터넷 연결이 필요 없으며, 싱글플레이어 전용 레벨과 도전과제가 존재해 멀티 계정과 분리되어있다. 앱을 제거했다 다시 설치하면 싱글 플레이어의 모든 정보가 손실되지만, 바로 복원으로 다시 되돌릴수 있다. 싱글플레이어는 봇 없이 맵에 혼자만 있는 상태로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습이나 탐구용으로도 이용된다.

3.2 멀티플레이어

다른 유저와 함께 플레이 하는 것으로 구글 계정이나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 친구와 레벨과 통계,클랜 등이 저장된다.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순간부터 게임의 데이터는 항상 저장이 되므로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기기를 변경하면 데이터가 날아간다

3.3 커뮤니티

그룹, 사용자 지정 게임, 채팅, 클랜, 클랜 전쟁, 친구, 아레나 등 나머지 게임의 기능이 들어있다. 삼각형 안에 !가 그려진 모양의 버튼은 부적절한 방으로 신고하기. 누르면 자신의 기기에서는 더 이상 보이지 않는 방이 되며 여러명의 신고가 누적되면 사라진다.

3.3.1 그룹

파일:Nebulous Group.png
그룹은 다른 유저와 함께 무작위 방에 가서 함께 시작할 수 있다. 방장이 시작을 할수 있으며, 시작 전에 채팅이 가능하다. 팀전 등 팀이 있는 게임에서는 같은 팀이 된다.

3.3.2 사용자 정의 게임

파일:Nebulous Room.png
직접 방을 선택해서 들어갈수 있으며, 멀티플레이어와는 다르게 똑같은 방을 쉽게 찾아 나갔다 들어왔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맵 크기 조정은 여기에서만 되고 멀티플레이어에서는 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일반적인 맵이 많았고 이 때문에 위에서의 장점 때문에 사용자 정의 게임을 하던 유저들은 일반적인 플레이를 하기 힘들어졌다.

3.3.3 채팅

방에 들어온 유저와 채팅을 할수 있으며, 이 곳과는 별개로 게임 내에서의 채팅, 친구와 1:1 채팅도 있다. 주로 잡담이나 클랜 모집, 구함 등의 용도로 쓰이고 있다.

또한 채팅 탭에서는 패드립, 섹드립이나 어그로, 도배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 이런 현상으로 인해 나중에 다시 나오긴 했지만 한때 업데이트에서 기존에 있던 게임 내 채팅을 제외하고 아예 채팅 기능이 사라지기도 했었다. 자세한 것은 아래 문제점에서 후술.

위 문제점으로 인해 뮤트라는 시스템이 나왔는데, 만약 유저의 말을 더이상 듣지 않고 싶으면 해당 유저 닉네임을 클릭하고 뮤트 버튼을 눌러서 음소거하면 된다. 음소거 할때는 음소거한 유저가 말할때 단지 채팅표시에 ! 표시만 날뿐이지 음소거로 인해 채팅 내용이 전달되지 않는다. 다시 해제할 수 있다.[4]

3.3.4 친구

계정 탭이나 친구 탭에서 친구추가를 할 수 있으며, 방에 있는 유저 정보를 봐서 친구추가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친구가 있는 방에 따라 들어가거나 관전할수 있으며 1:1 채팅도 가능하다. 친구가 현재 무슨 게임 모드를 플레이하고있는지 간략하게 알 수 있다. 온라인인 접속자가 우선으로 정렬된다.

3.3.5 클랜

클랜은 방울에서 이름 밑, 레벨 위에 노란색으로 자신이 속한 클랜이 표시되며, 계정 - 클랜 에서 만들거나 가입할수 있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를 입력해서 자신의 클랜으로 초대할 수도 있다(동별 이상). 계급에 따라서 클랜을 어디까지 관리할수 있는지 달라지며, 금별, 은별, 동별, 별 없음 순이다. 정렬도 그 순으로 맞춰지며, 온라인인 접속자도 계급 안에서만 최상위 정렬된다. 권한을 설정할 경우 클랜원 계급별로 클랜 전쟁을 생성할수 있는 계급이 달라지며 레벨 제한도 설정할 수 있다.

계급설명
대표파일:Nebulous gold star.png일명 금별이라고 불리며 (또는 클마) 일일메시지 지정[5]과 클랜 이름 변경, 클랜원 초대권, 권한 설정, 공동 대표 이하 멤버 퇴출권을 갖고 있다. 공동대표에게 대표 위임을 할 수 있다. 채팅 메시지 색은 노란색.
공동대표파일:Nebulous silver star.png일명 은별. (또는 부마) 일일메세지 지정, 클랜원 초대, 장로 이하 클원 퇴출권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 클랜 테러리스트[6]들이 여기서 많이 나온다. 다만 하루에 퇴출시킬수 있는 인원은 제한이 있다. 회원을 은별(공동대표)로 승급시킬 때 매우 신중하게 생각하자. 채팅 메시지 색은 주황색.
장로파일:Nebulous bronze star.png일명 동별. 클랜원 초대만 할 수 있다. 채팅 메시지 색은 하늘색.
회원일반적인 클랜원. 일명 무별. 클랜원 초대도 할 수 없고, 클랜 관리를 할 수 없다. 채팅 메시지 색은 초록색.

3.3.6 클랜 전쟁

클랜 전쟁을 생성하면 형성 상태가 되고 일정한 수의 클랜원이 참가하고 같은 조건으로 클랜 전쟁 탐색 중인 다른 클랜과 검색이 되면 매칭이 시작된다. 3:3, 5:5, 8:8 형식이 있으며 5:5, 8:8은 하는 클랜이 거의 없고 주로 두 클랜의 합의 하에 플레이된다. 현재 지원하는 모드는 개인전(시간), 생존, 깃발뺏기, 축구, 점령전[7]이 있다.

3.3.7 아레나

1:1 아레나와 여러명이 참가하는 개인전 아레나, 팀을 만들어 플레이할수 있는 팀전 아레나가 존재한다. 50 플라즈마를 지불하면 플레이 할 수 있다. 1:1,팀전 은 승리 보상으로 100 플라즈마를, 개인전은 400 플라즈마를 획득한다. 개인전 아레나를 제외한 아레나는 일반 게임과 달리 먹이를 뿌린뒤 다시 먹으면 먹기전 그 크기로 손실없이 100% 흡수된다. 매칭 시간 후 플레이 시간은 5분이 주어지며, 생존처럼 한번 죽으면 다시 살아날 수 없다. 서버에서 아레나 모드를 플레이한 사람이 100명 이상 될 경우 서버별 각각 아레나 모드 순위권 1~10위한테 시즌이 끝난 뒤 상금이 지급된다. 1위와 10위의 상금차가 10만과 1만으로 너무 크다. 보통 10위 정도 할 사람들은 애초에 1주일 플레이해서 얻은 플라즈마가 상금보다 몇배로 크다 아레나에서 일반 게임과 다른 것으로는 생존형태라 한번 죽으면 다시 플레이 할 수 없으며, 먹이손실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잘 익혀두고 아레나 전용 기술을 쓰며 플레이해야한다. 일반 게임하던때처럼 하면 질 수밖에 없다.

  • 개인
    • 1:1
      가장 일반적이고 최초로 나온 아레나, 대부분의 랭커들의 승률이 80%가 넘어가는 정말로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의 격차가 큰 모드다. 이기면 50+, 지면 -50 플라즈마기 때문에 사실상 승률이 1:1 이상 안나온다면 해도 이득이 되지 않는다.
    • 개인전
      동아시아 서버 및 기타 접률 낮은 서버 한정으로 거의 할수 없는 아레나 모드, 수요가 진짜로 없으며 한번 매칭하는데에 인원이 꽤 필요하고 잘하지 못한다면 이겨서 400플라즈마 획득할 때까지 50플라즈마를 계속 소비해야되고, 팀플도 많으며 다른 아레나와는 다르게 먹이 손실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기를 꺼려한다. 보통 매칭이 되는 경우는 하고 싶은 사람들끼리 짜서 한 경우.
  • 팀전
    팀을 만들 수 있다. 팀 하나 생성할 때 가격300플라즈마가 소비되며 팀은 최대 100개를 보유할 수 있다. 원하는 사람을 팀으로 초대해 팀원들이 모두 다 형성을 하면 검색이 된다. 피크 시간대에는 대부분 1분 내에 매칭이 잡힌다. 진짜로 팀플을 잘하는 고수끼리 아레나 팀전을 하는것을 보면 명경기가 따로 없다. 게임 방식이 생존이기에 한명이 죽으면 즉시 열세가 되고 승패 윤곽이 드러난다. 물론 2:1이라도 역전하는 굇수도 존재한다...
    • 2:2
      대부분이 2:2 팀전을 한다.
    • 3:3
      개인전 아레나보다는 수요가 있지만 현저히 적은 편이다

4 규칙

Agar.io와 전반적인 규칙은 비슷하다.

