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몽종극

파일:Attachment/thc.jpg

東方夢終劇 ~ Concealed the Conclusion.
thC

danmaq의 작품
동방시봉성동방몽종극결계환상록 경[1]

1 소개

팀 danmaq에서 2006년에 만들어 71회 코믹마켓에서 판매한 동방프로젝트동인 게임. 동방시봉성처럼 동방탄막풍을 툴로 써서 만들어졌으며, 클리어 난이도는 쉽지만 굿 엔딩을 보는 조건은 상당히 까다롭다.

동방 프로젝트의 동인 슈팅 게임중에서는 캐릭터별 탄막 특성도 잘 잡아내었고, 줄거리도 그럭저럭 있어서 상당히 지명도가 높은 축에 속한다. 동방시봉성보다 일러스트 수준이 발전했다는 평이 많으며, BGM의 경우는 비봉클럽 앨범 몇 곡[2]도 어레인지 하여 넣어 상당히 퀄리티가 높다. 3D 효과가 가미된 백그라운드 등도 괜찮은 편. 전작인 동방시봉성보다 많은 제작진이 투입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스테이지를 시작할 때마다 로딩 속도가 엄청나게 느리다는 점, 컴퓨터 사양이 웬만큼 높지 않은 이상 60fps를 유지하기 힘든 느린 게임 속도 등이 단점이다.

일본에서는 발표시 ZUN의 정식 작품인 것처럼 위장하고, 개발진이 ZUN보다 잘났다는 자뻑 냄새를 풍겨서 아직까지도 까이고 있다. 그 외에도 '동방XXX'라는 제목을 쓰지 말것을 당부하는 사람이 나오자[3] '그럼 다음 작품은 동방XXXXXXXXXXXXXXXXXXXX'로 할게요'라거나, 게임이 느리다는 불만이 있자 개발툴인 동방탄막풍을 까면서 다음 작품에서는 동방탄막풍을 안 쓰겠다는 등, 뻔뻔하고 도발적인 태도도 문제시됐었다. 결국 후속작은 나오지 않은채 버로우 중. thG(가칭)라는 이름으로 뭔가 RPG 비슷한 것을 만들고는 있으나, 언제 나올지는 장담할 수 없다.

2012년 현재 비(非)탄막풍 프로그램(.NET Framework)판으로 이식중이다.

2 스토리

동방몽종극의 기본 설정은 환상향은 레이무의 꿈이라는 충격적인 전제로부터 시작한다.

키리사메 마리사하쿠레이 레이무를 찾아 해메지만 레이무는 보일 생각을 하지 않고, 이미 레이무가 죽어 환상향이 붕괴의 위기에 처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결국 마리사가 레이무를 깨우러 저승으로 간다는 내용.

당연히 셀렉트 가능 캐릭터는 마리사 밖에 없지만, 탄막 스타일 별로 캐릭터가 구분되고 어떤 캐릭터를 고르느냐에 따라서 스테이지가 달라지게 된다. 그런 게임 구조상 등장하는 캐릭터도 상당히 많으며, 동방홍마향~동방화영총까지의 캐릭터들 상당수와 일부 구작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3 시스템

성부는 호밍 타입, 광부는 와이드 타입, 마부는 파워 타입, 연부는 레이저 타입이다. 또한 과거 작품에서는 각각의 기체가 다른 시나리오로 연결된다. (성부-홍마향, 광부-영야초, 마부-화영총, 연부-구작) 2.00 패치 이후로는 기체 타입과 시나리오를 따로 선택할 수 있다.

전작인 동방시봉성과는 달리 기체에 파워 개념이 존재하며, P 아이템 획득으로 올릴 수 있으며, 미스를 하면 감소된다.

동방영야초의 각부 시스템과 유사한 하쿠레이가 존재한다. 하쿠레이를 얻으려면 하쿠레이 아이템을 먹거나 노 쉬프트 상태로 그레이즈를 하면 되는데, 캐릭터 아래의 녹색 게이지가 꽉 차면 저속 이동일 때도 하쿠레이가 모인다. 단 미스나 봄 사용시 하쿠레이가 깎여 나간다. 하쿠레이가 일정 수치 이상이 되었을 때 보스의 라스트 스펠이 뜬다는 점도 비슷.

또한 C키와 방향키를 동시에 누르면 하쿠레이 게이지를 소비하여 음양옥을 발사할 수 있는데, 이 음양옥이 상대에게 맞으면 근처의 탄막이 하쿠레이가 되어 회수된다.

6면(최종)보스 죽은 레이무와 전투시 "제한시간"이 오른쪽 상단에 뜨며, 제한시간은 그 동안 얻은 하쿠레이의 양이 많을수록 길어진다. 최종 보스전에서 제한시간이 오버될 경우 바로 게임 종료 및 배드 엔딩이 떠버린다.

