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1 컴퓨터간 쌍방향 파일 전송 시스템

1.1 설명

Peer to Peer의 줄임말로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쌍방향 파일 전송 시스템을 가리킨다. 중앙서버 없이 컴퓨터와 컴퓨터간을 연결해 주며, 프로그램 엔진만 만들면 되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게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처음에는 느린 인터넷 속도 때문에 그저 그렇게 평가되었으나 인터넷이 점차 발달할수록 파일전송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굉장히 널리 사용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피해도 늘어났다.

한국 최초의 P2P 프로그램으로는 소리바다가 있으며, 그 이전에도 미국에서 냅스터라는 프로그램, 일본에서 위니라는 프로그램이 존재했었다. 토렌트, 이뮬, 당나귀, 프루나도 이 범주에 들어간다.

P2P라는 용어 자체가 불법공유와 과도하게 연결된 탓에 매우 어두운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지만, P2P 기술 자체는 사용자 컴퓨터의 자원을 어느 정도 나눠서 쓴다는 점에서 서버 성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단히 유용한 기술이다.

p2p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비슷한 성능을 가진 PC끼리만 연결된 형태인 순수 p2p(pure p2p), 그리고 PC끼리의 인터랙션을 원할하게 해주는 서버가 개입되는 형태인 혼합형 p2p(hybrid p2p)이다.

1.2 피해와 단속

P2P가 퍼지면 퍼질수록 오프라인 컨텐츠 판매는 타격을 입게 된다. 특히 이 시스템의 최대 피해자는 음반업계로 MP3 음악파일은 불과 몇 MB에 안된다는 장점으로 인해 P2P 프로그램 등의 인터넷상에서 광범위하게 유포됨으로써 음반업계의 수입이 줄고 기존 CD음반시장이 축소되는 등의 타격을 입게 된다.

결국 음반업계는 음반저작권협회를 통해 법적 대응에 나서 2000년대 중반 들어 법원은 세계 각지의 P2P 프로그램에게 잇따른 운영중지 판정을 내리고, 대한민국도 예외없어 2005년 저작권법 개정을 계기로 인터넷상에서의 상용 음악파일의 업로드가 금지되고, 네이버싸이월드, 다음 등에서는 돈을 주고 BGM을 살 수 있는 BGM 판매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결국 수많은 P2P나 웹하드 프로그램 운영회사들은 저작권료를 포함한 수입을 벌어들이기 위해 대거 유료화를 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 해당 저작물에 금칙어 설정 및 법적 처벌(특히 고소)를 가함으로써 저작물 업로드 및 다운로드에 대한 규제가 심해졌다. 이로 인해 현재 P2P 프로그램,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웹하드와 더불어 불법 공유야동보급소의 온상으로 낙인찍히게 된다.

2000년대 말에 P2P중계서버가 단속당해 대부분 폐쇄된 데다가 현재 검색되는 서버도 대부분 단속용 낚시서버이므로 자료공유가 거의 불가능해져서 이용자들은 토렌트웹하드로 이동했다.

현재 저작권법 단속에 걸리는 다운로더들은 모두 P2P에 연루되었을 확률이 매우 높다. P2P특성상 다운로더가 업로더를 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단, 자신의 아이디로 공유 자체를 전혀 하지 않을 경우는 예외다.

2014년 하반기에 대원미디어가 사업확장 및 불법공유를 대비하여 P2P 6체에 천억원대 소송을 건 결과가 나왔는데, 위디스크, 파일노리의 민사소송에 승리하고 형사소송을 준비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파일조와는 판권타협으로 다운로드 컨텐츠 제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1.3 각종 P2P 목록

2 팀 포트리스 2에서의 뜻

Pay to play, 즉 Mann.co상점에서 무언가를 구매한 사람을 말한다. 팀포2는 무료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이런 P2P가 주 플레이어인게 함정. 이런 경우에는 F2P보단 나은 대접을 받지만 Mann.co모자 쓰고다니는 사람들은 거의다 F2P에서 이제 넘어온 뉴비인지라 Mann.co 모자 쓰고다니면 F2P와 같은 대접 받는다.에잇 모자하나로 사람 평가하는 드러운 세상
도전과제 템 세트로 같이 들고있으면 완벽한 금상첨화.

[2]

3 P2P 대출에서의 Peer-to-Peer의 약자

기업이나 개인이 금융중개기관을 거치지 않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대출 계약을 직접체결하는 것으로, 크라우드 펀딩의 한종류로서 취급된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소셜 렌딩이라고도 불려진다. 미국, 영국, 중국 등에서 큰 반응을 얻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이용되는 추세이나, 투자자 보호에 대한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않아 투자시 주의를 요구한다.

[3]
  1. 미국산 프로그램인데, 일본등지에서 인기가 있었다. 일본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속칭 마도기라고 불렀는데, 마도는 'win'(窓)을 의미한다. 이 프로그램이 서서히 철퇴를 맞기 시작한게 동시기 winny의 부흥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봤자 다 예전 일이지만.
  2. 예를 들면 자섭, 봉크, 샌드맨 조합이나 직격포, 사기 증진 깃발, 등가교환기 조합으로.물론 이 조합들이 꽤나 좋은 편이다.ex.봉크먹고 뒤로가서 샌드맨 날리고 자섭으로 뒤치 그러나 현실은 자섭하나로 미쳐 날뛰는닥돌 스씨
  3. 요새는 부동산 p2p가 뜨고 있다던데 엘리펀트인가 엘리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