  • 흡수 : 자신의 방울의 점수가 상대방보다 110% 이상으로 크면 흡수할 수 있고, 그 반대면 흡수된다.[8]
  • 공평성 : 방울 점수가 1000이 넘어가면 조금씩 점수가 낮아진다. 1000점이 되면 줄어들지 않는다. 점수가 많을수록 줄어드는 속도가 빨라진다. [9]
  • 블랙홀 : 자신의 방울이 245점 이상일 때 여기에 충돌하면 블랙홀이 사라지며 분할된다. 방출로 밀어낼 수도 있다. 또한 블랙홀 안에 방울이 들어가면 몸집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Agar.io의 바이러스(흔히 말하는 지뢰)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저쪽 게임의 일반 모드에서는 방출해서 제자리에서 쏘아 분열시킨다는 방식과 이쪽 게임에서는 방출하여 밀어낸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Agar.io의 Experimental 모드에서는 바이러스를 방출로 밀어내는, 네뷸러스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된다. 이것을 사용해 '저격' 이라는 기술을 쓰기도 한다. 가끔 플레이어 바로 앞에 생겨서 빅엿을 선사한다. [10]
  • 파란 블랙홀 : 보통 화이트홀이라고 불린다. 게임 모드당 정해진 개수만큼 존재. 자신의 방울이 245점 미만일 때 이것을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 시 80~90 사이, 이전 버전의 경우 75점의 점수를 얻는다. 245점 이상에서 충돌하면 블랙홀처럼 방울이 분열된다. 물론 방울의 크기가 245 미만이 되도록 분열을 하면 먹을 수 있다. 블랙홀처럼 이것도 방출로 밀어낼 수 있다. 개당 경험치는 75xp.
  • 도트 : 맵 전체에 널려있는 작은 형형색색의 점들. 이것을 먹으면 하나당 점수 1점이 올라간다. 개당 경험치는 5xp.
  • 이동 : 조작 설정에 따라서 방법이 달라지나 기본 설정은 아래쪽 두 버튼 오른쪽에 조작키가 있다.
  • 분열 : 아래쪽 두 버튼 중 왼쪽 버튼이다. 버튼을 누르면 분열되고 시간이 지나면[11] 합쳐진다. Agar.io와 다르게 분열된 뒤에 큰쪽이 조작권을 가져서, 큰쪽에서만 방출이 된다. 분열은 최대 8개까지 가능하다.[12] 작을 때 분열하면 Agar.io보다 재결합 시간이 상당히 빠르다. [13] 울트라 개인전에서는 분열을 해도 바로 합쳐진다.
  • 방출 : 아래쪽 두 버튼 중 오른쪽 버튼이다. 버튼을 누르면 바라보는 방향으로 흔히 먹이라고 부르는 분비물이 방출되며 조종은 불가능하다. 분열된 경우에는 가장 큰 방울에서만 방출할 수 있으며, 방출된 방울의 크기는 그것을 방출한 방울의 크기에 비례한다. 이걸 이용해 상대에게 블랙홀을 밀어 상대를 터뜨릴수도 있다! 이것을 유저들 용어로 저격이라고 한다.인용 오류: <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말고는 거의 무조건 맞는다 보면 된다 참고로 아레나 랭킹 상위 1%들의 저격을 보면 거의 오토마우스급이다!(심지어 8손(컨트롤러같은것을 이용한다고 함)을 이용하는 인간도 있다.)</ref>명심해야 할 점은, 방출하면 나오는 덩어리가 자신 몸에서 줄어든 점수의 50%만 유지[14]한다. 다시 말하면 자신이 방출로 내보낸 점수보다 방출된 덩어리의 점수가 더 작다. 따라서 함부로 방출하고 다시 먹고 하다간 점수가 점점 줄어든다. 먹으려는 파란 블랙홀보다 자신 방울이 크면 이 손실을 이용해 분열 없이 파란 블랙홀을 흡수 가능하다. 흡수 경험치는 없다.[15]
  • 게임 종료 : 플레이하다가 모종의 이유로 게임에서 나가면 그 크기가 그대로 남고 도트처럼 되어 색이 회색이 된다. 대부분의 유저들은 편의상 이를 흔히 "비석"이라 부른다. 또한 크기에 상관없이 방울의 가운데에 근접하면 그냥 먹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가끔 1등이 나가서 도트화되면 먼저 먹으려고 여러명이 분할하면서 달려드는 것을 볼 수 있다. 회색 도트 중앙까지 블랙홀을 밀어넣어두면 시야에서 못보는 다른 사람이 먹고 터진다.
  • 보라색 텔레포트홀 : 메이헴 모드 전용 포탈. 닿을 시 맵에 있는 다른 하나의 포털로 텔레포트된다. 그러다 바로 옆에 1등이... 다른 포털처럼 점수가 245이상이 되면 터져버린다. 다른 포탈과 같이 경험치는 75xp이며, 분열한 상태로 들어가도 합쳐져서 나온다. 맵 당 최대 개수는 2개.

5 게임 모드

게임마다 맵에 존재하는 파란 블랙홀의 개수가 다르다. 시간 제한이 있는 모드에서 승리할때에 큰 경험치를 받는다.

  • 개인전 : 이라 쓰고 팀전이라고 읽는다 Agar.io와 전반적인 규칙은 같다. 흡수하고 피하고 다니면 된다.
  • 클래식 개인전 : 닉네임/스킨/채팅이 사용 불가이며 솔플 유저들을 위해 만들어진 모드... 라고는 하지만 초반에는 닉네임도 보이고 나중에 스킨과 닉을 가린 이후에도 먹이색은 달라서 구분할 점이 있는 등 문제가 많은 모드였다. 심지어 누구인지도 모르는데 이런 모드에서도 팀플 할 유저들은 한다, 대부분 장난이긴 하지만. 현재는 하는 사람이 극히 드물다.
  • 개인전 (시간) : 5분의 시간이 주어지며 전적인 규칙은 개인전과 같다. 5분이 지나면 점수가 가장 높은 사람이 승리하게 된다. 다음 라운드가 시작되면 모든 사람의 점수가 초기화된다. 재생 1분마다 1000경험치를 얻는다. 최대 20000경험치. 일일 퀘스트와 기본 승리경험치가 상당히 좋은 편이기 때문에 주로 렙작용으로 팀플하는 사람이 많다. 또한 메이헴 유무에따라 플레이어 양상이 갈리는 모드인데, 메이헴 없는 방에 주로 고렙 팀플고수들이 많다. 주로 예전에 시작한 유저들이라 메이헴에 익숙하지 않고 메이헴 자체가 운적인 요소가 꽤 있어 불안정하기 때문인것 같다.
  • 팀전 : 말만 팀전이지 같은팀이라고 도와주고 그런 거 없다. 항암제를 준비하라.팀이 있으며, 같은 팀끼리는 흡수할수 없고 점수는 팀에 소속된 유저들의 점수를 합산한 팀점수로 나온다.
  • 팀전 (시간) : 규칙은 일반 팀전과 동일. 형식은 개인전(시간)과 비슷하다. 재생 1분마다 1000 경험치를 얻는다.
  • 울트라 개인전 막장 모드 10월 26일 업데이트로부터 새로 추가되었다. 다른 개인전과는 다르게 분열을 하면 1~2초 안에 다시 합쳐진다. 화이트홀이 메이헴보다 많이 나와서 초반 진행이 수월해지며 블랙홀이 사라진다. 덕분에 빨리 커질수 있지만[16] 큰 유저들이 작은 유저들을 의외로 많이 먹는다. 개인전 메이헴보다 1등이 5000이 넘을 정도로 막장이다. 분열로 빨리 움직일 수도 있지만 잡아먹으려는 유저도 빨리 움직인다. 노답
  • 깃발뺏기 : 빨강, 초록, 파랑, 노랑 팀이 있다. 팀별로 작은 깃발[17]을 각각 하나씩 자신의 팀의 진영[18]에 가지고 있다. 깃발은 방울이 깃발보다 크기가 커야[19] 가져갈 수 있다. 상대팀 진영에 가서 깃발을 먹어 자신의 팀의 진영으로 가지고 오면 팀 점수 1점이 올라간다. 단 자신 팀의 진영에 깃발이 뺏기지 않고 그 자리에 있어야 점수를 얻을 수 있다. 깃발을 가지고 있으면 가지고 있는 방울의 속도가 느려지며, 깃발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방출하면 깃발이 방출된다. 팀 점수가 3점이 되면 승리하며 다음 라운드가 시작된다. 파란 블랙홀은 2개 존재한다. (승리한 팀은 팀 전원이 10000경험치를 얻는다.)
  • 생존 : 개인 시간전과는 시간이 6분[20]이라는 점 빼고 거의 같으나, 시작한지 1분이 지난 이후에 먹히면 다음 라운드까지 기다려야 한다.[21] 때문에 다른 게임보다 좀 더 신중히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 파란 블랙홀이 상당히 많으므로 초반에 이를 얼마나 많이 먹느냐에 따라 초반 순위가 결정된다. 게임 진행이 빠르다.
  • 축구 : 공을 옮겨 상대방의 골대에 던지면 점수를 얻는다. 빨강, 초록 팀이 있으며, 왼쪽은 빨강 팀의 골대, 오른쪽은 초록 팀의 골대이다. 이것만큼 밸런스가 붕괴된 모드가 없다. 왜냐하면 두 팀 간의 점수차가 매우 클 경우, 큰 팀만 골을 넣게 되고 작은 팀이 득점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 공은 무작위 위치에 생긴다.[22]이것도 이젠 옛말이 됐다. 커졌다 하더라도 5분후면 리셋되는 축구와 달리, 개인전은 계속 이어지기 때문에 한팀이 장악해버리면 그팀에 들어가지 않는 이상 개인으로는 이기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고속이동(후술)이라는 전술까지 나오면서 팀이 아닌 1, 2등만 연합해도 버틸 수가 없다.
  • 점령전 : 곳곳에 원 모양의 영역이 생기며 안에 들어가있는 경우 게이지가 차 점수가 오른다. 다른 팀이 한명이라도 안에 있는 경우 게이지는 오르지 않으며 영역이 클 수록 많은 점수를 준다. 100점을 달성하면 승리 근데 이건 102점이상으로이길시 ○○팀승리라 안나온다