최종 보스 전투 후엔 하쿠레이의 양과 관계 없이 동방영야초의 6B면과 같이 강제적으로 라스트워드 5종이 등장한다. 이 때는 봄 사용이 불가능하고 단 한 번이라도 미스를 낼 경우 잔기와 관계없이 바로 노멀 엔딩 혹은 배드 엔딩이 뜨게 된다.

엑스트라 스테이지를 클리어하고 일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판타즘 스테이지를 플레이할 수 있으며, 라스트 워드도 존재한다. 또한 SCC(Spell Card Collection의 머릿말에서 따왔다고 한다.)라는 이름의 비공식 라스트 워드도 추가해 플레이 가능하다.

4 스테이지

4.1 시나리오 A

시나리오 A는 홍마향 루트.

4.2 시나리오 B

시나리오 B는 영야초 루트. 몇몇 구간에 영야초식 사역마가 쓰이기도한다. 특히 3스테이지 낚시에

4.3 시나리오 C

시나리오 C는 화영총 루트.

4.4 시나리오 D

시나리오 D는 구작 루트. 하지만 정작 정말 구작에만 나오는 캐릭터가 미마, 신키에 한정되어있다. 그리고 이 시나리오는 구작이라는 특성때문에 워닝샷도 나온다.

4.5 루트 통합

4스테이지부터는 단일 루트로 합쳐진다. 언뜻 보면 요요몽 루트같은건 기분탓

4.6 엑스트라/판타즘 스테이지

판타즘 스테이지는 요요몽과 비슷한 식으로 엑스트라를 어레인지한 형태이다.

5 사용 BGM

주로 みょん (MyonMyon) 이 어레인지했다.

5.1 오프닝/엔딩

동방몽종극 메인 테마곡 : 몽종극 ~ 꿈과 현실의 경계[6]
엔딩 테마곡 : 가장 맑은 하늘과 바다[7]

5.2 시나리오 A

스테이지 1 필드 : 상해홍차관 ~ Chinese Tea
스테이지 1 보스 : 메이지 17년의 상하이 앨리스
스테이지 2 필드 : 메이드와 피의 회중시계
스테이지 2 보스 : U.N.오웬은 그녀인가?
스테이지 3 필드 : 브와르 마법도서관
스테이지 3 보스 : 락드 걸 ~ 소녀밀실

5.3 시나리오 B

스테이지 1 필드 : 익스텐드 애쉬 ~ 봉래인
스테이지 1 보스 : 달까지 닿아라, 불사의 연기
스테이지 2 필드 : 신데렐라 케이지 ~ Kagome-Kagome
스테이지 2 보스 : 보이지 1969[8]
스테이지 3 필드 : 레트로스펙티브 교토
스테이지 3 보스 : Demystify Feast

5.4 시나리오 C

스테이지 1 필드 : 영원의 만월[9]
스테이지 1 보스 : 안티크 테러[10]
스테이지 2 필드 : 서방 칠드런 ~ THC Version [11]
스테이지 2 보스 : 천구가 보고있다 ~ Black Eyes
스테이지 3 필드 : 피안귀항 ~ Riverside View
스테이지 3 보스 : 60년째의 동방재판 ~ Fate of Sixty Years

5.5 시나리오 D

스테이지 1 필드 : 하쿠레이 ~ Eastern Wind[12]
스테이지 1 보스 : The Legend of KAGE[13]
스테이지 2 필드 : 잠자는 공포 ~ Sleeping Terror[14]
스테이지 2 보스 : 유몽 ~ Inanimate Dream[15]
스테이지 3 필드 : 앨리스 마에스테라[16]
스테이지 3 보스 : 플라스틱 마인드[17]

5.6 공통 루트

스테이지 4 필드 : 갈잎[18]
스테이지 4 보스 : 밤이 내려오다 ~ Evening Star
스테이지 5 필드 : 아오키가하라의 전설[19]
스테이지 5 보스 : 히로아리, 괴조를 쏘다 ~ Till When?
스테이지 6 필드 : 53분의 푸른 바다[20]
스테이지 6 보스 : G Free ~ Final Dream[21]
스테이지 6 라스트 스펠 테마 : G Free ~ Ultimate Dream[22]

5.7 엑스트라/판타즘 스테이지

엑스트라 스테이지 필드 : 환상향 투어에 어서오세요![23]
엑스트라 스테이지 보스 : 전래동화나라의 오니의 섬 ∼ Missing Power
판타즘 스테이지 필드 : Eternal Phantasmagoria[24]
판타즘 스테이지 보스 : Dream Express ~ Red & White[25]

5.8 라스트 워드

라스트 워드 : 달시계 ~루나 다이얼~[26]

6 엔딩 및 스포일러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엔딩은 Bad, normal, good 세가지가 존재한다.

