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인칭 대명사

부계 혈족 관계 호칭
종고조고조 / 고조모고대고모
재종증조종증조증조 / 증조모증대고모내재종증조
삼종조재종조종조할아버지() / 할머니(조모)대고모(왕고모)내재종조내삼종조
재당숙(재종숙)
재당고모(재종고모)
당숙(종숙)
당고모(종고모)
백부, 숙부아버지(아빠, 부) / 어머니(엄마, )고모내당숙(내종숙)
내당고모(내종고모)
내재당숙
내재당고모(내재종고모)
삼종형제자매재종형제자매종형제자매형제
(오빠), 남동생
자매
누나(언니), 여동생
내종형제자매내재종형제자매내삼종형제자매
재종질종질조카(질)아들, 조카(생질)내종질내재종질
삼종손재종손종손손자, 손녀이손내재종손내삼종손
재종증손종증손증손?내종증손
재종현손종현손현손?내재종현손
남자 혈족-여자 혈족
범례이촌삼촌사촌오촌육촌칠촌팔촌
5대 이상의 조부현조내조곤조잉조운조
언어별 명칭
영어I
프랑스어Je
독일어Ich
중국어
일본어 私(わたし) 私(わたくし) 俺(おれ) 僕(ぼく) , あたし、わし、あたい
러시아어Я
인도네시아어Saya / Aku
터키어Ben[1]
그리스어εγώ(ego)

I-Heart-Me-Facebook-Cover.jpg

유의어: 저(존댓말), 소자, 고(왕의 자칭), 짐(황제의 자칭), 이 몸, 이 사람, 애가(청나라 태후의 자칭), 본궁(청나라 빈이상의 자칭)

내가 쓰면 나, 네가 쓰면 너, 그래도 나는 나.
는 세상을 보는 존재다. 세상엔 수많은 가 있고, 의 수만큼의 세상이 있다

지금 이시간 이 나무위키에 글을 쓰거나 읽고 있는 당신 이 글을 쓴 나의 시점으로는 너

시간과 공간과 국적과 인종과 종교와 성별과 성격과 기타 모든 걸 초월한 모든 작품속 최강의 주인공
나의 여름방학 시리즈에서는 진짜로 주인공 이름이 '나'다!

"'나'란 뭘까요?" 라는 질문에 "인칭대명사"라고 대답하는 썰렁한 유머도 있었다.

전설적인 위너

어원적으로는 상고중국어 我(ŋa)에서 왔다. 일본어 我(わ)도 마찬가지.

원칙적으로 예사말에 속하지만, 불특정 화자에게 대고 이야기할 때[2]에는 존대어투에도 인칭대명사 '나'가 쓰일 수 있다. '저'는 좀 더 겸손한 표현으로, 존댓말에 해당한다.

'나'에 대한 내용이 말하기 껄끄러운 사항에 대해서는 '친구의 친구'라 칭한다. 사실 틀린말은 아니다. 나 또한 내 친구의 친구니까. 내가 아는 사람이라고 해도 된다

한국어를 포함한 일부 언어에서는 나보다는 우리를 선호한다. 특히 우리 , 우리 가족, 우리 남편, 우리 학교, 우리나라 등등.

초등학교에선 일기 쓸 때 나는이라는 말을 쓰면 안 된다고 가르친다. 일기는 서술의 주체가 자기 자신임이 자명하므로 주어를 생략할 수 있다.[3]생략할 수 있다고 했지 꼭 생략하라고는 안했다. 표현 반복을 피하고 언어의 경제성을 유지하려면 주어를 없애는 게 옳다. 사실 '나는'으로 칸 채워서 숙제 대충 해 오지 말라는 뜻일 수도 있다. "나는"을 3인칭으로 적으면 이렇게 된다 같은 이유로 오늘이란말도 쓰지 말라고 한다. 나는 오늘 밥을 먹었다.->밥을 먹었다. 되게 어색하고 딱딱하다.

'나' 자신에게 제일 소중한 사람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소설 등에서 서술자에게 특정한 이름이 없을 때 그를 '나'라고 칭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인칭대명사와 구분하기 위해 작은따옴표를 붙이는게 포인트. 1인칭 관찰자 시점에서 진행되는 경우에 많이 보인다.

참고로 복수형은 도플갱어 '우리'이다.

이곳에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1.1 영어에서

한국어에서 "나"라고 말하는 것을 영어에서 말할 때는 'I'보다는 'Me'로 말하는 것이 더 옳다. 누군가 본인을 불렀을 때, "나?"라고 하면 "Me?"라고 한다든지, "Who wants some grapes?"이라고 하면 "Me!"라고 대답한다든지.[4] "Who, me?" ("누구, 저요?")