5.1 메이헴

위의 모든 모드에 체크박스로 유무를 설정할수 있다. 일명 네뷸러스 템전. 참고로 메이헴의 사전적 의미는 "대혼란, 아수라장"이다. 먹이와 공격을 반사하고 이동을 막는 초록색 반사벽은 개뿔 그냥 장식 or 길막벽[23][24]이 있고, 보라색 텔레포트 블랙홀(이하 텔포홀)이 있는데, 텔포홀은 흡수하면 다른 텔포홀이 있는 곳으로 이동할수 있다. 그리고 분열상태일때, 크기가 245이하인 방울이 텔포홀에 접촉하면 텔레포트되면서 재결합된다. 맵에 아이템이 돌아다니며, 먹이버튼으로 쏘거나 활성화할 수 있다. 아이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전기 : 노란색 번개, 맞은 상대 3초간 자력 이동 불가 및 분열 불가.[25][26]
  • 독 포션 : 초록색 약병, 맞은 방울이 아이템을 가지고 있을시 떨어뜨리게 하며 먹이를 강제 분사.
  • 얼음 : 하늘색 얼음, 맞은 방울 이동 불가, 냉동 상태 풀린 뒤 방울색이 파랗게 변하면서 3초(3000이상일시 2.5초) 속도 저하, 얼음 냉동 상태의 방울을 흡수할시 흡수하려 한 방울이 터짐[27][28]
  • 폭탄 : 검정색 폭탄, 맞은 방울은 6초(3000 이상일 시 7.66초) 후 터짐.
  • 스피드 부스터 : 노란색 날개달린 공, 3초동안 스피드 가속, 시전후 분열시 분열된 방울들에도 적용됨
  • 반사 방어막 : 붉은색 방패, 4초동안 아이템 피격 반사[29] 및 방울이 시전자를 흡수하지 못함. 만약 흡수하려고 할 시에는 오히려 흡수하려고 한 사람이 밀린다.
  • 재결합 가속장치 : 보라색 + 모양 크로스 헤어(화살표가 중심을 향해 있다.)[30], 사용시 재결합 대기시간 0초로 고정, 지속시간은 1초.[31]

이로써 지금까지 7개의 아이템이 추가되었다. 팁을 주자면 위 아이템 효과가 적용된 방울을 흡수 시 흡수한 방울에게 효과가 적용된다. 상술했듯이 거리를 잘 잡고 분열함과 동시에 내 방울에 얼음을 쏘아서 상대를 터트릴 수가 있다.

5.2 맵 크기

  • 매우 작은: 말 그대로 굉장히 작다. 2~10000점만 돼도 맵 끝에서 반대쪽 끝이 다 보이는 정도. 6명까지 수용 가능. 한때 렙작하기 딱 좋은 방이였으나 업데이트로 인해 방울들을 흡수 시 얻는 경험치가 대폭 줄어들었고, 해당 맵의 도트 밀도가 크게 줄어버렸다.
  • 작은: 14명까지 수용가능하고 너무 작아 30000점 이상이 거의 불가능한 매우 작은과 달리 장점이 있어 가끔씩 쓰인다.
  • 일반 : 원래 크기가 이 크기이다. 21명까지 수용가능.
  •  : 일반보다 아주 크다. 27명까지 수용가능.

5.3 일일 퀘스트

파일:네뷸러스 일퀘.png
달성하면 경험치를 준다. 경험치 양은 퀘스트에 따라서 다르지만 다르지만 3만에서 최대 12만 정도 주므로 해보는 것도 괜찮다. 일퀘를 끝냈어도 250 플라즈마로 하루 최대 3번일삼 퀘스트 다시 할 수 있다. 또한 50 플라즈마으로 일일 퀘스트 조건을 바꿀수 있다. 과거에는 주는 경험치 양도 더 많았고 경험치 부스터 효과도 적용됐으나 현재는(...) 경험치 부스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것 때문에 몇백 레벨도 흔해졌다. 일퀘 생성 전에 100렙 이상 플레이어들 지못미

일일 퀘스트 내용조건경험치
축구게임을 승리축구게임 승리30000
다음을 수집하기: 125 개의 점들죽지않고 도트 125개 모으면 달성45000
다음을 흡수하기: 20개의 플레이어 방울20개의 플레이어 먹기45000
팀전 (시간) 게임을 승리팀전(시간) 승리50000
점수 15000 점을 팀전에서 달성자신이 속한 팀의 점수가 15000 점 이상50000
점령전 게임을 승리점령전 승리50000
깃발뺏기 게임 승리깃발뺏기승리60000
점수 7500점을 개인전에서 달성개인전에서 점수 7500달성70000
점수 5000 클래식 개인전 게임에서클래식 개인전 게임에서 점수 5000달성70000
개인전(시간) 게임 승리게인전 (시간)승리90000
생존 게임을 승리혼자남거나 시간다되고 1등하면 승리120000

6 도전과제

파일:Nebulous achieve reward.png
Nebulous에는 아가리오와 다른 특징적인 시스템으로 도전과제가 있다. 도전과제는 현재 수집욕을 자극하는 용도와 달성시 경험치나 스킨을 주는 정도다. 도전과제 달성 현황 화면에서 글로벌 달성률이 표시된다.

도전과제 이름/설명경험치[32]
도트를 야금야금
도트 50 개 먹기
25
도트를 아삭아삭
도트 300 개 먹기
150
도트를 먹는 자
도트 1,000 개 먹기
500
도트를 벌컥벌컥
도트 5,000 개 먹기
2,500
도트 탐식가
도트 10,000 개 먹기
5,000
도트 대식가
도트 50.000 개 먹기
25,000
도트 걸귀
도트 100,000 개 먹기
50,000
도트 소믈리에
도트 1,000,000 개 먹기
100,000
쿼드라 꿀꺽
4 개의 방울 빨리[33] 흡수
1,000
멀티플 꿀꺽
8 개의 방울 빨리 흡수
2,000
메가 꿀꺽
16 개의 방울 빨리 흡수
4,000
울트라 꿀꺽
24개의 방울 빨리 흡수
8,000
몬스터 꿀꺽
32 개의 방울 빨리 흡수
12,000
최고의 꿀꺽
40개의 방울 빨리 흡수
16,000
방울 살인마
다시 시작하지 않고 플레이어 8 명 흡수
500
방울 학대자
다시 시작하지 않고 플레이어 16 명 흡수
1000
방울 대학살
다시 시작하지 않고 플레이어 32 명 흡수
2,000
방울 대소동
다시 시작하지 않고 플레이어 48 명 흡수
3,000
방울 종말
다시 시작하지 않고 플레이어 80 명 흡수
5,000
방울겟돈
다시 시작하지 않고 플레이어 160명 흡수
10,000
방울 대재앙
다시 시작하지 않고 플레이어 240 명 흡수
20,000
네뷸러스 경험자
스코어 1,000 점 달성
2,000
네뷸러스 전문가
스코어 5,000 점 달성
10,000
네뷸러스 마스터
스코어 10,000 점 달성
20,000
네뷸러스 그랜드 마스터
스코어 15,000 점 달성
30,000
불가능
스코어 20,000 점 달성
40,000
완벽
손실 없이 10,000 점 달성
30,000
혼자 스스로
분할 또는 분사하지 않고 5,000 점 달성
20,000
신속한 회피
블랙홀과 충돌없이 5 분 플레이
5,000
독립적
손실 없이 5 분 플레이
5,000
생존주의자
다시 시작하지 않고 20 분 플레이
25,000
파란것은 영양가가 높은 귀중한 블랙홀이죠
시작 30초 이내에 파란 블랙홀 5 개 흡수
5,000
빠른 상승
시작 1분 이내에 5,000 점 달성
15,000
복수
다시 시작하기 전에 당신에게 마지막으로 당신을 블랙홀에 넣은 유저에게 블랙홀 밀치기
3,500
개 박살!
다시 시작하지 않고 개 스킨 유저 5명 흡수하기
1,000
총 점령
종류에 상관없이 500번 승리
100,000
마법에 굶주린 자
다시 시작하지 않고 20 개의 마법 발사
5,000
마법 성애자
마법 9,001번 발사
9,000
동에번쩍 서에번쩍
텔레포트 100번하기
10,000
혼자서 버텨라!
개인전 (시간) 에서 2,500 점 이상으로 승리하기
25,000
협동해서 버텨라!
팀전 (시간) 에서 7,500 점 이상으로 승리하기
25,000
깃발뺏기 정복자
깃발뺏기 게임에서 3 점 이상으로 승리하기
25,000
깃발뺏기 해트트릭
한 번의 깃발뺏기 게임에서 3 점 획득
25,000
점령전 정복자
점령전에서 50 점 획득
25,000
점령전 해트트릭
한 번의 점령전에서 33 점 획득
25,000
생존게임 정복자
생존 게임에서 2,500 점 이상으로 승리하기
25,000
난 살아남을 것이다!
생존했지만 생존게임에서 패배하기
25,000
축구 정복자
축구 경기에서 8 점 이상으로 승리
25,000
축구 해트트릭
한 번의 축구 게임에서 3 점 획득
25,000
호박 수집가
호박 1,000 개 수집하기
50,000
단풍잎 수집가
단풍잎 1,000 개 수집하기
10,000
단풍잎 축적가
단풍잎 5,000 개 수집하기
50,000
선물 수집가
선물 1,000 개 수집하기
10,000
선물 축적가
선물 5,000 개 수집하기
50,000
선물 탐색가
선물 10,000 개 수집하기
100,000
플라즈마 수집가
플라즈마 1,000 개 수집하기
10,000
플라즈마 축적가
플라즈마 10,000 개 수집하기
50,000
플라즈마 탐색가
플라즈마 100,000 개 수집하기
1,000,000
눈송이 수집가
눈송이 1,000 개 수집하기
10,000
눈송이 축적가
눈송이 5,000 개 수집하기
50,000
눈송이 탐색가
눈송이 10,000 개 수집하기
100,000
구슬 수집가
구슬 1,000 개 수집하기
10,000
구슬 축적가
구슬 5,000 개 수집하기
50,000
구슬 탐색가
구슬 10,000 개 수집하기
100,000
계란 수집가
계란 1,000 개 수집하기
10,000
계란 축적가
계란 5,000 개 수집하기
50,000
계란 탐색가
계란 10,000 개 수집하기
100,000
빗방울 수집가
빗방울 1,000 개 수집하기
10,000
빗방울 축적가
빗방울 5,000 개 수집하기
50,000
빗방울 탐색가
빗방울 10,000 개 수집하기
100,000
성운 수집가
성운 1,000 개 수집하기
10,000
성운 축적가
성운 5,000 개 수집하기
50,000
성운 탐색가
성운 10,000 개 수집하기
100,000
태양 수집가
태양 1,000 개 수집하기
10,000
태양 축적가
태양 5,000 개 수집하기
50,000
태양 탐색가
태양 10,000 개 수집하기
100,000
클랜 워리어
클랜 전쟁 승리하기
3,000
클랜 사령관
클랜 전쟁 10 회 승리
10,000
클랜 장군
클랜 전쟁 100 회 승리
100,000
참가자 (1:1)
아레나 1 회 승리
100
투쟁가 (1:1)
아레나 10 회 승리
1,000
챌린저 (1:1)
아레나 100 회 승리
10,000
검투사 (1:1)
아레나 1000 회 승리
100,000
전설 아닌 레전드 (1:1)
아레나 10000 회승리
1,000,000

7 기타

7.1 포지션

개인전에서의 팀플레이 기준으로 작성하되, 일부 이름은 Agar.io에서 따왔습니다.

