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1 개요

원제는 'En attendant Godot'.
영문 'Waiting for Godot'.
사뮈엘 베케트연극. 이른바 부조리극에 속한다. 부조리극의 '부조리'라는 낱말은 인간 존재의 의미와 무의미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부조리극이 이 문제의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부조리극 작품들은 깊은 나락염세주의와 기괴한 유머가 독특하게 뒤섞인 형태로 나타난다.

1953년 1월 5일, 이 연극이 일반 대중들에게 처음 상연되었을 때에는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안 된다는 혹평에 시달렸다. 반면에 캘리포니아 산 퀜틴 교도소의 죄수들은 이 연극을 보고 기립박수를 치며 눈물을 흘리는 등 그야말로 열렬한 반응을 보였다 한다. 사실 〈고도를 기다리며〉가 교도소에서 상영된 이유는 단지 여성 출연자가 없었기 때문이었는데, 연출자는 사실 이런 힘빠지는 부조리극을 보여주면 죄수들이 빡쳐서 폭동을 일으킬 것을 걱정했다고(...)

이 작품이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혹은 고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서는 수많은 견해들이 등장했다. 어떤 이는 고도가 바로 (神)이라고 주장하기도 했고, 교도소에 수감된 이들에게는 '자유'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베케트는 자신조차도 고도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말했다.

1969년 노벨문학상 수상작이기도 하다. 김세영 글,허영만 그림인 사랑해에서는 이 작품이 별거 아닌 듯이 고도를 기다리는 걸로 나오며 이걸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고 언급되는데 보기에 따라 쉽게 받았다고 하는 듯이 보일 수도?

2 줄거리

〈고도를 기다리며〉의 줄거리는 한 단어로 설명할 수 있는데, 바로 '기다림'이다. 이 작품은 희곡의 거의 모든 관습적인 기대를 깨버린다. 〈고도를 기다리며〉에서는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다. 우스꽝스러운 인물들이 등장해 이해할 수 없는 허튼소리를 내뱉는것이 전부이다. 심지어 두 주인공끼리 나누는 대화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쪽에서 밥은 먹었냐고 물어보면 다른 쪽은 난 이 싫다고 동문서답하는 식이다.[1]

두 남자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은 한 국도의 작은 나무 옆에서 '고도'라는 이름의 사람을 기다린다. 그들은 고도가 누구인지, 어떻게 생겼는지, 고도에게 뭘 원하는지도 모른채 고도를 기다린다. 심지어 고도가 실존하는지도 확신하지 못한다. 둘은 이야기를 하지만 상호적인 대화로 이어지지 못한 채 마치 서로 벽에 외치는 것과 같이 피상적이 되어간다. 그러던 중 그들은 포조와 그의 짐꾼 럭키를 만나 대화를 나누지만, 역시 두서없고 무의미한 대화뿐이다. 밤이 되자 심부름을 하는 양치기 소년이 나타나 그들에게 '고도 씨는 내일 온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제2막(다음 날)도 비슷한 내용이 그대로 반복되는데, 등장인물들의 변화로 더 괴이한 느낌을 준다. 마지막엔 역시 양치기 소년이 등장하는데, 둘의 대화는 도무지 맞물리지 않는다. 결국 블라디미르는 양치기 소년에게 화를 내며 쫓아버리고, 잠을 자다 깬 에스트라공이 고도가 왔었는지 묻는다. 그는 차라리 멀리 떠나자고 하지만 블라디미르는 내일 고도를 만나러 여기 와야 한다고 상기시켜준다. 둘은 나무를 쳐다보며 목이나 맬까 하지만 끈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내일 끈을 챙겨와 고도가 안 오면 매자고 다짐한다. 두 사람은 입으로는 떠나자고 하면서도 여전히 움직이지 않는다.

