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계 혈족 관계 호칭 | ||||||||||
종고조 | 고조 / 고조모 | 고대고모 | ||||||||
재종증조 | 종증조 | 증조 / 증조모 | 증대고모 | 내재종증조 | ||||||
삼종조 | 재종조 | 종조 | 할아버지(조) / 할머니(조모) | 대고모(왕고모) | 내재종조 | 내삼종조 | ||||
재당숙(재종숙) 재당고모(재종고모) | 당숙(종숙) 당고모(종고모) | 백부, 숙부 | 아버지(아빠, 부) / 어머니(엄마, 모) | 고모 | 내당숙(내종숙) 내당고모(내종고모) | 내재당숙 내재당고모(내재종고모) | ||||
삼종형제자매 | 재종형제자매 | 종형제자매 | 형제 형(오빠), 남동생 | 나 | 자매 누나(언니), 여동생 | 내종형제자매 | 내재종형제자매 | 내삼종형제자매 | ||
재종질 | 종질 | 조카(질) | 아들, 딸 | 조카(생질) | 내종질 | 내재종질 | ||||
삼종손 | 재종손 | 종손 | 손자, 손녀 | 이손 | 내재종손 | 내삼종손 | ||||
재종증손 | 종증손 | 증손 | ? | 내종증손 | ||||||
재종현손 | 종현손 | 현손 | ? | 내재종현손 | ||||||
남자 혈족 | - | 여자 혈족 | ||||||||
범례 | 이촌 | 삼촌 | 사촌 | 오촌 | 육촌 | 칠촌 | 팔촌 | |||
5대 이상의 조부 | 현조 | 내조 | 곤조 | 잉조 | 운조 |
친족 촌수 명칭 | |||||
삼촌 | 사촌 | 오촌 | 육촌 | 칠촌 | 팔촌 |
姑母
1 개요
아버지의 누이. 어머니의 시누이. 아버지의 누나나 여동생이 여기에 해당한다. 촌수로는 3촌에 해당하나, 이모와 마찬가지로 고모를 촌수로 호칭하는 경우는 없다. 이모도 똑같이 촌수로 부를 일이 없는 게, 이모는 원래 외고모(外姑母)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넓게 보면 아버지의 친누이 말고도 아버지의 일가 누이도 고모라고 한다. 고모의 남편은 고모부[1]라고 한다.
2 트리비아
- 다른 친척과 마찬가지로, 아버지와 친가 및 고모와의 관계나 친밀도에 따라 어머니에 버금갈 정도로 친한 사이가 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그냥 아줌마 이상으로 마주칠 일이 없게 되기도 하고, 드물지만 심하면 아예 철천지 원수처럼 지내기도 한다. 보통 이쯤이면 그 집안 전체와 그렇게 지낼 확률이 높지만.
- 고모의 아들/딸은 고종사촌이라고 한다. 그런데 고종사촌의 입장에서 나는 외사촌이다. 이건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너무 당연하다. 나에게 고종사촌은 고모의 자식이지만, 고종사촌의 입장에서는 어머니의 남자 형제, 즉 외삼촌의 자식이 되기 때문.
- 요새는 촌수와 나이에 관한 호칭이 복잡해서인지 결혼하고 아기 낳은 새댁들이 시누이를 보고 뭉뚱그려 '고모'라고 부르는 경우가 늘었는데, 애들한테나 고모지 자신한테는 고모가 아니라는 걸 명심하자. 물론 애들 입장에서 부르는 거라면 맞지만.
정 그렇게 부르고 싶으면 '○○네 고모' 이렇게 불러.
- 일반적으로 이모보다 예쁘지 않다는 고정관념이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성 높은 남자와 여성성 높은 여자가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다. 여성성 높은 여자의 자매는 여성성이 높을 확률이 높지만 남성성 높은 남자의 누이는 남성성이 높을 확률이 높다. 결국 확률적으로 고모가 이모보다 남성성이 높을 확률이 높기에 고모는 이모보다 예쁘지 않다라는 생각이 일반화 된다.
- 어째서인지 드라마 속에서 노처녀 역할로 자주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높은 확률로 개그 캐릭터(...)가 된다.
3 고모인 캐릭터
주인공을 기준으로 한 고모인 캐릭터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