  • 탱커 : 팀의 우두머리. 서포터등과 함께 다니며 애들을 먹으며 크는 역할이다. 여기서 핵심은 되도록 분할을 하고 다니는 것을 자제하는 것이다. 분할되어 있을 경우 싸우고 있는 팀의 탱커에게 먹힐 위험이 매우 크기 때문에 분할을 함부로 하는것은 되도록 하면 안되는 사항이다. 만일 분할을 해서 먹어야할 정도의 플레이어가 있다면 옆에 서포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분할을 하는것이 좋다. 그후엔 서포터에게 8분할로 몰아준뒤 다시 받아내 원상태로 복귀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또한 누군가가 저격을 시도한다고 하면 막으려고 하되 저격수가 너무 잘한다면 그냥 터지고 옆의 서포터에게 꼬리처리를 부탁하는것이 좋다. 사실상 많은 기술이 나온 현재로써는 서포터와 탱커는 서로의 역할이 언제든지 변할 수 있다.

(권장 점수:팀 전체에서 1위)

  • 메인 서포터 : 탱커를 도와주는 역할. 사실상 팀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사실 이 포지션은 아래 포지션을 한번에 해내야되는일도 있다. 한마디로 메인 서포터 둘에 탱커 한 사람만 있어도 팀은 충분하다는 것이다. 탱커가 터지거나 분할을 했을때 꼬리를 먹은후 다시 돌려주거나 탱커에게로 오는 저격을 막거나 탱커가 위험하거나 부재시 언제든지 탱커가 되는 등 다재다능함을 요구하는 포지션이다. 사실상 가장 어려운 포지션.

(권장 점수:탱커의 3분의 1)

  • 서브 서포터 : 보조적인 일들을 맏는 포지션. 사실상 서포터가 실력만 된다면 필요 없는 포지션이지만 메인 서포터의 모자란 점을 채우기 위해 있는 포지션이다. 탱커가 적을 먹으려 하는데 크기가 부족하거나 분할을 써서 먹기엔 적이 너무 큰 경우 적 탱커에게 블랙홀을 선사해주는 역할을 하거나 적 저격수의 저격을 메인 서폿대신 막아주거나 메인 서폿의 부재시 메인 서포터의 역할을 막는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사실 이 포지션이 먹이창고의 역할까지 해내는 경우도 많다.

(권장점수:300~800점.메인 서포터의 크기에 따라 조금 작아지거나 커질수도 있다.)

  • 먹이창고 : 먹이를 운반해주는 포지션. 주로 점수가 중요한 클랜전-개인전(시간)에서 자주 운용된다. 245점 미만의 세포는 화이트홀을 먹어 75점을 키울수있는걸 이용하여 파란 블랙홀로 성장하는 포지션이다. 그럴려면 세포가 작고 빨라야 되기에 8분할을 하고 다니는게 좋으며 8분할을 하고 다니면 죽을 위험도 크기에 왠만큼 커지면 바로 탱커나 서폿에게 모두 전달해주는게 좋다.탱커 아니면 귀찮은 짓 하지말고 그냥 분할해서 먹어라.

(권장 점수:80(8분열 최소치)~1600(8분열 최대치) )

  • 트롤러 : 고의로 같은 팀원을 위험에 빠뜨리거나, 상대 팀원에게 흡수당하게 하는 행위를 자주 하는 사람.

권장 행동: 조용히 나가기 누르기

※포지션은 절대 규칙 등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다. 따라서 지켜야 할 의무는 없고, 반대로 전략의 전환과 업데이트에 따라 창의적인 포지션이 새로이 나올 수도 있으므로, 새롭게 운용하는 포지션은 언제든지 추가 바란다.

7.2 용어

  • 저격: 먹이를 방출하여 블랙홀을 상대에게 밀어내어 터트리는 것.
  • 클구: 클랜 구함.
  • 클모: 클랜원 모집. 자신이 클랜을 만들었을때 사람들 모집할때 쓴다.
  • : 채팅.
  • :테스트. 클랜에 들어올 사람을 1대1 아레나로 실력이 얼마나 되는 지 보는 것.
  • 물량: 몰려다녀야 잘하는 사람들.
  • 몰방: 아주기 . 비슷한 용어로 몰주가 있다.
  • 고속: 팀 플레이 하는 2인 이상의 유저가 서로 번갈아 분열을 하여 상대의 분열된 방울을 먹으면서 이동하는것. 이 전법을 1, 2위가 사용할 경우 실수하지 않는 이상 개인 유저는 이기기 어렵다.
  • 비공방: 비공개방
  • 공텟클: 공개텟생클. 비공클이 아닌 공개클로 위에서 말했듯이 텟(테스트)를 해서 실력을 보고 가입하는 클랜.
  • 물렙: 레벨만 높고 실력이 안좋은 사람
  • : 몰방에서 몰주 받는사람.

추가바람

7.3

거의 모든 게임이 그렇듯, 네뷸러스에도 이라는 컴퓨터 플레이어가 있다. 이들은 싱글플레이에서 만날수 있다.[34] 현재까지 공개된 봇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 Vector(벡터)
  • Matrix(매트릭스)
  • Cathode[35]
  • Silicon(실리콘)
  • Divisor(디비서)
  • Tensor(텐서)
  • Enigma(에니그마)
  • Function
  • Xan
  • Nebula(네뷸러)[36]
  • Andromeda(안드로메다)
  • Aquarius[37](아쿠아리우스)
  • Ara
  • Zeta(제타)
  • Tau(타우)
  • Cephus
  • Canis[38]
  • Corona(코로나)
  • Gamma(감마)
  • Crater(크레이터)
  • Milky Way(밀키웨이)
  • Pulsar
  • Quesar(퀘이사)
  • Bot(...)
  • Bot 1(...) 소재가 고갈됬나보다
  • Bot 2[39]
  • Bot 3
  • Bot 4
  • Bot 5
  • Bot 6
  • Bot 7
  • Bot 8
  • Bot 9
  • Bot 10대다나다 여기까지오다니
  • Bot 11
  • Bot 12
  • Bot 13
  • Bot 14
  • Bot 15
  • Bot 16
  • Bot 17
  • Bot 18
  • Bot 19
  • Bot 20
  • Bot 21
  • Bot 22
  • Bot 23
  • Bot 24(...) 고만해! 미친놈들아!!!
  • Bot 25
  • Bot 26
  • Bot 27
  • Bot 28
  • Bot 29
  • Bot 30
  • Bot 31
  • Bot 32
  • Bot 33
  • Bot 34
  • Bot 35
  • Bot 36
  • Bot 37
  • Bot 38
  • Bot 39
  • Bot 40
  • Bot 41
  • Bot 42
  • Bot 43
  • Bot 44
  • Bot 45
  • Bot 46
  • Bot 47
  • Bot 48
  • Bot 49
  • Bot 50
  • Bot 51(오버러스에선 여기까지.....)서버 터지겠네

7.3.1 봇의 난이도에 따른 특징

난이도에 따른 봇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40]

공통 (이하 봇="자신")

  • 봇들은 일반적으로 인식범위 내에 있는 것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흡수를 할려 하는데, 우선순위는 "자신"(목숨 유지)[41] > "자신"보다 작은 플레이어 방울 > "자신"보다 작은 다른 봇방울 > 화이트홀 > 많은 도트[42] > 적은 도트[43] 순으로 추정된다.[44]
  • 크기가 245이상일때 블랙홀, 화이트홀, 텔포홀[45]이 "자신"에게 부딪힐 정도로 가까이 있으면 먹이 분사로 그것들을 치우려고 한다.
  • 인식범위내에서 "자신"과 비슷한 크기의 방울(후술할 "큰 방울"보다는 작고 "작은 방울"보다는 큰 방울)이 있을 경우, 그냥 평소 먹이를 먹을때처럼 돌아다닌다
  • 인식범위 내에서 "자신"보다 110%이상 큰 방울이 자신을 쫒아오면 도망간다 (이하 "큰 방울"=자신보다 110%이상 큰 방울)
  • "자신"이 인식범위내에 있는 어떤 방울보다 110%이상 크면 그 방울을 먹으려고 쫒아간다(이하 "작은 방울"=자신이 해당 방울보다 110%이상 큰 방울)
  • 분열한 방울에 대해서는 그 방울중, 인식범위내에 하나라도 "자신"과 비슷한 크기의 방울이 있으면 그냥 돌아다니고, "큰 방울"이 있으면 도망가며, 분열한 방울 모두 "작은 방울"일 경우 먹으려고 한다
  • "자신"이 분열한 상태일때도 "자신"의 작은 쪼가리들이 있는 쪽에서 인식범위 내에 "작은 방울"이 있으면 먹으려 하는데, 이때문에 역으로 먹히는 경우도 있다
  • 메이헴모드에서 아이템을 소지하고 있을때 어떤 방울이 자신의 인식범위 내에 있으면 아이템을 사용한다.[46]
  • "자신"이 있는 방에 사람이 들어올 경우 그대로 그 사람이 들어온것을 대신해서 강제퇴장 당하며, 이때 "자신"이 지금까지 모아온 모든 질량도 함께 사라진다. 심지어 비석[47]도 안남긴다! [48]