3 등장 인물

  • 블라디미르 (디디)
극의 두 주인공 중 한명. '디디'라고 불린다. '다리를 벌려 종종걸음으로 걷는다'고 한다. 작중에서 명확하게 명시되어있지는 않지만, 관습적으로 블라디미르는 키가 크고 홀쭉한 반면에 에스트라공은 땅딸막한 이미지로 연출된다. 지적이고 말이 많은 성격으로 종종 철학자에 비유되기도 한다. 고도가 올 것이라고 믿고 있는 낙천주의자다.[2] 모자를 벗어 두드리는 행동을 반복한다. 웃는 와중에 멈추고 소변을 보러 가는 장면에서 성병이 있음을 짐작케 한다.
이 역할을 맡았던 유명 배우로는 스티브 마틴, 패트릭 스튜어트 등이 있다.
  • 에스트라공 (고고)
극의 두 주인공 중 한명. '고고'라고 불린다. 작중에서 묘사되는 바에 따르면 누더기 옷에 모자를 쓰고 있다. 블라디미르와는 반대로 단순하고 감정적인 비관론자다. 기억력이 좋지 않은듯, 어제에 일어난 일이나 만났던 사람 등에 대해서조차 전혀 기억하지 못하며 블라디미르에게 물어보기 일쑤이다.[3] 선행성 기억상실증?자신의 신발과 자주 씨름하는 모양인데, 그 때문인지 다리를 저는 것으로 연출되기도 한다.
명대사로는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Nothing to be done)." 가 있다. 극의 가장 첫 대사이기도 하면서 극중에서 계속해서 반복된다.
이 역할을 맡았던 유명한 배우들로는 이언 매켈런[4], 로빈 윌리엄스 등이 있다.
  • 포조
지주. 짐꾼 럭키와 함께 등장하여 고고, 디디와 함께 대화를 나눈다. 권위적이고 멋부리기 좋아하며 짐꾼 럭키를 노예 부리듯이 하는 잔인한 인물이다. 자신의 짐과 트렁크를 잔뜩 들고있는 럭키를 목줄로 끌고 다닌다. 주로 뚱뚱한 모습으로 묘사되는듯 하다.
2막에서 다시 등장할때는 장님이 되어서 돌아온다.
  • 럭키
포조의 짐꾼...이라기보다는 노예에 가깝다. 포조의 짐을 잔뜩 지고 목줄에 매여 끌려다닌다. 역시 모자를 쓰고 있으며 백발이다. 작중에서 대사가 많지 않으며[5], 거의 백치인 것처럼 보인다. 포조의 명령에 무조건적으로 순응한다.
가장 유명한 장면은 역시 1막에서의 '생각' 장면. 포조가 '생각하라'는 명령을 내리자 가히 충공깽스러운 연설을 늘어놓기 시작한다. 이 장면의 대사가 앞서 말한 두 문장 중 하나인데, 단어수만 해도 700개에 이른다.[6]
  • 소년
'고도'의 심부름꾼으로 양치기 소년이다. 1막과 2막 후반부에 등장하여 고도 씨가 오늘은 오지 않고 내일 올 것이라는 전갈을 전하고 간다. 1막에서 처음 등장했을때 블라디미르에게 어제는 온 적이 없다고 말하는데, 2막에서도 지난날 왔음에도 불구하고 똑같은 대답을 한다. 양치기 소년이란 믿을 게 못돼[7] 또한 고도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사실과 '수염이 하얀 것 같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4 해석

워낙에 모호하게 표현된데다가 멘붕오는 내용 때문에 해석도 보는 제눈에 안경 식으로 백 명이 보면 백 명 다 다른 소리한다.

가령 포조와 럭키의 비참하리 만큼 잔인한 주종관계를 놓고, 아일랜드의 영국을 등에 업고 지배하던 상류층을 꼬집는 내용이라 하기도 하고, 프로이트적 해석으로 고고가 에고이고 디디가 이드라고 하는가 하면, 극중 많이 등장하는 성경 드립을 보고 이것은 본격 기독교 까는 내용이라 하기도 한다(...)

