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747-100

(보잉 747/100에서 넘어옴)
보잉 747의 형식
747-100747-200747-SP
747-300747-400747-8


보잉광동체 여객기보잉 747의 형식 중 747-100 시리즈에 대해 설명하는 항목.

미 공군에서 유사 시 쓰기 위해 붙인 제식명은 C-19이다.

보잉 747-100
롤아웃1968년 9월 30일 (보잉, N7470)
초도비행일1969년 2월 9일 (보잉, N7470)
상용 서비스 시작1970년 1월 22일 (팬 아메리칸 항공, N736PA)
표준좌석수366석 (ECO-BUS-FIR 표준)
452석 (ECO-BUS)
480석(ECO 단일)
최대좌석수528석[1]
항속거리9,800 킬로미터
생산기간1968년 ~ 1982년
생산댓수206대

1 소개

1968년 9월 30일 롤아웃. 1969년 2월 9일 첫 비행. 1970년 1월 22일 상용 서비스 시작. (초호기 N7470)

여왕의 첫걸음

런칭 캐리어는 팬 아메리칸 항공. 초도기체 9대와 양산기체 16대가 인도되었으며 이중 두 대는 전세계를 패닉에 빠뜨렸다. 그리고 팬암은 망했다.

항속거리는 8,000 Km이며 연료탱크는 747 기종 중 제일 작다. 이륙중량도 747-SP 다음으로 적은 편.
747 중에서 그나마 값이 쌌고, 연료탱크가 작아서 가용면적은 넓은 편이었다. 그래서 많은 변종이 출몰했다(...)

연료탱크 외에도 기술적 한계로 랜딩기어, 동체 등의 내구도는 약한 편이었으며, 대부분 교체/개선되었다. 1971년 강화된 형식인 747-200이 나오면서 한동안 같이 수주를 받다가 1985년 최종적으로 단종되었다.

영화 롤러코스터에서 나온 비행기! 하지만 안타깝게도 대한항공의 클래식 기종은 아니다... 그런데, 주인공이 타고있던 비행기 실내는 B747-200인데 외관은 747-100이다...

2 형식

2.1 747-100

1970년 취항한 747의 최초 모델이며 팬암에서 첫 투입을 한 기종이다. 이후 같은 해에 트랜스월드항공, 일본항공, 영국해외항공, 루프트한자항공, 에어프랑스사가 도입하였다. 총 167대 생산.

첫 출고 시 JT9D 엔진의 한계로 물 분사 시스템 탑재, 항속 성능 미달 문제 등이 있었으나 엔진이 순차적으로 보완되면서 거의 해결되었다.

2.2 747-100SR

일본 국내선 전용기(Short Range)로 인구가 많으면서도 공항 시스템이 빈약했기 때문에 주요 공항의 발착수를 늘리고 1편당 많은 승객을 실어 날라야 하는 노선이 많았던 일본 국내선을 처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747의 최대 고객이었던 일본항공이 발주고객으로 구입했다.(일본항공은 한때 747만 100대가 넘었다!) 뒤를 이어 전일본공수도 구입했으며 비행시간이 길어도 3시간 안팎인 일본 국내선 전용기이기 때문에 승무원 구역이나 화장실의 간소화가 이루어지고 좌석 간격을 좁혀서 전일본공수에서 운용하던 기체는 세계 최초로 500석 이상을 장착했다.죽어나는 이코노미 승객들또한 수많은 이착륙에 견디기 위해[2] 기체 구조 일부를 강화하고 피로파괴에 대비해 -200형과 같은 착륙장치 장착이나 브레이크의 개량이 시행되었다. 최대이륙중량을 낮춰서(연료 탑재량을 약 20%가랑 낮췄다) 착륙료도 저렴했다.

-100SR형이 국제선에 쓰이던 경우도 있어서 일본항공에선 오사카-괌 노선에 쓰였다. 일본항공이 쓰던 기체 중 JA8119기는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의 주인공이 되었다.

전일본공수에선 비행시간이 6시간이 넘는 나리타-호놀룰루나 나리타-시드니, 나고야-호놀룰루선에서 -100SR형을 쓰기도 했다. 이 노선에 투입되었던 기체중 일부는 국제선 사양으로 개수되었다. 총 7대 생산.

2.3 747-100B

-100형의 강화 버전. -100형의 기존 스펙에 -100SR형의 강화된 기체구조를 적용한 형식으로 최대 이륙중량이 약 340톤에 달한다. 이란항공이 한대, 사우디아 항공이 8대를 운용했으며 이중 이란항공이 보유한 한대는 2014년에야 퇴역했다.위 사진의 화질이 좋은 것도 그 때문. (뭐, 에어프랑스도 2005년에야 퇴역했는데)[3] [4]여기서 또 차출된 건 이란 공군에서 수송기로 쓰고 있다(...) 총 9대 생산.

2.4 747-100BSR


-100SR형의 개량 모델. 유효하중이 기존 -100SR형에 비해 36톤 가량 늘어나 약 272톤의 최대 이륙중량을 보유하고 있다. 역시 일본항공과 전일본공수에서 운용했으며 이중 일본항공은 747-100BSR/SUD라는 2층객실 연장형을 2006년 10월까지 운용했다. 총 20대 생산.

2.4.1 747-100BSR/SUD


전세계에서 일본항공만이 두대 발주한 기체(등록번호 : JA8170, JA8176)로,747-100기의 어퍼덱을 말 그대로 늘인(Stretched Upper Deck)기종이다. 두 기체 전부 오리엔트 타이로 팔려나갔다가(등록번호 : HS-UTQ, HS-UTM) 2011년 현재 둘다 퇴역 진행중이다.

2.5 747-100SF


-100 여객형 모델을 개장하여 화물기로 만든 버전. -100형은 화물기 라인업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잠깐... 너 원래 화물 수송용으로 개발된거잖아???[5] -100형 화물기는 전 기체가 여객형에서 개장된 화물기(Special Freighter)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보잉 747/100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이론상 550석도 가능
  2. 20년간 52,000회의 비행을 기준으로 잡았다. 이것이 얼마나 대단한것이냐면 기존의 747은 20년간 24,600회의 비행을 기준으로 잡는다(...)
  3. 기체 등록번호 : EP-IAM, 기령 : 35년(...) 왜 이런 일이 벌어졌냐 하면, 이란의 경제 제재 때문에 미국과 EU에서 자국산 여객기 판매를 금지했기 때문이다.
  4. 이것은 위키백과의 정보다
  5. 원래 보잉은 콩코드와 경쟁하기 위한 초음속 여객기 보잉 2707을, 화물용 + 군용으로 747을 개발했으나 콩코드가 똥망한걸 보고 우린 저렇게 되면 안 되겠구나 싶었던 보잉이 747을 아예 여객용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보잉 2707은 747이 나온 후 SST 사업이 폐기되면서 취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