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호라이즌스


htm_2006012106153640004100-001.JPG
뉴 호라이즌스의 탐사개요도. 잠깐...저거 설마....!?

1 개요

NASA의 뉴 호라이즌스 페이지. 정보가 더 필요한 사람들은 여기 들어가서 정보를 얻어 보자. 여기도 있다.

New Horizons. 미국NASA New Frontiers Program의 첫번째 임무로 발사된 명왕성 탐사선.[1]

임무의 목적은 명왕성과 그 ,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는 것. 인류 최초로[2] 명왕성에 근접하는 탐사선이다. 정작 발사된 바로 그 해에 명왕성은 행성 지위를 잃었다는 게 좀 안습하지만…

2006년 1월 19일 플로리다의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현존 로켓중 가장 강력한 발사체인 아틀라스V-551 로켓을 사용하여 발사되었으며, 그 다음해인 2007년 목성중력을 이용한 스윙바이를 통해 22.85km/s로 가속하였다. 2015년 1월 15일부터 2016년 1월까지 약 1년간의 일정이 잡혀있다. 이 때 발사 탈출 속도가 16.26km/s로 인류가 만들어낸 가장 빠른 발사체로 기록되었다.

2015년 7월 14일 오후 8시 50분 (한국시각), 명왕성에 최소 12,500km 거리까지 접근하여 플라이바이 (flyby) 하고 떠났다. 즉 명왕성에 접근만 하고 궤도를 돌진 않은 것이다. 물론 착륙도 하지 않았다. 톰보 유골 어쩔 거야![3] 탐사선이 스윙바이로 목성의 힘을 빼앗아 속력을 낸 것이다 보니, 명왕성이 가지는 인력보다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이 가지는 속도의 힘이 더 강한 탓이다. 더불어 명왕성을 공전하기 위해서는 연료 분사를 통해 속력을 훨씬 (명왕성의 탈출 속도 밑으로) 줄여야 하는데, 뉴 호라이즌스는 최대한 빨리가기 위해 무게를 줄이느라 그럴 연료도 엔진도 실려있지 않다.
0
2016년 9월 29일 16:00 정각(UTC)기준 지구에서 36.44AU(약 54.5억 km)정도 떨어진 지점(태양까지 36.57AU, 명왕성에서 3.53AU = 빛의 속도로 5시간 3분 3초)에서 14.36km/s의 속도로 궁수자리 방향으로 항해하고있다.

2 경과[4]

2.1 발사

2006년 1월 19일에 촬영된 발사 장면.

2.2 명왕성 탐사 이전

뉴 호라이즌스가 지구와 달을 제외하고 가장 먼저 포착한 건 2.3km의 소행성 APL[5]이다.

파일:NMvsZqK.jpg
두 개의 점 중 아랫쪽은 336만 km에서, 윗쪽은 136만 km에서 찍은 APL의 모습이다

700px
뉴 호라이즌스는 2007년에 목성의 중력을 이용해 스윙바이했는데, 위 사진은 그 때 촬영한 목성의 모습이다. X선을 이용해 촬영했으며 즉, 저만큼의 X선이 뿜뿜[6], 극지방의 오로라가 인상적이다.

700px
뉴 호라이즌스가 촬영한 이오의 모습이다. 분출하고 있는 화산을 볼 수 있다.

700px
목성과 이오를 합성한 사진. 목성은 2007년 2월 28일, 이오는 3월 1일에 찍혔다.

2.3 명왕성 탐사

파일:BB5Jd1b.gif
2015년 1월 25일에 본격적인 명왕성 탐사를 시작했다.

700px
나사에서 공개한, 2015년 4월 30일에 촬영된 사진이다.

http://i.kinja-img.com/gawker-media/image/upload/sVAfIFWUR/c_fit,fl_progressive,q_80,w_636/ayaclfjn7kjyluv1cm0d.jpg
뉴 호라이즌스가 찍은, 최초의 명왕성 컬러 사진을 나사에서 공개하였다. 위 사진보단 이른 4월 9일에 찍힌 사진이다.

dnews-files-2015-06-pluto-sharpens-670x440-150611-jpg.jpg

2015년 6월에 찍힌 사진이다. 예전보다 더 선명해졌다.