bad엔딩은 6스테이지에서 시간 내로 레이무를 무찌르지 못한 경우. 꿈에서 깨어나게 된 마리사가 "다시 잠들게 된다면 또 한번 환상향에 갈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중얼거리고 친구로 보이는 누군가의 부름에 서둘러 나가는 내용으로 환상향이 사라졌다는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 엔딩 같은데.... 모든 텍스트가 올라온 다음 마지막에 "저희로써도 최선을 다했습니다만.... 17시 58분에 운명하셨습니다." 라는 내용이 나온다. 저게 누구인지는 뭐...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없다.

normal엔딩은 하쿠레이 3000을 모으지 못한 경우, 혹은 라스트 스펠을 실패한 경우. 환상향의 모든 것이 사라지기 전 마지막 대화를 나누는 내용.

good엔딩은 하쿠레이를 3000이상 모으고 라스트 스펠을 모두 클리어한 경우이다. 같은 병원에 입원해 있던 레이무와 마리사가 깨어나 현실에서 재회하는 내용.[27]

세가지 엔딩 모두 내용상 큰 차이가 없고 결국 환상향은 붕괴한다. 다만 이부키 스이카외 몇몇 캐릭터의 경우는 붕괴된 환상향의 파편으로 숨어들어 사망을 면하였다.

이후 스이카는 자신의 능력으로 붕괴된 환상향의 파편을 모아서 다시 환상향을 재생하게 된다는것이 엑스트라 스테이지 내용이다. 다만 환상향이 붕괴할때 사망한 사람들은 다시 되살리지 못하는 듯.[28]

판타즘에서는 엑스트라에서 미약하게나마 스이카가 다시 살린 환상향에서 원래 홍백차림으로 다시 부활한 레이무랑 만나 탄막놀이 하는 전개로 펼쳐진다.

  1. DANGOYA와의 합작이다.
  2. 묘유동해도나 몽위과학세기의 곡들
  3. 의외로 일본에서도 잘 무시되는 사항인데 2차 창작 가이드라인에는 동방***라는 제목은 혼동되니 피해 달라고 적혀 있다.
  4. 상당히 무거운 분위기의 게임에 최종보스 보정까지 받다보니 굉장히 위압감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평소같은 홍백의 차림이 아니라 흰색의 옷으로 나오며, 마지막 스펠에서는 아예 지금까지 나온 보스들인 사이교우지 유유코, 레밀리아 스칼렛, 호라이산 카구야, 시키에이키 야마자나두를 소환한다.
  5. 원래의 홍백복장으로 돌아왔다.
  6. 몽위과학세기 9번 트랙 '꿈과 현실의 경계'의 어레인지.
  7. 원곡은 묘유동해도의 11번 트랙.
  8. 본래는 동방영야초 6면 필드 테마곡이지만 보스곡으로 어레인지되었다.
  9. 원곡은 동방영이전의 밤 엔딩 테마.
  10. 원곡은 서방추상옥 최종스테이지 테마곡.
  11. 동방괴기담 3면 필드 테마곡 'Romantic Children'의 어레인지.
  12. 원곡은 동방봉마록의 1면 필드 테마.
  13. 원곡은 동방영이전의 마계 루트 16~19면 테마.
  14. 원곡은 동방환상향의 5면 보스 유카의 테마곡.
  15. 원곡은 동방환상향의 최종면 보스 테마곡. 역시나 유카의 테마곡.
  16. 원곡은 동방환상향의 4면 필드 테마.
  17. 원곡은 동방괴기담의 3면 보스 앨리스의 테마곡.
  18. '갈잎~Withered Leaf'와 '소녀환장~Necro Fantasy'를 합한 어레인지.
  19. 원곡은 묘유동해도의 5번 트랙.
  20. 원곡은 묘유동해도의 2번 트랙.
  21. 대공마술의 7번 트랙 'G Free'를 기반으로 '소녀기상곡'과 봉래인형의 11번 트랙 '영원의 무녀'를 함께 어레인지.
  22. 'G Free ~ Final Dream'과 사용곡은 같으나 이 쪽이 훨씬 더 위압적이다.
  23. 대공마술 1번 트랙 '월면 투어에 어서오세요!'의 어레인지.
  24. '월면 투어에 어서오세요!'와 '영원의 무녀'를 합한 어레인지... 라고는 하지만 엑스트라 테마곡과 별 큰 차이는 없다.
  25. 동방괴기담 1면 필드 테마 'Dream Express' + 봉래인형 2번 트랙 '이색연화접 ~ Red and White' + 동방환상향 레이무 1면 필드 테마 'Witching Dream'. 이색연화접은 봉래인형 보다는 추상옥 쪽에 가깝다.
  26. 동방홍마향이자요이 사쿠야의 테마곡인 '달시계 ~루나 다이얼~의 어레인지.
  27. 라스트의 마지막 스펠카드에서 미스를 내도 굿 엔딩을 볼 수 있다는 제보가 있다
  28. 스이카가 재건한 환상향에서 마리사가 스이카와의 탄막 대결에 돌입하기 전에, "모두 되돌릴 수 있나? 앨리스라던가."라고 물었지만 아직은 무리라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