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려(高麗)
1.1 고구려의 다른 이름
장수왕 시대에 국호를 '고려'로 변경했다고 한다. 고구려를 구성하는 세 자 중에 다른 두 글자와는 달리 句가 별로 좋은 뜻이 아니어서 뺐거나[1] 발음의 변화를 반영했다고 여겨진다. 중국사서에는 이후 '고려'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삼국사기에는 통일성을 위하여 고구려라고 표기했다.
麗(려) 자가 나라 이름으로 사용될 때는 '리'라고 읽힌다는 점을 들어 고구려를 고구리, 고려를 고리라고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고구려발해학회에서 발표했던 서길수 교수의 高句麗 소리값 연구. 이 연구에 따르면 高句의 소리값은 '고구'가 맞지만 麗의 소리값은 '리'다.) 고구려가 최초로 음차표기된(중국 전한시대의 서적인 '논형') 단어인 高離(고리)의 離(리)는 음차표기 되었던 전한시대 당시에는 rje(례)에 가까운 발음을 가지고 있었다. 고구리아, 고리아
이를 보여주는 예로 '한서'에서는 '알렉산드리아'가 烏弋山離(아익산리)로 적혀 있다. ria를 離로 적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에 녹음기가 없는 이상 고구려인들이 자신을 뭐라고 불렀는지 현재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일단은 고려시대 후기, 조선시대에도 고려라고 불렀던 것으로 추정된다. 소고구려나 후고구려(보덕국)도 같은 이름을 썼을 것으로 추정된다.
1.2 보덕국
1.3 요동지방의 소고구려국
그 존재와 독립국가로서 정체성에 의문, 논란이 있다. 소고구려 문서 참고.
1.4 서북한 일대의 고구려계 토호 세력
고구려 멸망 이후 등장. 황해도 일대의 토호의 경우 외연상으론 신라의 통제하에 있었으나 사실상 독립 세력. 후일 패서 호족으로 발전한다.
1.5 발해의 자칭
발해는 당에서 책봉한 국호인 '발해'를 이름으로 사용했지만, 문왕과 무왕 때 일본에 보낸 외교 문서에서 발해가 고구려 영토의 부여 민족이라고 주장하거나 발해왕이 고려 국왕이라고 주장한 기록이 있다. 즉, 발해의 고(구)려 계승을 나타내는 기록과 발해가 '고려'라는 이름으로 불린 기록이 존재한다. 다만 이것이 타칭인지 자칭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어차피 일본에 보낸 서신에 고려국왕이라 자칭한 것밖에 없어서 전후 맥락을 따저보건대 일본인들이 과거에 고구려와 친선관계를 유지하던 것을 이용한 외교적 수사일 확률이 있다.
1.6 후삼국시대의 국가 후고구려의 원래 이름
901년 궁예가 세운 나라. 고려(즉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미에서 붙은 국호다. 그러나 904년 국호가 마진으로 바뀌었고, 911년 태봉으로 다시 국호가 바뀌었으며 918년 멸망했다. 흔히 알려진 후고구려라는 국호는 궁예가 지은 것이 아니라 후대에 두 나라를 구별하기 위해 '후'를 붙인 것이다. 고조선의 '고'와 같은 경우다. 김부식은 왕씨 고려의 정통성이 훼손되니까 이 사실이 부끄러웠는지 궁예가 901년 왕을 칭한 사실만 기록하였다. 그러나 삼국유사 연표에 고려라는 국호로 901년 건국한 것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다.
1.7 왕건이 세운 한국 역사상의 왕조
한국 사람이라면 대부분 이 고려를 떠올릴 것이다.
1.8 Korea, 우리 민족, 국가, 문화권의 통칭
한국, 조선과 함께 우리 민족, 국가, 문화권의 통칭으로서 '고려'라고도 한다. 한자 문화권을 벗어나면 남북한이 함께 '고려'라는 말에서 나온 'Korea/Corea' 계통의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는데다가, 남한의 고려대학교나 북한의 고려항공에서 보이듯이 우리 민족 국가의 통칭으로도 쓰인다.
이런 쓰임새를 가진 비슷한 단어로 (삼)한과 조선이 있다.
한자 문화권인 옆나라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통용된다(다만 '고려'보다는 '조선'이 더 많이 쓰인다). 한반도의 왕조가 고려에서 조선으로 바뀐 후에도 중국, 일본에선 당시 조선 사람을 '고려인'(혹은 '한인(韓人)')이라 부른 사례가 있다.(일본이 당이 망한뒤에도 중국을 가리켜 당이라 부른것과 비슷한거일듯 하다.) 조선의 임진왜란 당시 항왜원조(抗倭援朝)(중국식 표현)에 적극적이었던 명나라 만력제의 별명 역시 '고려천자'였고, 프랑스 출신 예수회 선교사 장 밥티스트 레지(1663~1738) 신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18세기에도 중국인(청나라)들은 조선을 일상적으로 까우리궈(고려국)으로 부르고 있었다. 중국의 경우엔 지금도 우리 민족 사람을 욕하는 말로 '가오리방쯔'(高麗棒者, 고려 놈)란 말을 쓸 정도. 러시아 연해주와 구소련 지역이었던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역시 이러한 예다.
2 무협지에 나오는 새외 세력
해동 문서 참고
3 태권도 초단 품새
고려(품새) 문서 참조
4 고려(考慮)
'생각하고 헤아려 봄'이라는 의미를 지닌 명사. 안 하겠습니다를 우회적으로 표현할 때 주로 이용되기도 한다. 비슷한 용례로 '선처하다', '생각해보겠네'가 있고, 후자로써는 '힘들겠습니다', '나중에'가 있다.
5 보드게임 고려
대한민국 보드게임 작가인 김건희가 약 1년에 걸쳐 개발하고 프랑스 보드게임회사인 문스터게임이 퍼블리싱한 작품으로 10세기 고려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 구절 구(句) 자가 특별히 나쁜 뜻을 가진 글자는 아니지만, 이 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두 자가 높을 고(高), 아름다울 려(麗)로서 구 자만 빼면 완벽한 미칭이 된다. 게다가 고구려와 가까운 주요 국가의 공식적인 국명이 夫餘, 百濟, 新羅 등으로 대개 두 글자라는 사실도 신경쓰였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