쉬움

  • 시작시 크기가 플레이어[49]와 비슷하다(6~30정도)
  • 분열을 안한다
  • 인식범위가 좁다
  • 먹이 분사속도가 매우 느리다(2초에 3발정도)
  • "자신"보다 "큰 방울"에게 몰리면 그냥 부들부들(...)떨다가 먹으려하면 그냥 먹힌다.
  • 메이헴 모드에서의 발사형 아이템 사용시 정확도는 낮다

보통

  • 대체로 시작시 크기가 플레이어보다 더 크다(40~70정도)[50]
  • 분열은 "자신"보다 "큰 방울"에게 먹힐 위기에 처했을 때에만 도망치는 용도로 한다.
  • 인식범위는 좁으나, 쉬움보다는 조금 더 넓다
  • 먹이 분사속도는 느리다(1초에 2발정도)
  • 메이헴 모드에서의 발사형 아이템 사용시 정확도는 낮은 편이지만, 쉬움보다는 높은 편이다

어려움

  • 대체로 시작시 크기가 플레이어보다 훨씬 더 크다. (90~150정도)[51]
  • 분열은 분열해도 여전히 "자신"보다 "작은 방울"인 방울을 먹을려 할때나,[52]"자신"보다 "큰 방울"에게 먹힐 위기에 처하면 도망치는 용도로 한다.[53]
  • 인식범위는 위 3가지 난이도별 봇중에서는 가장 넓다.
  • 먹이 분사속도는 그럭저럭 빠르다(1초에 3발정도)
  • 메이헴 모드에서의 발사형 아이템 사용시 정확도가 높은 편이다.

7.3.2 트롤 봇(봇 트롤링)

플레이어 vs 플레이어또는 플레이어 vs 봇의 싸움에서 플레이어를 향해서 빅엿을 먹이는 봇새끼를 말한다.
이러한 일들은 주로, 메이헴모드&어려움 난이도의 봇새끼들이 일으키는데, 대표적 유형 7가지만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 거대한 크기의 방울끼리 싸우는데 봇이 폭탄,독같은 아이템을 발사해서 한쪽 플레이어를 맞추는 경우
  • 작은 방울이 큰 방울에게 쫒길 때 역전하거나 도망가는데 꼭 필요한 아이템(텔포홀,폭탄,재결합 가속장치,독,전기등)을 봇이 홀라당 먹고 튀거나 작은 방울에게 쓰는 경우[54]
  • 봇이 큰 방울에게 쫒기는 작은 방울을 분열까지 써가면서 먹어치우고 자기도 큰 방울에게 먹히는 경우[55]
  • 봇이 큰 방울이나, 큰 방울의 비석같은 것을 먹고 블랙홀에 많이 부딪히거나, 누군가 들어와서 그대로 증발하는 경우[56]
  • 봇이 작은 방울을 쫒아오면서, 화이트홀이나 큰 방울의 쪼가리방울을 못먹게 하거나, 저격을 못하게 방해하거나, 또는 큰 방울의 쪼가리를 쳐먹고(또는 큰 방울과 적대하는 작은 방울들을 먹고) 큰 방울에게 분열로 모조리 헌납하는 경우(...)[57]
  • 큰 방울에게 쫒기던 봇이 몰렸을 때 더 큰 방울에게 모조리 분열로 먹여주는 경우[58][59]
  • 봇이 도망가는 도중에, 블랙홀,화이트홀,텔포홀을 밀치다가 큰 방울을 맞추는 경우[60]

이 글을 쓴 위키니트의 분노가 느껴진다
봇 개새끼 해보라우!!!

8 레벨

레벨은 일정 경험치를 모으면 다음 레벨로 올라간다. 그것으로 더 좋은 스킨을 쓸수가 있다. 만약 레벨이 50을 달성하면 주위에 빛이 둘러싸진다. 51레벨부터 지나간 자리에 빛이 남아 있다. [61]

9 스킨

/스킨 문서 참조.

9.1 플라즈마

1.3.0 업데이트로 추가된 컨텐츠다. 플라즈마는 필드 내에 있는 플라즈마를 흡수해 얻거나 레벨업을 하거나 아레나에서 승리하거나 현질로 얻을 수 있다. 플라즈마로 상점에서 스킨이나 경험치 부스트를 살수있다. 2배3배가 있으며 적용하면 레벨바가 각각 노랑색(2배),빨강색(3배)으로 변한다.대신 고속이동(Agar.io 문서 참조) 경험치가 5배 하향되었다 그리고 도전과제로 플라즈마를 1000/10000/100000개를 모으는 과제가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깃발 스킨은 250 플라즈마로 살 수 있다. 1.3.1 이전까지 쓰는 명칭은 코인이였지만 1.3.1 업데이트 후 배경이 우주인데 뜬금없이 동전이 나오다 보니 플라즈마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0 문제점

  • 악질적인 팀플로 인해 대부분의 모드에서 솔플로 승리하는것은 굉장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체로 몰려와 방을 점거하는 행위, 심하게 여러명이서 뭉쳐다니는 일명 물량 팀플은 어떻게 할 방법이 없다. 생존 모드에서 팀플끼리 게임을 끝내지 않거나 심지어 팀전에서 다른 팀끼리 친목을 하는 상황도 많으며[62], 심지어 이 때문에 게임을 접는 유저들까지 나오는 상황. 선의의 경쟁이든 악의의 경쟁이든 서로 경쟁하며 실력을 쌓는 게 이 게임의 의미인데, 그 의미와 목적이 사라지는 짓을 당연한 듯이 하고 있는 걸 보면 정통파 유저들은 피가 끓어오르고 뚜껑이 열린다는 것이다. 사실 일반 모드라면 2~3명 정도가 서로 주고받으며 잘 게임을 하고 있다면 전략이고 타파하려면 얼마든지 타파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한 방의 정원이 21명인데 막 4~5명 넘는 인간들이 다 해먹는다고 생각해보자. 애초에 개인전은 이름부터가 '개인'전이다.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할 게 있는데, 네뷸러스는 경쟁하는 게임이지 친목게임이 아니다.[63]
  • 팀전의 경우 팀 점수 차이가 아주 크다.어떤 팀은 점수가 10000점 정도인데, 다른 팀은 몇백점 정도인 경우가 많아 역전하기가 매우 힘들다. 특히 1등 팀의 팀플이 좋다면 역전하기가 더 힘들어진다. 공격수 2마리에 저격수 4마리면 완벽하다.[64][65]
  • 게임 내에 욕설 필터링 기능이 없다. 채팅에 욕설이 사용되어도 제재가 없어서 유저끼리 부모님의 안부가족 안부를 묻는 경우가 허다하다.[66]
  • 번역의 경우 담당 번역자가 번역하여 적용하지만, 개발자가 신규 추가 문구를 넘겨올 때 전체 파일을 번역기로 돌린 뒤 넘겨주기에 이전 버전에 사용된 정상적인 번역과 다르게 일부 이상하게 수정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현재는 다른 수단을 통하여 작업중으로 오역 및 오류를 최소화 시키고 있다.


게임 중 발생하는 불편사항이나 버그를 개발자 이메일로 한글로 보낼 시 한국어 번역자에게 다시 전송된 후 연락이 오게된다. 보낼거면 번역기라도 써서 영어로라도 보내자.