2 shino의 남주인공

작중 대학을 다니고 있는 아주 평범한 대학생. 부모와는 떨어져서 자취중이다. 소꿉친구이자, 여동생같은 존재 하세쿠라 시노를 아주 아끼고 있다. 아니, 아주 위험하다. 항상 시노에게 가족이 되어주고 싶다고 말하고 있는데 피가 연결되지 않은 남자와 여자가 가족이 된다는 건 보통 결혼을 의미하기 때문에(!) 아마도 로리콘이 틀림없는듯 하다. 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아주아주 귀여운 동생이나 딸 취급. 자신이 말한 바로 자기가 딸을 낳으면 팔불출 아빠가 될거라고.그러니까 결국 위험하지는 않은 수준의 로리콘

시노와 가족이 되길 원하기 때문에 궁핍한 살림에도 불구하고 아르바이트를 늘리면 늘렸지 절대로 시노의 부모님에게 식비라든가 양육비를 받지는 않는다. 이미 시노의 부모님 역시 '나'를 데릴 사윗감으로 여기고 있는지 가끔 데리고 나가서 고급 레스토랑에서 외식을 시켜준다던가 아니면 장래를 생각하여 인맥을 형성하는 파티에 데리고 가준다던지의 행동을 하고 있다. 3살 연상의 경찰관 지망생인 대학선배 코노이케 키라라에게 휘둘려 시노와 함께 여러가지 사건에 말려든다. 3권에선 납치, 4권에서는 총도 맞고 6권에선 살인사건의 증인이 되기도 하는 등 여러가지 의미에서 히로인 포지션이다. 그리고 어째서인지 주변에 모여드는 여자가 초등학교 5학년 & 중학교 2학년 & 초동안 선배... 왠지 어린, 혹은 어려보이는 여자들만 달라붙는다. 요리솜씨가 아주 뛰어난 건 아니지만 초등학생의 영양 섭취를 고려하여 식단을 정할 정도의 수준이긴 하다.

3 인류는 쇠퇴했습니다의 화자 겸 주인공

나(인류는 쇠퇴했습니다) 항목 참조

4 닥터후 등장인물

나(닥터후) 항목 참조

5 중국의 왕조 羅

춘추시대에 존재하던 소국으로 지금의 호북성 의성현 서쪽에 위치하였으며 건국 연대나 활동 사항이 기록되지 않아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지만 기원전 670년에 를 침공하기 위해 정탐을 하였으며 기원전 699년에 초의 공격을 받게되자 노융을 끌어들여 침공을 막아내었다.

6 한국의 성씨

나(성씨) 항목 참조.

7 KTF의 휴대폰 서비스 브랜드 'Na'

Na(KTF) 문서로.

8 1990년대 중반 MBC에서 방영한 청소년 드라마

나(드라마) 문서로.

9 과자이름 나!

해당 문서로.

10 가수 의 4집 노래

의 정규 4집 앨범 수록곡. 가사는 여기서 보면 된다.

11 그 외 동음이의어

  • 나약할 나(懦)
ex)나약(懦弱)
  • 게으를 나(懶)
ex)나태(懶態), "당신, 나태하네요?"
  •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ex)"밥은 먹었나?", "날 좀 도와주겠나?" "물 같은걸 끼얹나?" "거기 동전 좀 주워주겠나?"
  •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ex)"왜 저러나 싶었다.", "난 또 니가 술 마시고 쓰러졌나 싶었지!"
  • 스스로에 대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ex)"내가 왜 이러나", "이를 어찌 하나"
  • 서로 다른 내용의 절을 잇는 연결 어미
ex)"시작은 미약하나 끝은 창대하리라", "시도해봤으나 되지 않았다."
  • 여럿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상관없음을 알리는 연결 어미
ex)"너나 나나 똑같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기다린다."
  • 형용사 어간을 반복해 강조하는 연결 어미
ex)크나큰 시련, 머나먼 곳
추가바람
  1. 여담이지만 튀르크공통적으로는 men을 사용하는데, 유독 터키에서만 ben으로 변했다. 아제르바이잔어, 우즈벡어, 카자흐어, 위구르어 전부 1인칭 단수대명사를 men으로 칭한다.
  2. 예를 들면 대통령 선서("나는 헌법을 준수하며...중략...엄숙히 선서합니다.") 라든지,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 예문 중 "나는 학생입니다" 라든지.
  3. 하지만 이것이 되지 않는 언어는 생각보다 많다. 대표적으로, 영어는 굴절어라도 인칭에 따른 동사변형이 적기 때문에 이것이 불가능하다.
  4. 이는 현대 영어의 기본 격이 주격이 아니라 목적격이라서 그렇다. 예컨대 1인칭 대명사의 기본 형태는 'I'가 아니라 'me'고, 3인칭의 경우는 'he/she'가 아닌 'him/her'이다. 다만 영어의 격은 대명사를 제하면 그 자취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거의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에 그렇게까지 중요하게 꼭 알아야만 하는 정보는 아니다. 다행이다 다행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