5 명대사

포조: 세상에는 눈물이 일정한 분량밖에 없어. 다른 데서 누가 또 울기 시작하면 울던 사람이 울음을 그치게 되는 거야. 웃음도 마찬가지지. 그러니까 우리 세대를 나쁘다고 하지 맙시다. 선배들보다 더 불행하지는 않으니까. 우리 세대를 좋다고도 말하지 맙시다. 그런 얘기는 꺼내지도 맙시다.

사람마다 조그만 십자가를 지지. 죽을 때까지. 그리고 기억에서 사라지네.

인간은 모두 태어났을 때부터 정신이 돌았어. 어떤 인간들은 그대로 돌아서 살지.

어느 날 나는 눈이 멀었고 어느 날 우리는 귀머거리가 될 것이오. 어느 날 우리는 태어났고 어느 날 우리는 죽을 것이오. 똑같은 날 똑같은 시각에 말이오.

태어날 때부터 무덤에 걸터앉게 되는 것이오. 눈 깜빡할 사이에 빛이 비치고는 또 다시 밤이 되는 것이오.

무덤에 걸터앉아서 이 세상에 어렵사리 태어났지.

에스트라공: 나는 이런 짓을 계속할 수 없네.
블라디미르: 그것은 자네 생각이지.

블라디미르: 우린 여기서 할 수 있는 게 없네.
에스트라공: 어딜 가도 마찬가지지.
블라디미르: 고고, 그런 소리 말게. 내일이면 다 잘 될 거니까.
에스트라공: 잘 된다고? 왜?
블라디미르: 자네 그 꼬마가 하는 얘기 못 들었나?
에스트라공: 못 들었네.
블라디미르: 그 놈이 말하길 고도가 내일 온다는군. 그게 무슨 뜻이겠나?
에스트라공: 여기서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지, 뭐.

블라디미르: 내일 같이 목이나 매세. 고도가 안 온다면 말이야.
에스트라공: 고도가 오면?
블라디미르: 그럼 사는 거지.

마지막 장면
에스트라공: 자, 그럼 갈까?
블라디미르: 그래, 가세.
(그들은 움직이지 않는다.)

6 사족

게임 『역전재판 3』에 등장하는 고도 검사의 이름은 이 작품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이 연극에서 인물들이 이해할 수 없는 말과 행동을 하는 것을 고도 검사와 엮는다면 커다란 스포일러가 될 수 있다. 작중에서 증거품에 묻은 피[8]를 보고도 아무 언급도 안하는 동문서답을 한다. 피를 보지 못한 이유는...

한국에서도 대학로동숭아트홀 등의 연극 무대에서 약간 한국식으로 각색을 거쳐[9] 공연된 적이 있고, 임영웅 연출 버전은 1969년 초연 이래 거의 매해 산울림 소극장에서 장기 공연을 갖는다. 심각한 상황을 우스꽝스럽게 연출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등장인물들의 대사가 가슴 아프게 와닿는 것이 특징.

패트릭 스튜어트와 이안 맥켈런의 공연을 보려면 이 영상을, 로빈 윌리엄스와 스티브 마틴은 여기를 참조하자.
  1. 그래서 이 이야기의 주제는 '사람은 같이 있어도 결국은 혼자'라는 뜻이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2. 에스트라공이 '가자'고 할때마다 고도를 기다려야한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준다.
  3. 흥미롭게도 항상 가자고 재촉하는 것은 에스트라공이지만, 극의 마지막에서 가자고 하는 사람은 블라디미르이다.
  4. 상대역 블라디미르가 패트릭 스튜어트. 매그니토프로페서X
  5. 극중에서 대사가 단 두 문장뿐이다. 하지만...
  6. 이 연설 때문에 등장인물 모두가 괴로워하고 마침내 블라디미르가 럭키의 모자를 벗김으로써 끝이 난다
  7. 형이 있다는 대사로 동일인물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떡밥을 흘리지만, 별로 중요하지 않은듯
  8. 사실 케첩이었다.
  9. 저 위의 양치기 소년이 약간 허름한 한복을 입고 나온다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