700px
2015년 6월 20일에는 명왕성과 그 주위를 도는 카론컬러 움짤이 공개되었다!! 부왘을 울려라
잠깐 컬러 사진의 생성 원리를 알아보자면, 뉴 호라이즌스호에는 (후술하겠지만) 모노크롬 카메라인 LORRI와 색상 데이터 수집 장치인 Ralph가 장착되어 있다. 컬러 사진은 두 데이터를 적절하게 합쳐 만들어진 것인데, Ralph의 색상 데이터만 가지고서는 화질이 너무 낮기 때문이다. 밑에서 보게 될 컬러 사진들 역시 LORRI의 흑백 데이터와 먼저 수집한 Ralph의 색상 데이터를 합성한 것이다.


2015년 6월 23일 공개된 사진이다. 사진이 점점 선명해져가는 것이 눈에 띈다.


2015년 7월 1일, 명왕성과 카론의 고화질 흑백 움짤이 공개되었다. 5월 28일부터 6월 25일까지 촬영한 사진들을 합성한 것. 6월 20일자보다는 화질이 훨씬 상향되었다. 당연한 거 아닌가[7] 또한 이날 PEPSSI펩시콜라말고[8]가 명왕성 대기 속에서 메탄의 존재를 확인했으며, 뉴 호라이즌스는 마지막 가속을 실시했다.


2015년 7월 2일에 공개된 컬러 이미지. 명왕성과 카론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하루만에 화질이 이 정도로 상향되는 것을 통해 뉴 호라이즌스호가 얼마나 빠른지 짐작할 수 있다.


2015년 7월 4일에 추가된 고화질 컬러 움짤, 6월 23일에서 29일까지 촬영된 사진을 합친 것이다. 거리는 약 2400만km에서 1800만km. 명왕성과의 거리가 서서히 가까워져가는 것이 보인다.


7월 7일 추가된 사진이다. 7월 1일부터 3일까지 찍은 사진들이 공개되었다.


화질이 참으로 안습하구나.
7월 8일에는 명왕성의 지도가 공개되었다. 화질은 뉴 호라이즌스호가 명왕성에 접근하면서 차차 좋아질 것이라고 한다. 지도 왼쪽 부분의 어두운 지역을 "Whale"(고래)이라고 부른다는 듯하다. 이것이 바로 공대개그


명왕성 지도의 구글 어스 오버레이. 이마저도 남반구가 없다. 내가 반토막이라니!


2015년 7월 9일차 사진이다. 전과 비교해서 화질이 확실히 선명해진 것을 볼 수 있다.

CJjpvufUcAABavu.jpg
그 와중에 NASA의 SNS 계정 헤더에서는 저 밝은 부분이 하트 모양이라고 드립 치고 있다(...) 달에 토끼 산다는 거랑 같은 맥락이지.


2015년 7월 10일에 추가된 명왕성과 카론의 사진. 7월 8일에 촬영된 사진으로 탐사선과의 거리는 약 600만km이다.


2015년 7월 11일, 명왕성의 구체적 지리정보가 담긴 새 이미지가 공개되었다. NASA는 이 사진을 "Houston, We Have Geology!" 란 제하에 업로드. 게시물 보기 이제는 자기 스스로를 개그 요소로 쓰고 있다. 아무래도 NASA 안에 드립 전문 직원들이 있는 모양이다.


같은 날에 찍힌 명왕성과 카론의 사진.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합성한 것이다. 카론이 명왕성과 저렇게 가까이 붙어있을 수는 없다.


