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역 KTX 탈선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파일:Attachment/광명역 KTX 탈선사고/info.png

철도사고 요약도
발생일2011년 2월 11일
13시 4분경
유형열차탈선
원인정비불량
발생 위치경부고속선 광명역
서울기점 23.012km지점
탑승인원승객 149명
피해인명없음
차량KTX-산천 6량 탈선
시설레일 380여m 손상
PC침목 450여 정 파손
선로전환기 3틀 및 부속품 파손
신호설비 파손
가드레일 3m 절단
기타경부고속선 불통[1]
운영기관한국철도공사
사고열차열차번호#224
열차종별KTX-산천
출발역경부고속선 부산역
종착역경부고속선 광명역

1 개요

2011년 2월 11일 광명역 부근 일직터널에서 일어난 탈선사고.

2011년 4월 5일에 국토해양부 산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최종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보고서(PDF))

2 사고 경과

2011년 2월 11일, 새벽에 일직터널 X자 크로싱 분기기의 보수 작업이 있었다. 노후 케이블의 교체가 주요 작업으로, 이때 사고의 불씨가 만들어졌다.

아침 6시경, 선로보수차량과 KTX-산천 시운전 편성이 분기기를 통과하는 도중에 차내 신호에 의해 비상제동이 체결되었다. 관제사는 해당 편성에게 제동을 해제하고 서행을 지시하면서 신호설비 직원에게 해결을 지시한다.

6시 30분, 광명역 신호설비 보수직원에게 해당 분기기의 문제가 통보되었다. 검사 결과 밀착 검지기의 포인트부 - 크로싱부 신호의 불일치로 인한 문제였고, 보수 직원은 밀착 검지기를 정상적으로 고치는 대신 잘못된 신호를 발신하게끔 검지기를 조작했다.

분기기의 보수 이전까지 해당 분기기를 통과한 편성은 모두 비상제동 신호를 받았으나, 보수 이후에는 별다른 문제 없이 통과했다.

부산에서 오전 10시에 출발해서 광명역에서 종착할 예정이었던 KTX 제224열차(KTX-산천 3편성)이 지연으로 인해 인상선에 들어갔다 나오는 대신 문제의 분기기를 타고 되돌림 운행을 하기로 했다. 그래서 관제사가 선로 전환기를 작동시켰으나 전환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5번을 재가동했으나 그대로였고, 결국 해당 편성을 도착 플랫폼에 넣기로 하고 분기기를 원위치로 조정했다. 크로싱부는 원위치로 돌아와서 직진을 가리켰지만, 열차 바퀴가 처음 만나는 포인트부는 여전히 우선회를 가리키고 있었다.

파일:Attachment/광명역 KTX 탈선사고/crossing.png
[1]

그리고 13시 05분경, 광명역에 진입하던 사고 편성이 탈선했다. 기관차 포함 4량은 분기기에 설치된 가드레일에 의해 반대편 선로에 올라섰지만, 5번째 칸부터 가드레일이 파손되어 탈선했다. 이 날 해당구간에서 선로를 바꾼 건 이 열차가 처음이었다고.. 다행히 정차를 위해 서행운전하고 있었으므로 요통을 호소한 60대 여성 외에는 인명피해가 없었다. 게다가 KTX의 경우 바퀴가 앞칸과 뒷칸을 연결해서 지탱해 주는 형태로 되어 있어, 열차가 쓰러지지 않고 약간 기울어 지는 정도로 끝난 것도 대형참사를 막는데 도움이 되었다.

3 사고 여파

이 사고로 경부고속선 상하행 모두가 불통되어 금천구청-대전 구간을 운행하는 KTX 열차가 모두 경부본선으로 우회 지연 운행하였다. 광명역 정차는 수원역에 임시정차했고, 천안아산역 정차는 천안역에 정차했으나, 오송역 이용객은 천안역이나, 대전역(서대전역) 이용을 권장했다. 덕분에 원래부터 수원경유인 KTX를 제외한 모든 KTX가 1시간 이상 지연하게 되었고, 다른 새마을호 및 무궁화호도 KTX의 영향으로 5~20분 정도 지연운행하게 되었다. 서울역, 수원역, 천안역 등등 모든 기차역에서는 KTX 대신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의 다른 열차나, 환불하고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려는 승객으로 인해, 매표소에 긴 줄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했다. 상기한 지연운행 문제도 있고, 사고난 장소가 터널 안이라 사고 처리에 시간이 오래 걸리자 코레일은 서울, 용산역 착발 모든 주말 임시열차를 운휴했다.[2]

4 사고 원인

당초, KTX-산천의 차체결함 문제가 도마위에 올랐으나, 새벽에 선로 보수 작업[3]중 밀착 감지기를 고정하는 7mm짜리 너트 하나가 없어서 조이지 않았고, 이때문에 선로보수차량, 시운전 편성, 오전에 문제의 분기기를 통과한 2편성에 비상제동 신호가 들어왔다.

관제센터는 사고난 KTX가 지연하고 있던 상황에 바로 부산으로 다시 출발해야 하므로, 열차가 선로를 바꾸도록 스위치를 작동했다. 그러나 분기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자,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켰다. 그러나 분기기는 제대로 된 방향을 가리키지 못했고, 탈선이 발생했다.

결국은 인재다. 보선원이 제대로 너트를 조였더라면, 제대로 된 코레일 직원이 보선원이었다면, 아니, 현장점검을 한 직원이 관제센터에 알리기만 했어도 막을 수 있던 사고였다.

5 기타

사고 여담으로, 이번에도 코레일의 위기대처 능력은 최악이었다. 유사 사고가 몇번 일어난 적이 있어서 초동 대응은 빨랐지만 당시 광명역 대체로 KTX를 취급했던 수원역안내방송이 무너지고 창구가 황폐화되었다고.

그리고 이 사건에 대한 반사이익은 죄다 에어부산으로 들어갔다.

사고 편성은 2012년 6월에 복원을 개시했다.

광명역 사고 현장에 병점차량기지에서 철도용 유니목이 올라오는 등 진풍경을 연출했다.

미국 영화[4] 노잉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이 등장하였다. 뉴욕 지하철에서 위의 사건처럼 선로 전환기 이상으로 열차가 탈선하였는데, 이대로 승강장에 들어오면서 전철역 자체를 덮치는 초대형 인명 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이 열차가 당시 대통령 특벌열차였다는 얘기가 있다. 한 블로그에서 신형 산천으로 교체되기 전에는 현역으로 뛰었다가 광명역 탈선 사고로 인해 일반 갤실로 환원되었단 내용이 서술되어 있는데 사진은 터널 내에서 산천 열차의 동력차가 심히 탈선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사실들을 조합하면 해당 열차는 바로 대통령 특벌열차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2])
  1. KTX 기존선 우회
  2. 하지만 그 와중에 2010년에 잠깐 운행한 서울-동대구 누리로가 임시부활했다.
  3. 이게 코레일 인원 감축뒤에, 용역업체에 위임한거란다. 그리고 그 인원감축과 용역업체 위임의 이유는 2005년부터 시작한 코레일 경영합리화.
  4. 제작은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도 참여하였으나, 배경이 미국이기에 미국 영화로 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