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마절도사

兵馬節度使

조선 시대에 각 도의 육군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은 종2품 외관직 무관.

1 개요

병사라고 약칭하며 조선 초기부터 개칭전에는 병마도절제사라고 불리었다. 절도사라는 호칭은 중국 당나라의 절도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절도사는 단병사와 겸병사를 모두 합하여 총 15명이 있었다.

·평안도·충청도·전라도·각각 1명씩, 그리고 함경도와 경상도에는 2명씩 모두 7명의 전임 절도사가 임명되었고, 그들을 단병사라 하였다. 함경도와 경상도가 2명씩 배치된 이유는 이 곳들이 각각 여진족과 일본의 침략을 방어하는 최전선이기 때문이다.

그 밖에 각 감영의 관찰사가 겸직하는 겸병사가 8도에 1명씩 있었다. 경기 ·강원도 ·황해도에는 단병사가 파견되지 않았으므로 관찰사가 겸병사로서 그 도의 군대를 통할하였다. 1593년 선조때부터는 황해도에도 단병사를 두어 조선 후기에는 16명의 병마절도사가 파견되었다.

지방군에선 이 병마절도사가 최고위 지휘관이다. 단, 외적의 침입이 벌어지거나 그에 대한 대비를 위해서 통합 지휘의 필요성이 생길 경우 복수의 절도사들을 통합 지휘하는 임시 관직인 도원수를 파견한다. 도원수가 관할하는 절도사의 범위는 유동적이다.

여담으로, 북한김정일백두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의 이름이 병사봉인 것을 보고 "위대한 수령님을 낳은 백두산인데, 가장 높은 봉우리 이름이 병사봉이니 위용이 떨어진다. 앞으로는 장군봉으로 바꾸도록 해라" 고 지시하여 병사봉이 장군봉이 되었다고 한다. 물론, 그 병사는 兵士가 아니라 이 항목을 축약한 말이었다. 북한의 학자들은 이를 알아도 누구 말인데… 지못미

2 현대와 비교

겸병사현대의 감사와 조선시대 병마절도사를 겸하게 되는 직책, 원수(★★★★★)를 제외한 현대의 최고 계급인 대장(★★★★)과 같음, 1.2.3군의 군사령관과 같은 직책.
단병사현대의 사단장(소장; ★★)보다 높은 군단장(중장; ★★★)급.

3 8도의 절도사

겸병사 (관찰사)단병사 (절도사)
경기도경기 관찰사 (한성수원)
강원도강원 관찰사 (원주)
충청도충청 관찰사 (충주)충청 병사 (해미)
전라도전라 관찰사 (전주)전라 병사 (강진)
경상도경상 관찰사 (상주대구)경상 좌병사(울산)
경상 우병사 (창원진주)
황해도황해 관찰사 (해주)황해 병사 (1593년, 해주)
평안도평안 관찰사 (평양)평안 병사 (영변)
함경도함경 관찰사 (함흥)함경 북병사 (경성)
함경 남병사(북청)

4 관련 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병마절도사

5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