2015년 7월 12일차 사진이 업로드되었다.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포착되었던 네 개의 점들이 이전보다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 이후로는 궤도상 네 개의 점이 위치한 면을 관찰할 수 없게 된다. 즉 저 사진이 우리가 선명한 네 개의 점을 볼 수 있는 마지막 사진이라는 것이다.

700px
레딧의 markster3000이란 이름을 가진 유저가 편집한 움짤이다. 올해 5월 26일부터 7월 12일까지 촬영된 사진들을 한데 모은 것이다. 맨 마지막, 7월 12일자 사진의 거리는 사실 310만 킬로미터인데 잘못 표기했다고. 레딧에 올라온 것은 7월 13일.


7월 13일에는 명왕성의 위성인 카론의 사진이 공개되었다. 두 번째 사진에서 카론의 지형들이 밝혀졌는데, 가장 상단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지점은 북극의 어두운 지역이며, 좌측 하단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지점은 충돌에 의한 크레이터, 우측 하단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지점은 균열이다.


7월 14일, 플라이바이 몇 시간 전에 공개된, 명왕성, 카론, 지구의 크기를 비교한 그래픽.


그리고...

Hello #Pluto! We’re at closest approach. Congrats to all!


2015년 7월 14일 20시 49분 (현지 시각 (UTC - 4, EDT) 07시 49분), 발사 후 9년 6개월 만에 최근점에 도달했다.[9] 이때 뉴 호라이즌스의 속도는 초속 약 14킬로미터였다.[10] 레딧의 /r/space 서브레딧에서는 플라이바이 12시간 전부터 그 과정을 생중계했으며 (코멘트들), 뉴 호라이즌스 트위터 계정의 공식 트윗은 올라오자마자 폭발적으로 리트윗되어 14일 21시 50분에 3만, 23시 41분에 4만, 15일 14시 02분에 5만을 찍었다.


15일 오전 3시 47분경에 올라온 명왕성과 카론의 적외선 컬러 사진. 거리는 아니지만 크기는 실제 크기와 비율이 같다.

파일:/image/001/2015/09/11/AKR20150911147600009 07 i 99 20150911162505.jpg

카론(위)와 명왕성(아래)의 최고화질 사진. 명왕성사진 원본, 카론사진 원본
그 이외에도 몇 개 있다.

9월 10일 고용량의 명왕성 전체 사진이 공개되었다.

명왕성의 표면 지도 사진. 모바일은 데이터 주의 바람.

이제 뉴 호라이즌스호는 카이퍼 벨트를 향한 긴 여정을 시작할 것이다.

2.3.1 위기

7월 5일, NASA는 뉴 호라이즌스호가 안전모드로 기동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때는 통신까지 두절되었으며, 통신이 재개된 이후에도 안전모드에 걸려있는 기능상의 제약 탓에 사진 전송 등은 불가능했다. 통신불능에 빠진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므로 당장은 통상모드로 돌릴 수 없었다. 국내기사, 나사 홈페이지 그리고 7월 7일, 다행히 다시 정상으로 돌아왔다. 원인은 과부화로 인한 시스템 리셋, 이로 6개월에 걸친 업데이트 데이터가 날아갔고, 복구를 위해 3일 밤을 새가면서 다시 업로드했을땐 원래 촬영 계획에서 4시간 전이였다고.나사 홈페이지

2.4 명왕성 탐사 이후

다음 탐사 타겟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은 카이퍼 벨트 소속 천체인 2014 MU69(PT1)와 2014 OS393(PT2), 2014 PN70(PT3)이다.
셋 다 허블 망원경이 발견했으며 현재로서는 각각의 목표에 근접하게 될 가능성은 순서대로 100%, 7%, 97%이다 [11]


주황색 선과 점들로 이루어진 궤도가 2014 MU69의 궤도이다.


