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 |||||
7호선 | |||||
장암 방면 고속터미널 | ← 2.2 km | 내 방 (735) | → 1.0 km | 부평구청 방면 이 수 |
內方驛 / Naebang Station
내방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Naebang |
한자 | 內方 |
중국어 | 内方 |
일본어 | ネバン |
역번 | |
서울 지하철 7호선 | 735 |
300px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도착표시기 LCD 교체 전)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 103 (舊 방배동 874-16) | |
서울 지하철 |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
7호선 개업일 | 2000년 8월 1일 |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 735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 103(舊 방배동 874-16번지) 소재.
2 역 정보
기존 서울 지하철 2호선에 방배역이 이미 있으므로, '방배동(方)의 안(內)에 있다'는 의미로 內자를 써서 내방역이라고 하였다. 참고로 방배역은 이 역 남쪽에 있다.
이곳에는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부터 신대방삼거리역까지를 총괄하는 내방영업관리소가 위치해 있었으나, 2016년 1월 달에 이수역으로 옮겨서 이수영업관리소로 변경되었다.
막차 시간대에 내방행 열차가 상하행으로 하나씩 있다. 내방역을 출발하면 옆에 유치선이 보일 것이다. 그곳에서 주박. 근데 하행 내방행은 이상하게 내방행 다음으로 부평구청행-온수행-신풍행-종료이다. 보통 막차는 종점이 먼 곳부터 끊기는 점을 감안하면 내방행이 맨 뒤에 있어야 할 텐데.
6번 출구의 에스컬레이터 방향이 반대이다. 좌측통행으로 되어 있는데 처음 와본 사람들은 많이 당황해한다.
2.1 승강장
고속터미널 ↑ | |||
하 | ㅣ | ㅣ | 상 |
↓ 이수 |
상 | 서울 지하철 7호선 | 고속터미널·사가정·공릉·장암 방면 |
하 | 서울 지하철 7호선 | 이수·대림·부천종합운동장·부평구청 방면 |
3 역 주변 정보
도보(성인 남성 기준)로 10분 정도면 방배역으로 갈 수 있다. 근방의 막장환승 이수역을 피하고 싶다면 추천
역 주변은 주택지역이 밀집해 있으며, 역 동쪽에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야산이 있다.
이 산을 뚫어 건설하는 장재터널이 2019년 2월 완공을 목표로 공사중이다.[1] 이 지역은 1970~80년대 강남 개발 당시부터 국군정보사령부가 위치한 탓에 길이 뚝 끊기고 개발이 꽁꽁 묶여 있던 소위 '강남에 마지막 남은 금싸라기 땅'으로, 터널이 뚫리거나 개발이 풀려 댕강 잘린 서초대로가 연결되면 거리상으로 가까운 내방역-서초역 간을 빙 돌아가야 했던 불편함이 크게 줄어들 것이다.
파일:MyRoom.png
역명 때문에 이러한 언어유희적 짤방도 나왔다.
파일:Attachment/내방역/himmeloderHölle.jpg
천국 또는 지옥으로 유명한 이 짤방은 내방역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7호선[2]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092명 | 1998명 | 1458명 | 1449명 | 1488명 | 1001명 | 1113명 | 1005명 | 1044명 | 1053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029명 | 1026명 | 1024명 | 1015명 | 912명 | 954명 |
- ↑ 「[실시간 현장사당이수개발계획, 장재터널 착공 호재…서초동·방배동 일대 상가건물 관심」, 2016-03-09, 매일경제]
- ↑ 역별 수송수입현황, 서울도시철도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