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 |||||
7호선 | |||||
장암 방면 면 목 | ← 0.9 km | 사가정 (722) | → 0.8 km | 부평구청 방면 용마산 |
四佳亭驛 / Sagajeong Station
사가정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Sagajeong |
한자 | 四佳亭 |
중국어 | 四佳亭 |
일본어 | サガジョン |
역번 | |
서울 지하철 7호선 | 722 |
300px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1]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 지하 393 (舊 면목동 495) | |
서울 지하철 |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
7호선 개업일 | 1996년 10월 11일 |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 722번.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 지하 393(舊 면목동 495번지) 소재.
2 역 정보
행정동상 면목3동(1,2번출구)과 7동에 있으며, 역 이름은 조선시대의 문신인 서거정(1420~1488) 선생의 호인 사가정에서 유래했다. 대략 세종 말엽에서 성종 때까지 활동한 인물로 이 역 주변의 용마산 부근에서 서거정이 거처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주변에 그의 호를 딴 '사가정공원'이라는 공원도 있고 공원 곳곳에 서거정의 시를 새긴 조형물들이 세워져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한명회의 호에서 따 온 압구정역과 비슷한 케이스. 한명회와 서거정은 동시대 사람이다. 동시대 인물의 호가 지하철역명으로 쓰이게 된 재미있는 케이스. 참고로 용마산 입구에서 한양사대부고 인근 까지의 직선 구간이 사가정로이며 유래는 역시 그의 호다. 노선버스론 2230과 2013이 거의 절반씩 경유(둘이 겹치는 구간은 배봉초와 전농사거리).
3기 지하철 계획 상 서울 지하철 10호선과의 환승역으로 계획되었지만, 1997년 외환 위기로 10호선이 망하고 서울 경전철 면목선으로 전환되면서 이 역 대신 면목역이 환승역으로 지정되었다. 확정된 노선은 장안교를 지나 홈플러스 면목점을 지나기 전에 좌회전해 동일로를 지나는 구간이지만, 확정 되기 이전에는 홈플러스 면목점을 지나 사가정역을 환승역으로 만든 뒤 신내동으로 노선을 뽑자는 의견들이 많았다. 결국 환승역이 면목역으로 지정되면서 당시 사가정역 1번 출구 병원 건물 (지금은 롯데리아 건물) 앞에서는 잘못된 결정에 반대한다는 플래카드가 한참동안 걸려있기도 했다.
2.1 승강장
면목 ↑ | |||
하 | ㅣ | ㅣ | 상 |
↓ 용마산 |
상 | 서울 지하철 7호선 | 상봉·태릉입구·도봉산·장암 방면 |
하 | 서울 지하철 7호선 | 군자·신대방삼거리·철산·부평구청 방면 |
3 역 주변 정보
면목역과 마찬가지로 역 주변은 단독주택 위주의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주변에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이용 인구가 옛날에 비해 굉장히 늘어났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타고 내리는 역. 사가정역 2번 출구로 옆에 KFC가 있다. KFC 옆에는 할리스 커피가 생겼다가 무슨 이유에서인지 없어지고 지금은 던킨도너츠가 생겼다. 참고로 던킨도너츠는 사가정역에서 조금 떨어진 면목우체국 앞에 있다가 장사가 잘 안 되자 없어지고 한참만에 사가정역으로 다시 들어온 케이스.
개통 당시에는 입구가 2번 출구까지밖에 없었지만, 확장공사로 4번 출구까지 늘어났다. 사가정로와 연결되는 용마터널 및 구리암사대교 개통으로 이 역 인근의 계속된 발전이 예상된다.
1번 출구 앞에는 롯데리아와 조그만 공터가 있는데 이 곳이 유명한 사가정역 현피의 성지이기도 하다.
오락실은 동원오락실이 존재한다.
4 기타
파일:Attachment/1358316197 K6etoqwr 77878887.jpg
던전입구 짤이 이 역에서 나왔다. 정확히는 에스컬레이터 공사 이전의 1번 출구.
5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7호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1,287명 | 14,037명 | 14,575명 | 14,918명 | 14,490명 | 14,943명 | 14,883명 | 15,407명 | 15,792명 | 15,985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6,649명 | 17,471명 | 17,292명 | 17,234명 | 17,158명 | 16,846명 |
- ↑ 연장개통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