11 게임 전략/팁

  • 1등한테 잘보이기 : 1등에게 먹이를 주거나 경쟁자들이 발사하는 블랙홀들을 대신 막아주는 것. 이렇게 하면 먹히지 않을 수도 있다. 또, 1등이 보답으로 자신에게 먹이를 줄 수도 있다. 하지만 배신을 하는 1등도 적지 않기에 그냥 눈치껏 플레이 하는것이 제일 좋다.
  • 자신의 편 많이 만들기 : 이건 1,2등이 주로 많이 쓰는데, 점수가 낮은 유저들에게 기부를 해주는 것이다. 만약 1등에게 쫒기고 있다면 다른 유저들이 자신에게 기부를 해주어 대역전 존나좋군? 을 할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너무 편만 많이 만들다가 의리 지키겠다고 먹을 녀석이 남지 않을 때도 있다.
  • 화이트홀 먹기 : 몸집이 작을 때 화이트홀을 먹으면 커지는 점을 이용해 골라먹는 식이다. 맵이 아가리오보다 좁기 때문에 맘먹고 찾으러 다닌다면 몸집을 비교적 아주 쉽게 키울 수 있다.
  • 블랙홀 발사: 블랙홀에게 먹이를 주면 밀어지는데,이를 이용해 순위권 유저나 크기가 큰 유저들을 유인해 블랙홀을 발사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자신이 너무 작을 경우엔 블랙홀을 맞고 터진 파편들에게 먹혀서 죽을 수도 있다 그리고 블랙홀을 맞으면 점수가 꽤 많이 줄어든다.[67]
  • 점수 이동 : Agar.io와 다르게 분할된 뒤에 큰쪽이 조작권을 가져서 이곳에서만 방출이 되는것을 이용해서 다른 상대가 분할된 작은 방울을 먹으려 할때 그쪽으로 방출하여 크기를 빠르게 늘리면 역관광할 수도 있다.[68]
  • 통수치기 : 1등한테 잘보이다가 1등이 블랙홀 같은곳에 가서 1등이 약해지면 다 먹어버리는 것. 물론 자신의 크기가 어느정도 커야한다.
  • 방출된 덩어리 먹기 : 아주 작을 때 유리한 방법으로, 보통 큰 세포가 다른 세포를 먹으려고 하거나 블랙홀로 터트리려고 할 때 분사되는 덩어리를 블랙홀에서 숨으면서 먹는 방법이다. 운 좋으면 여러 방면에서 다른 유저가 방출해서 순식간에 커지는 경우도 있다! 다만 커지다가 블랙홀에 충돌할 경우엔... 안습.
  • 안정적 : 너무 점수가 커져버리면 1등한테 잡아먹혀진다는걸 이용하면 1등한테 점수를 주며 딴사람한테 잡아먹히질 않게 하는방법. 1등이 2000점이면 자신은 600~800 점 정도 내 친구가 저격을 해줬다. 그래서 내가 1등을 이러케 조로케 만들어놨다.
  • 도전 : 블랙홀로 상대를 밀어가며 나중엔 1등자리를 차지하는것. 물론 아주 어려울뿐더러 나중에 저격을 많이 당한다. [69]
  • 전력 분산 혹은 응집(팀전) : 팀전에서 한 명만 큰 것과 각 구성원이 고르게 분산되는 것은 모두 장단점이 있다. 한 명만 크면 세력을 키우려 하는 상대를 견제하기 용이하지만 저격 당해버리면 그야말로 모든 것을 잃을 수 있으며, 분산되면 반대로 안정적인 현상 유지가 쉽지만 상대 팀이 전력을 하나로 모았을 때 당할 수 있다.
  • 도움의 손길 : A가 B보다 조금 크고, 나와 B를 합친 크기는 A보다 큰 상황을 생각해보자. A가 B를 먹으려 한다. 그때 내가 B한테 먹이를 주거나, A에게 블랙홀을 밀어서 역전시켜 B가 A를 먹으면 B가 나에게 보답을 해준다. 그러나 어떤 놈들은 보답안해준다. 뭐 괜찮다 어짜피 보답할 확률이 높은데.
  • 간잽이 : 매우 큰 상대에게 느리게 블랙홀을 민다. 상대가 블랙홀을 방어하기 위해 내 쪽으로 먹이를 발사하면, 그것을 흡수해 200~240 정도로 적당히 크기를 불린 뒤 도망간다. 이 때 빨리 도망을 못 가면 잡아먹힐 수 있고, 욕심을 부려 너무 많이 흡수할 경우 오히려 자신이 블랙홀 때문에 터질 수 있다. 고도의 컨트롤을 필요로 한다. 초반에 크기를 불리기 유용한 작전.
  • 고기방패(팀전, 메이헴 모드) : 자신이 딱 블랙홀을 맞으면 터지는 정도의 적당한 크기라면 누군가 내 팀의 대빵을 공격하려 할 때 대신 맞아줘 더 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이헴 모드에서도 아이템을 대신 맞는 것으로 활용 가능하다.
  • 죽은 척하기(...) : 비로그인 상태로 게임에 들어가면 레벨이 보이지 않는다. 이 상태로 닉네임을 공백(ㅤ)으로 하고[70] 스킨을 끄면 완전히 비어있는 방울이 만들어진다. 이 설정으로 입장을 반복하여 지정색이 회색 계열이 되면 게임을 시작한다. 그 후 적당히 크기를 키운 채 가만히 있어보자. 주변의 유저들이 비석인 줄 알고 알아서 먹혀줄 것이다.(...) 자신보다 큰 유저가 온다면 그냥 도망만 쳐도 황당함을 안겨줄 수 있고, 주변에 공격할 거리가 있다면 플레이에 따라 역관광도 시킬 수 있다.
  • 메이헴 모드 전략
    • 1. 아이템 맞은 자신을 되려 상대에게 먹이기 : 아이템에 맞아있는 방울을 먹으면 효과 발동 시간이 남은 만큼이 먹은 방울에게 적용된다. 이를 이용해 만약 자신이 폭탄을 맞았을 때 터지기 전에 일부러 먼저 상대에게 먹혀버리면 폭탄이 그대로 먹은 상대에게 적용되어 터뜨릴 수 있고, 전기, 독 등도 응용 가능하다.
    • 2. 얼음은 블랙홀 근처에서 : 얼음 공격은 쫓아오는 상대를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지만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히진 않는다. 따라서 도망을 가더라도 가능한한 블랙홀이 있는 곳을 찾은 후에 얼음을 쏘고 블랙홀로 터트리면 아이템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 3. 독 사수하기 : 독 공격의 최대 이점은 상대가 들고 있는 아이템을 강제로 방출시켜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팀전에서는 서포터가 독을 최우선으로 사수해야 한다.
    • 4. 분열하면서 가속되는 자기 방울을 얼려 상대에게 강제로 먹이기 : 얼어있는 상태의 방울을 먹으면 자신이 터진다는 점을 이용한 전략으로, 상당한 수준의 컨트롤을 요한다. 방법은 분열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얼음을 발사하면 앞의 분열된 방울이 얼려지며 상대에게 강제로 먹일 수 있다.처음 당하면 웬 창의력 대장에게 당하는 당혹스러움을 느낄 수 있다.
    • 5. 먹이로 아이템 반사시키기[71] : 활성화된 아이템은 먹이로 받아칠 수 있는데, 상당한 컨트롤과 순발력을 필요로 한다. 성공하면 카운터가 됨과 동시에 상대방은 약이 오른다.
    • 6. 방패로 밀어내기 : 방패는 아이템을 막아줄 뿐 아니라 자신을 해치는 모든 요소를 막기 때문에 누군가 자연적으로 먹으려 하면 밀려난다. 이를 역이용하면 자신을 방어 상태로 만든 후 큰 유저를 밀어내 블랙홀로 터뜨리거나 다른 큰 유저에게 먹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 게임 플레이 팁
  • 자신의 크기가 작을 경우, 분열을 많이 할수록 좋다.
속도가 최상이 되고, 파란 블랙홀도 먹기 쉽다. 근데 먹히기도 쉽다.(...)
  • 자신의 크기가 클 때 과다분열을 하지 말자.
왼쪽과 오른쪽의 크기 비율이 비슷하다면, 작은 방울들이 블랙홀을 쏠 때 상대할 수 없고, 작은 방울들이 먹기 쉬워진다.
  • 팀전에서 우리팀 점수가 낮다고 포기하지 말자.
허점을 노려 블랙홀로 맞춘다면 어느새 1등이 되어있을 것이다.큰 팀이 아무리 커도 대개 마지막 1분에서 승부가 갈린다(팀 시간 제한전에서는 생각보다 자주 일어난다)
  • 큰 방울이 분열했을 때를 노려라.
큰 방울이 분열했을 땐 블랙홀 되받아치기가 어려워진다. 물론 자신의 점수가 어느정도 돼야 하며 아군 서포터가 도와줄 때는...
  • 둘이서 합동저격
두 명이서 함께 블랙홀을 향해 방출하면 아무리 거대하고 빨리 쏘는 방울도 버틸 수가 없다. 팀전에서는 같은편은 먹히지 않아서 더 쉽게 할수있다. 같은 팀이 저격을 한다면 같이 도와주자.
  • 큰 방울이 분열했을 땐 작은 부분을 노려라
분열된 방울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큰 부분에서만 방출이 가능하므로 조종이 불가능한 작은 쪽을 연달아 터뜨리는 것도 좋다.
  • 큰 방울이 우선적으로 분열된다.
분열의 최대 갯수가 8개이기 때문에 자신의 분열 상태가 5~7개일 때 더 분열하면 이 중 큰 것들만 분열된다. 이것이 왜 중요하냐면 위의 팁에 카운터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 공격을 받았던지 해서 자신의 분열 크기가 하나만 크고 나머지는 작게 돼있는데 그리 크지 않은 누군가가 작은 방울 하나를 먹으면서 공격해오기 시작한다면 침착하게 큰 쪽을 분열시켜 상대를 역으로 덮칠 수 있다. 보통 분열돼있는 상대를 먹을 때 신속한 대응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허를 찌를 수 있다.
  • 상대 방울이 자신의 움직임을 예상하지 못하게 만들어라
어느 게임이든 대부분 공통적으로 중요한 팁이다. 블랙홀 전략 하나로 예를 들어보자. 블랙홀보다 큰 방울이 블랙홀 근처를 지나갈 때, 그 블랙홀 근처를 서성이는 건 '나 이걸 네게 쏘고 싶은데 어디로 쏘는게 좋을까' 하고 알려주는 꼴이다. 그냥 근처를 지나가는 척 하다 급회전하며 빠르게 방출해버리면 상대방이 클수록 반격에 실패하고 터져버리는 일이 다반사다. 정반대로 응용해서, 상대방이 블랙홀을 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 대비했다가 급회전해라. 블랙홀은 빗나가고, 상대방이 블랙홀을 향해 대량 방출해 자신의 절반보다 작아졌을 경우 자신의 급회전으로 블랙홀이 치워지고 상대방과 나만 일직선상에 놓여 분열공격으로 역관광시킬 수 있다.
내가 큰방울에게 쫓기고 있다. 내가 큰방울의 반보다 더 작을 경우, 큰방울은 분열로 나를 잡으려고 할 것이다. 이 생각이 들었는가? 지금 바로 방향을 확 틀어보자. 방향을 틀면서 그쪽으로 분열하면 이동속도가 빨라져 더욱 더 효과가 좋지만 크기가 작아짐으로서 어느 정도 위험 부담이 따르는 단점도 있다. 자신이 어느정도 작을때 유용한 방법으로, 고도의 눈치를 요한다. 이거 잘하는 사람은 상대가 8분열할때까지 한번도 안먹힌다
  • 일단 상대가 자신이 블랙홀을 쏘는 걸 알면 빨리 쏘아대라.
큰 방울이 쏘는 덩어리가 더 커서 밀릴 것 같지만,오토마우스 급으로 빨리 쏘아대면 열의 일곱은 분열된다.근데 그게 가능하나 한 가지 팁을 주자면, 설정에 들어가 버튼 크기를 키워봐라. 연타를 하기 더 편해질 것이다.
  • 일단 화면상으로 친목이 성행한다 싶으면 그 방은 나가라.
이상해 보이지만, 엄연한 사실이다. 당신이 친목을 좋게 생각하지 않는다면 그 방은 참여하지 않는 게 낫고, 아무렇지 않더라도 즐겜유저가 아닌 이상 본인이 제대로 게임을 하기가 힘들 것이다.