2014 MU69과 2014 MT69의 모습이 담긴 사진. 2014 MT69는 궤도에 변수가 많아 탐사 후보에서 제외되었다

파일:1994 JR1 by new horizons.gif
2015년 11월 2일 명왕성 근방의 카이퍼 벨트 천체인 1994 JR1을 2억 8천만 km 떨어진 곳에서 촬영했다. 1994 JR1은 유일한 명왕성의 준위성이기도 하다.

Quaoar animation dark crsub circle.gif
7월 13일 ~ 7월 14일에 걸쳐서 콰오아를 21억 km 떨어진 곳에서 촬영했다.

3 시스템 및 탐사장비

탐사선들이 사용하던 기존의 RAD6000이나RAD750과는 다르게 뉴 호라이즌스호의 컴퓨터는 SONY사의 플레이스테이션기반 시스템을 사용한다.

  • 시스템 사양

CPU : SYNOVA Mongoose-V[12]
코어클럭 : 12MHz
L1 캐시 : 8KB (2KB 인스트럭션 + 2KB 데이터 + 4KB 백업)
L2 캐시 : 2MB
메모리 : 32MB DRAM
버퍼 메모리 : 8GB [13]
코어수 : 1
저장장치 : 16GB 플래시 메모리
운영체제 : 2
탐사선 : 멘터 그래픽스 Nucleous RTOS[14]
지구관제소 : 윈드리버 Vx works[15]

  • 탐사장비
  • LORRI (Long Range Reconnaissance Imager) : 모노크롬 망원 카메라.[16] 리치-크레티앙식이며 구경은 8.2인치.
  • PERSI (Pluto Exploration Remote Sensing Investigation) : PERSI는 2개의 기기를 포함한다. 흑백/컬러 카메라 Ralph, 명왕성 대기의 구성과 구조를 조사하는 '자외선 화상 스펙트럼 관측기' Alice가 그것들이다.
  • PAM (Plasma and high energy particle spectrometer suite) : PAM은 2개의 기기를 포함한다. 태양풍과 명왕성의 대기와의 상호작용을 조사하는 SWAP (Solar Wind at Pluto), 명왕성에서 우주공간으로 빠져나가는 대기물질을 측정하는 입자선관측기 PEPSSI (Pluto Energetic Particle Spectrometer Science Investigation)가 그것들이다.
  • REX (Radio Science Experiment) : 탐사기의 통신시스템과 일체인 실험장치. 명왕성과 카론의 대기의 온도, 압력, 밀도를 측정한다. 탐사기의 궤도변화를 세밀히 측정하여 명왕성, 카론의 질량을 구하기도 한다.
  • VBSDC (Venetia Burney[17] Student Dust Counter) : 혜성, 소행성, 왜소천체끼리 충돌하여 나오는 미세한 입자의 개수, 속도, 질량을 측량한다. 콜로라도 대학교의 학생들이 설계, 제작했다.

각종 탐사 장비 외에도 명왕성과 관련한 물품들을 몇 가지 더 실었는데, 1997년에 향년 90세로 사망한 미국의 천문학자이자 명왕성의 발견자 클라이드 톰보의 유골 1온스(약 28그램)가 든 유골함, 발사 장소인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가 자리잡고 있는 플로리다 주의 상징물들을 새겨넣은 25센트 동전 한 닢이다. 동전의 경우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죽은 자(= 톰보)가 명계(= 명왕성)로 갈 때 뱃사공인 카론(= 위성)[18]에게 내는 뱃삯을 상징한다. 크으... 로맨티스트들