아레나 전략

  • 너무 구석으로 가지 말자.

당연하다. 상대가 나보다 클 경우 구석에 갇혀서 그대로 먹히는 신세가 된다.

  • 되도록 분열은 자제해라.

분열하면 속도는 빨라지지만 상대에게 먹힐 위험이 크다. 245점 이상에서 화이트홀을 먹을때는 방출하여 245 미만으로 크기를 내리고 먹은 다음 방출한 먹이를 먹자.

  • 상대가 나를 분열로 먹으려 한다면 분열버튼을 눌러 도망치자.

먹히면 바로 끝나는 아레나에서는 이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72] 하지만 20점 미만에서는 분열이 안되니 되도록 피하는게 더 좋다.

  • 분열저격을 사용하자.

말 그대로 분열하며 블랙홀을 방출하는 기술. 일단 빠르게 상대를 향해 방출하다가 재빨리 분열버튼을 눌러 방출하면 상대는 도저히 버틸 수가 없다!

모티브가 된 게임인 Agar.io의 전략에 대해서 다루는 문단도 참고하자.

12 사건사고

  • 2015.09.02 갑자기 서버가 접속되지 않고 이 걸리며 레벨과 클랜이 다른 플레이어들과 섞여서 고렙 유저들의 레벨이 초기화되거나, 뉴비는 높은 레벨이 되는 일이 벌어졌다. 그리고 로그아웃한 유저는 다시 로그인이 되지 않아 불편을 겪었다.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큰 불편을 겪거나 어떤 유저들은 게임을 접게되는 사태까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구글 플레이에서의 리뷰가 4.4 >4.2으로 낮아지기까지 하였다.현재 복구가 완료되기는 하였으나, 일부 유저들은 여전히 종종 그 버그가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 2015.10.12 1.3.0 버전 업데이트 얼마 후, 어느 유저가 레벨을 엄청나게 올릴 수 있는 새로운 렙작을 발견했다. 당시엔 비석도 경험치가 올라갔기 때문에 2명씩 번갈아가며 비석을 남기고 상대가 비석을 먹고 상대는 나가고 그 비석을 또 먹는 방식이였는데 이 렙작 때문에 플레이어들의 레벨이 2300이 넘는 사태가 발생했다. 현재는 막힌 듯 하다.
  • 2015.11.18 1.3.1버전 업데이트 이후 알 수 없는 이유로 인해 동아시아 서버에서 반복적으로 서버가 리셋된 사태가 발생되어 많은 플레이어들의 불만을 샀다.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없을 정도. 다른 서버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났으면 추가바람.
  • 2015.11.20 렉이 몇 초 간격으로 한 이용자에게만 걸리는 것이 아니라, 서버 전체에 일어나서 (시간) 게임 등의 경우 시간이 렉과 함께 멈췄으며, 재결합은 정상적으로 지나가는 바람에 실제 재결합시간과 표시 재결합시간이 다른 등의 혼란이 발생하였다. 전술한 18일 사건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 2015.11.28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동아시아 서버로 선택하고 들어가면 서버에 연결이 안 된 사태가 발생했다. 다른 서버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났으면 추가바람.
  • 2016.01.11 네뷸러스의 UI 색이 지나치게 밝은 색이 되고 아레나,클랜,클랜 전쟁의 접근성 하락, 채팅 버튼 위치 번경 등으로 유저들의 불만이 생겨났다. 불만이 빗발치자 대부분 원래대로 돌아왔다. 돌아오는 도중 업데이트가 자주 있었다.
  • 2016.06.11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모든 서버로 선택하고 들어가면 서버에 연결이 안 된 사태가 발생했다. 당일 부로 해결되었다. 그러나..
  • 2016.06.12 동아시아 서버로 선택하고 들어가면 렉이 발생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다른 서버는 정상적으로 렉없이 작동된다.
  • 2016.08 동아시아를 선택할시 시작하고 10초~30초동안 심각한 렉이 생기고 모든 것이 안 보이고 화면이 검게 되는 현상[73]이 발생함.

13 이벤트

2015년 1.2.1.1 버전 업데이트로 특정일을 기념하는 이벤트가 추가되었다. 맵에 랜덤으로 나타나는 아이템을 일정 개수 흡수하면 스킨을 얻을 수 있다(이 스킨들은 SPECIAL이라는 새로운 종류로 분류된다). 레벨제한은 없으며 아이템을 흡수하면 퐁소리가 나면서 3점을 얻는다. 이동할때 뒤에 남는 특정 이펙트가 생긴다. 기간은 약 한 달 정도 되며 이벤트가 끝날때 업데이트로 공지해주고 새로운 이벤트를 한다. 이 아이템을 1000개, 5000개까지 흡수하는 도전과제도 있다.

14 관련 유튜버

Nebulous Gamer
링크
터키인이며 맨 위의 트레일러 영상을 만든사람도 이 사람이다. NG-1[74], NG-2, NG-3 클랜[75][76]을 운영 중이며, 같은 클랜원들과 협력하는 동영상이나 솔플영상도 올라온다. Agar.io를 플레이하는 영상도 올라온다.

지금은 Agnosia로 이름을 바꾸고 클랜 이름도 Agnosia로 바꾸었다. [77]
  1. 사용자 지정 게임에선 맵을 넓음으로 설정할 경우 27명
  2. 일부 점수를 얻는 요인은 렙작 방지를 위해 경험치를 주지 않는다
  3. 남아시아 서버에도 있고, 심지어 미국, 유럽권 서버에서도 있다. 단 미국 동부 서버는 기본값이라 전세계에서 많이 들어가기는 한다.
  4. 과거에는 다시 해제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만약 해제하고 싶다면 나갔다 다시 들어와야 한다.
  5. 이렇게 번역되어있지만 날짜나 시간과는 관계가 없다.
  6. 자신이 공동대표(은별)로 속한 클랜의 장로이하 클랜원들을 자기 마음대로 클랜 퇴출을 시키거나 하는 사람들. 자신이 정상적인 인간이라면 이러진 말자.
  7. 메이헴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끌 수도 있는데 만약 모드가 같아도 메이헴 ON/OFF 여부가 다르면 매칭되지 않는다. 10개의 모드인 셈.
  8. Agar.io와는 흡수 비율이 다르다. 참고로 Agar.io는 약 132% 이상 커야 흡수된다. Agar.io를 하다가 막 넘어온 플레이어들이 이 점을 몰라서 방심하고 있다가 흡수당하는 경우가 많다.
  9. 근데 이거는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하는게, 크기가 10000정도 되도 초당 15점 남짓 달기 때문에 그다지 쓸모는 없는 규칙. 애초에 크기 10000이상 달성할 정도면, 봇천지이거나, 소위 말하는 몰방(지정된 방울에게 몸집을 몰아주는방)에서나 가능한 수준이다.
  10. 사실, 예전에는 이러진 않았으나, 5월경 업데이트때, 플레이어 바로 앞에서도 생성 가능하게 업데이트해서, 이러한 사단이 생기게 되었다. 참고로, 이러한 일은 파란 블랙홀(화이트홀)보라색 텔레포트홀에도 적용된다.
  11. 왼쪽 위 점수 밑에 남은 시간이 뜬다.
  12. 방울 수가 8개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분열 버튼을 한 번에 최대 3번 누를 수 있다. 한 번 누를 때 2개로 분열되고 두 번 누르면 4개로 분열되고 세 번 누르면 8개로 분열되는 방식.
  13. 그런데, 크기가 200쯤만 되도 합체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크기가 겨우 450 남짓인데 합체시간은 20초정도 된다. 그리고 크기가 5500쯤 되면 거의 40초정도를 기다려야한다. 아가리오는 그나마 맵이 넓어서 이리저리 피해 다닐 수 있지만 네뷸러스는 맵이 좁아서 고속하는 인간들이라도 만나면..
  14. 개인전 아레나를 제외한 아레나는 손실이 없다.
  15. 과거에는 방출된 덩어리를 먹으면 경험치가 올라갔으나 이것도 렙작을 제지한다는 이유로 사라졌다.
  16. 대신, 질량이 1000이 넘으면 분열할때마다 먹이를 강제로 분사한다. 메이헴의 독맞은거처럼 말이다.
  17. 생김새는 원이다. 색깔 있는 달 정도로 섕각하면 쉽다.
  18. 파랑은 오른쪽 위, 초록은 오른쪽 아래, 빨강은 왼쪽 아래, 노랑은 왼쪽 위
  19. 점수 30점부터
  20. 사용자 지정 방에서는 1분~30분 사이
  21. 게임오버 후 플레이를 하려고 하면 다음 라운드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나오며 게임에 참여할수 없다.. 쉽게 말하면 라운드마다 생명1개.
  22. 구 버전에서는 시작 시 무조건 가운데에 공이 생겨 밸런스 붕괴가 더욱 심했다. 맵이 크지 않아서 중앙부터 골대까지 네 명 정도만 배치되면 서로 던져주며 금방 골을 넣을 수 있었던 것(...)
  23. 근데 정작 본래 용도로 쓰는 사람은 거의 없고 대부분 방출로 밀어서 길막하는데 쓴다. 특히, 큰 방울에게 쫓기고 있을때 이 벽에 막혀서 그대로 먹히거나 하면 그땐 말 그대로 벽을 부숴버리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된다. 큰 방울 입장에서도 짜증나는게 이 벽때문에 벽 건너편에 있는 작은 방울들을 먹지 못하거나 분열시 안그래도 지키기 힘든 반대쪽 자기 방울들을 반사벽의 길막으로 더욱 지키기 힘들어져서 반대쪽의 자기 방울들이 그냥 부서지거나 먹히는걸 지켜봐야 하는 경우도 있다.
  24. 게다가 자체적으로 회전까지 해서 아무리 구석으로 쳐내도 시간이 지나면 맵 중앙에서 또다시 길막하면서 방울들을 방해한다!
  25. 이 3초라는 시간이 무시무시한것이, 다른 아이템은 아무리 빈 손에 단일방울 이여도 그래도 살 여지라도 있는데 전기는 분열도 안되서 도망도 못가고 잡히면 꼼짝없이 먹혀야 한다! , 게다가 네뷸러스 특유의 미묘한 시스템이 생존률 하락에 한몫한다. 3초가 안 길다고 생각하는 위키러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네뷸러스는 아레나만 해도 0.5초로 승부가 갈린다. 하물며 3초면....
  26. 사실 약간이나마 자력이동이 가능한것 같다. 정확히는 이 아이템에 피격당할 시 방향키를 움직일 시 이동하려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가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알고있으면 살아남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 시간을 아주 잘 계산해야된다.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다가 풀려서 그대로 먹힌단 말이다. 하...
  27. 흡수되지 않고 그냥 바로 터진다. 다만 먹으려고 한 방울이 월등히 작을 경우는 터진 후에 먹는다.
  28. 이걸 이용해서 크기가 비슷한 상대와 거리를 적당히 잡고 분열하면서 얼음을 쏘면 상대가 의도치 않게 얼어 버린 방울을 먹게 되어 터진다.
  29. 다만 시전 전에 맞은 아이템은 반사하거나 멈추지 못한다.
  30. 사용시 화살표가 중심을 향해서 끌려가는듯한 시각효과가 있다.
  31. 첫 배치 당시에는 3초 동안 지속되었는데, 너무 사기적이라고 욕을 먹었는지 1초로 바뀌었다.
  32. 경험치 부스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33. 방울을 거의 동시에(분열하는 시간정도)흡수해야 한다. 8,16,24,32,40개도 같다
  34. 또는 사람이 많이 없는 멀티플레이어 공방이나, 사용자 지정게임에서도 볼 수 있다
  35. 사실, 정확한 뜻은 "음극"이고, 링크된 항목은 그것을 응용해서 만든 "음극선관"이다
  36. 네뷸러가 성운이라는 뜻이다. 이 게임 이름이 네뷸러스인 이유가 이것이다.
  37. "물병자리"를 뜻한다
  38. 학문적으로 " 또는 늑대부류"를 뜻하는 단어이며, 개와 관련된 여러가지 단어로 쓰인다 ex)VY Canis Majoris (큰개자리 VY)
  39. 참고로, 여기서부터는 Nebulous에서는 안나온다(인원수 제한) 단, 인원수 제한이 Nebulous보다는 넉넉한 OrborousRebellious에서는 나오기도 한다. OrborousRebellious에 "봇"문단이 추가되면 옮겨주길 바람.
  40. 난이도는 사용자 지정 게임을 만들 때 설정 가능하다.
  41. 인식범위내에 "자신"보다 110%이상 큰 방울이 "자신"을 쫒아오면, 흡수 우선순위 다 제치고 도망부터 간다. 그래서 1순위로 기재함.
  42. 도트가 밀집된곳
  43. 도트가 드문드문 있는곳
  44. 이들은 플레이어 방울이 보이면 더욱 크기가 크고 더 멍청한(...)봇 방울을 제치고 먼저 먹으러 온다
  45. 메이헴모드에 나오는 보라색 블랙홀
  46. 발사형 아이템(폭탄,전기,독,얼음)일 경우에는 해당 방울쪽 방향으로 발사한다 (이하 정확도=해당 방울을 맞출수 있는 방향으로 발사형 아이템을 발사할 확률
  47. 플레이어가 방을 나갈때 남겨지는 회색 도트. 이걸 먹으면 이것의 질량과 같은 방울을 먹은 효과가 나게된다. 단, 경험치는 0
  48. 이것 때문에 간혹 몰방에서 몰주나 몰주가 남긴 비석을 다 먹고 그대로 누가 들어와서 증발해버리는 일이 일어나는데, 이럴땐 심히 난감하다... 게다가 그 들어온 인간이 곧바로 나가거나 해서 봇이 다시 생성되면 그땐 진심으로 들어왔다 나간 인간이랑 현피뜨고 싶어진다..
  49. 플레이어의 시작시 크기는 시작하자마자 화이트홀을 먹은 경우가 아니라면, 무조건 6이다
  50. 먹혔을 시에는 플레이어와 비슷한 크기로 재시작하기도 한다.
  51. 먹혔을 시에는 플레이어와 비슷한 크기로 재시작하기도 한다.
  52. "작은 방울"이 "자신"보다 너무 작거나, 분열로 못먹는 크기일경우에는 그냥 쫒아오기만 한다. 아무래도 "자신"이 "작은 방울"보다 220%~880% 클 경우, 분열로 먹으려 하는 것 같다.(110%이상 220%이하 & 880%이상일때는 그냥 쫒아오기만 한다)
  53. 이때, 주변에 "작은 방울"이 있고, "자신"이 그 방울을 분열로 먹을 수 있을정도의 크기이면, 먹으려고 "작은 방울"이 있는쪽으로 분열한다
  54. 특히, 텔포홀폭탄, 재결합 가속장치,전기가 가장 심한 경우인데, 텔포홀을 타려고 8분열하는데 봇이 와서 못타거나, 큰 봇이 타면 먹히기도하고(...) 폭탄과 전기는 봇이 도망가는 방울에게 쓰기도 한다.
  55. 이 경우는 주로 고속러들이나 고속러들에게 쫒기는 방울에게 일어나는데, 이때의 심정은(...).
  56. 이 경우는 주로 몰방에서 일어난다 특히 전자의 경우는 봇이 진로를 막는 블랙홀을 밀치려고 먹이 발사해서 질량도 증발시키면서 블랙홀에 부딪히는 바람에 대량의 질량을 없애버리고 후자는...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57. 주로 고속러 vs 피해자연합끼리의 대결에서 일어나는 일인데, 과정을 보자면.... 고속러를 피해자연합이 저격해서 부숴놓는다 > 어디선가 봇이 나타나서 고속러의 부숴진 쪼가리 방울을 먹고 나서 분열해서 도망가거나 또는 피해자연합의 탱커를 먹어치우고 고속러에게 먹힌다 > 고속러들은 분열해서 먹음직스럽게 나눠진 봇을 신나게 먹어치운다 > 그리고 고속러들의 고속은 계속된다......그러니까, 피해자연합이 기껏 터뜨린 고속러를 봇이 피해자연합 탱커&고속러의 쪼가리방울을 먹어치우고 다시 죽어서 고속러의 훌륭한(...)단백질원이 되주는 것이다. 이러니 피해자연합은....
  58. 이런 경우, 쫒던 방울은 닭쫒던 개 지붕쳐다보는 격이 되는데다가, 운나쁘면 쫒기던 봇의 질량을 헌납받은 더 큰 방울에게 먹힐수도 있다.
  59. 참고로 봇은 자기보다 "큰 방울"들 사이에 몰렸을 때, "자기"를 쫒아오는 방울의 반대쪽으로 분열한다.
  60. 가끔 분열로 도망가는 봇들중에서 분열해도 블랙홀보다 큰 경우, 그걸 분열와중에 밀쳐서 큰 방울쪽으로 밀치는 경우도 있다!
  61. 하지만 빛이 남는 스킨은 레벨스킨중 특수스킨만 빛이 남는다.
  62. 팀전에선 모르는 사람이라도 아군이면 반갑기 마련인데, 함께 다니려고 다가갔더니 그 옆의 다른 팀 유저가 분열해서 날 먹고 다가가려던 우리팀 아군에게 나눠주는 말도 안 되는 일이 서슴지 않게 일어난다. 심지어 다른팀과 함께 다니며 색을(팀을) 막론하고 유인해 와서 서로 먹고 자빠져 있다
  63. 왜 잘못된 행동인지 와닿지 않는다면, 타 팀식 게임들에서 아군이라는 놈이 적팀과 협력하여 아군 위치나 조합을 발설하고 유인도 해서 아군을 패배로 빠뜨리는 일을 생각해 보자. 또는 팀킬이 되는 시스템일 경우 아무것도 모를 아군 팀을 죄다 죽여놓고 자기 혼자 재밌어하는 사람이라던가. 아무것도 안 해도 트롤이라고 부르는데 몇 술 더 끼얹어서 적을 도와주고 있다니?...
  64. 이 문제점은 모티브가 된 게임인 Agar.io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문제점인데, Nebulous의 경우 맵이 더욱더 한정되어 있어 문제가 커진다.
  65. 점수가 높은팀은 점수를 빠르게 줄이는 시스템을 도입하면 좋을 듯.
  66. 방 제목이랑 닉네임은 욕설 필터링을 적용했다.
  67. 몸집이 400~500단위일때도 150~200정도가 증발하고, 몸집이 10000단위를 넘을때에는, 맞으면 무려 3000 이상(!)이 줄어들기도 한다. 실제로 몰아주기 방같은 곳에서 30000의 덩치블랙홀 1번 맞고 21000으로 줄어드는 광경이 목격되기도 한다.
  68. 다만 크기차이가 너무 나는 경우엔 그쪽으로 방출하려고 방향 돌리다 도망치지 못해서 역효과날수 있으니 주의.
  69. 대처방법이 있다. 1등하고 높은 점수의 플레이어들에게 기부를 해주면 저격을 당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70. 스페이스바나 그냥 비우는 것은 오류로 인식한다.
  71. 팀전에서는 불가능하다
  72. 개인전 아레나 제외.
  73. 컨트롤 키는 제대로 보였다.
  74. Cave Canem 이후로 부동의 1위 클랜이었으나 현재는 밀려났다 안습
  75. NG-1 250, NG-2 200, NG-3 150 으로 초보는 못들어가게됨막장클랜
  76. (자신의 닉네임인 Nebulous Gamer의 약자)
  77. Nebulous Gamer라는 이름은 네뷸러스 외의 게임에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고 자신의 원래 닉네임이 Agnosia 때문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