여기까지 꼼꼼히 읽었다면 나사가 상당히 드립력 충만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미국항공우주드립국
  1. 제68차 정부·언론 외래어심의 공동위원회 결정안(2006. 2. 22.)에서는 'New Horizons'의 표기를 (띄어쓰기 없는) '뉴라이즌스'로 정했다 (14페이지 상단). 이는 외래어 표기를 철자가 아닌 발음 기준으로 정하기 때문이다(horizon[həráizn]). 띄어쓰기가 없는 것은 한 덩어리의 고유명사로 취급했기 때문인 듯하다. 그러나 원 철자의 띄어쓰기와 'o' 에 이끌려 사실상 '뉴 호라이즌스'로 통용되고 있으므로 본 항목에서는 '뉴 호라이즌스'로 표기한다.
  2. 보이저 1, 2호가 발사되었을 때는 명왕성이 적절한 위치에 있지 않아 탐사할 수 없었다.
  3. 명왕성의 발견자 클라이드 톰보를 말한다. 물론 전부 다 실은 것은 아니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4. 사진은 크기를 줄여서 추가 바람
  5. 이름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 물리학 연구소(Johns Hopkins Applied Physics Lab)에서 따왔다
  6. 실제로 목성은 매우 엄청난 양의 방사능을 내뿜고 있다! 바깥 15만km안으로 더 들어가면 사람은 타죽는다(...).
  7. 보통 우주 탐사선에 장착된 카메라는 흑백 카메라가 컬러 카메라보다 화소가 높다. 컬러 카메라는 색상 정보를 위해 픽셀을 나눠야 하는데 반해 (보통 적청녹) 흑백 카메라는 그럴 필요가 없다. 단순하게 계산해서, 흑백 카메라의 화소가 컬러 카메라보다 3배 정도 많아도 픽셀의 면적은 같다. 좀 더 간단히 말하면 화소가 훨씬 많아도 다른 성능이 떨어지지 않으니 집어넣는 거다. 수정바람.
  8. 입자선관측기. 태양풍에 의해 유출된 명왕성의 대기를 분석하는 장비다.
  9. 사실 위 사진이 근접점에서 찍힌 건 아니다. 전체 모양이 찍히는 사진 중에서 가장 가까운 것. 이는 근접점 통과 16시간 전에 찍힌 것이다. 실제 최근접점은 명왕성 뒤쪽에 있어서, 그곳에서 찍은 사진은 명왕성이 가는 초승달처럼 보이게 된다. 태양광이 가려진 어두운 곳에서만 관측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기 때문에 이렇게 세팅했다.
  10. 얼마나 빠른지 실감이 안 난다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30여초만에(!) 도착하는 속도이며 30만Km 떨어진 달까지 6시간만에(...) 도달할 정도로 빨리 움직이고 있다.
  11. 2014년 10월 뉴 호라이즌스 문서에서는 해당 천체에 접근하기 위해서 필요한 평균 Delta-V가 25m/s, 160m/s, 115~175m/s로 적혀있다.
  12. MIPS R3000 기반으로 제작된 32비트 프로세서. 우주 방사선에 대한 내성에 특화되어있고. 최대 동작속도는 10~15MHz 사용전압은 5v 플레이스테이션1에 사용된 CPU가 맞지만 설계 및 제작은 사이노바에서 담당한다.
  13. 디카에 사용되는 그 메모리 카드가 맞다.
  14. 탐사선 본체와 탑재된 탐사장비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을 통제하는 운영체제. 허나 3G.4G 통신을 지원하므로 통신사나 기지국들도 이 운영체제를 의외로 많이 사용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SK텔레콤이 쓴다.
  15. 지구관제소에서 각종 명령어를 전송하거나 상태유무를 감시하는 운영체제. 탐사에 필요한 모든 프로그램을 짤수있다. 주로 NASA에서 절찬리 사용중.
  16. 무채색과 한 가지의 색상만을 가지고 찍는 카메라다. 먼나라 이웃나라의 옛 판본을 떠올려보자.
  17. 톰보가 발견한 행성에 'Pluto(명왕성)'이란 이름을 붙여준 사람이다. 당시 11살의 영국인 소녀였다. 2009년 향년 90세로 별세했다. 행성퇴출은 보고 (2006년) 명왕성의 사진은 못 보았으니 여러모로 안타깝다.
  18. 실제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도 스틱스강의 뱃삯을 받는 자 이름도 '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