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손님과 어머니

(사랑손님과 어머니에서 넘어옴)
나는 금년 6살 난 처녀애입니다. 내 이름은 박옥희이구요. 우리 집 식구라고는 세상에서 제일 예쁜 우리 어머니와 단 두 식구뿐이랍니다. 아차 큰일났군, 외삼촌을 빼놓을 뻔했으니.

 
─소설 첫머리 부분에서

1 개요

한국의 소설가 주요섭1935년 12월 발표한 단편 소설.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소설의 처음 부분을 보면 금세 아, 하고 떠올릴 것이다. 그만큼 한국에선 유명한 소설

중학교 두산동아 국어교과서 (전), 창비 국어교과서 (이)에 수록된다

2 상세

작품의 주요 내용은 현대의 사고로 보면 그다지 파격적이라 볼 수 없는 아이 딸린 과부의 사랑 이야기라고 축약할 수 있다. 사랑 손님과 사랑 하지만 이 작품이 기억에 남는 이유는 옥희라고 하는 화자의 등장 때문이다. 옥희는 6살짜리 여자아이이며, 남녀 간의 사랑을 아직 모르는 순수한 어린아이이다. 덕분에 작가인 주요섭은 옥희의 어머니와 사랑 손님과의 사랑 이야기를 보다 중립적으로, 하지만 더 긴장감 있게 서술할 수 있었다.

옥희는 아직 사랑을 모르는 나이이기 때문에 신빙성 없는 화자 혹은 오류에 빠지기 쉬운 화자로 분류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이 단점은 아니며, 오히려 어린 아이의 눈으로 보았기 때문에 '잔뜩 화를 내고 있다.'라거나 하는 묘사가 가능하여 읽는 독자에게는 '부끄러웠구만.', '좋을 때로구만.'하는 식의 (주관적인)판단을 내리게 한다.[1] 이외에도

우리 어머니는, 그야말로 세상에서 둘도 없이 곱게 생긴 우리 어머니는, 금년 나이 24살인데 과부랍니다. 과부가 무엇인지 나는 잘 몰라도, 하여튼 동리 사람들이 나더러 '과부 딸'이라고들 부르니까, 우리 어머니가 과부인 줄 알지요. 남들은 다 아버지가 있는데, 나만은 아버지가 없지요. 아버지가 없다고 아마 '과부 딸' 이라나 봐요.

라는 대사를 옥희가 하는데, 이는 과부라는 단어를 잘 모르는 옥희의 천진난만함을 강조하는 의미로 쓰였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어린아이의 눈으로 세상을 보며 말하기 때문에 저렇듯 냉소적인 말을 할 수 있다.'고 하기도 한다. 비록 옥희가 손님과 어머니에 시점을 맞추어 서술하기는 하지만, 간간히 드러나는 심정 묘사에서 '아버지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게끔 하는 심리 서술들이 보이기 때문. 여담이지만 TV문학관에서 당 소설을 각색하여 다룬 내용에 따르면, 과부의 딸이라는 것 때문에 주변 아이에게 놀림받는 묘사가 등장하기도 한다. 소설에는 나오지 않는 내용이지만 이 소설의 시점에서 서술되는 마을의 분위기상 충분히 가능한 묘사.

결국 어머니가 사랑 손님의 쪽지를 거절하는 이유도 화냥년으로 몰아붙일 사회의 시선에 굴복하고 만 것이며, 때문에 옥희의 '우리 가족 같다.'라는 이야기를 적극 부정하기도 한다. 즉, 이 시기에는 과부는 치부이며, 응당 수절해야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만연했던 것이다. 게다가 사랑 손님과 어머니의 공간적 배경은 지극히 폐쇄적인 분위기의 시골 마을. 물론 손님이 어머니와 옥희를 데리고 서울이나 도시로 옮기면 그만이지만, 결국 어머니는 사회의 압력에 굴하는 쪽을 택했다. 덩달아 옥희도 '과부의 딸'이라는 멍에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이러한 결말을 보면 소설의 첫머리에 등장하는 옥희의 저 이야기는 참 가슴 아픈 말이라 생각하게 된다.

2.1 등장인물

  • 옥희
  • 어머니
  • 사랑 손님
  • 외삼촌 2명[2]
  • 외할머니[3]

3 기타

  • 중학교 때나 고등학교 때 국어공부를 조금이라도 했다면 싫어도 반드시 알게 되는 소설이다. '1인칭 관찰자 시점'의 대표적인 예시이자 1인칭 관찰자 시점의 특징이 제대로 드러나는 소설이기 때문. 또한 언어 영역을 공부할 때 짚고 넘어가게 되는 소설. 시점을 처음 배울 때 전국의 어떤 국어 선생님이든 1인칭 관찰자 시점에 무조건 이 소설을 예로 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 두산(전경원) 국어3 교과서 3단원, 창비(이도영) 국어3 교과서 4단원에 수록됨)
  • 여담으로 '사랑 손님'의 사랑은 사랑방을 의미한다. 중의적인 의미로 채택한 제목일지도. 아울러 서울 사투리를 엿볼 수 있는 독특한 문학 작품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 앞 부분이 번역되어서 1980년대(4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다.

3.1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 영화로도 제작되었으며 영화 제목은 사랑 손님과 어머니. 진지하게 소설의 내용을 영화로 옮겼다. 자칫 1인칭 관찰자 시점이 흐트러져 평범한 B급영화가 될 위험성이 있는 작품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옥희의 시점과 전체시점을 번갈아가며 묘사하여 명작으로 끝마친다. 유튜브에도 올라와있는데 한번쯤 보는걸 추천한다[4] 덧붙이면 패러디 작품으로는 정준호, 김원희 주연의 사랑방 선수와 어머니도 있다. 여기서 옥희 역은 고은아. 망한 영화지만 고은아는 볼만 했다 카더라.
  • 컬투김태균이 정립시킨 옥희 성대모사는 "아즈씨 아즈씨, 아즈씨는 삶은 달걀 좋아하우?"와 그 기괴한 웃음(…)을 통해 하나의 컬쳐 소스로 이 작품을 정립시켰다. 손호영, 홍경민 등은 이 김태균을 또 성대모사한다. SNL Korea에서도 패러디 되었다.

3.2 패러디 작품

  • 이 작품에 대한 가장 파격적인 마개조로 박형서란 작가가 쓴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음란성 연구>라는, 논문의 형식을 빌린 패러디 작품(2006년, 단편집 "자정의 픽션"에 수록)이 있다. 이 작품에서는 21회나 등장하는 삶은 달걀검열삭제(…)의 상징으로 해석한다. 옥희는 사실 6살이 아니라는 것이다. 여자가 말하는 나이는 믿지 마라 그렇게 프로이트류의 심리 메타포까지 드립치면서 이 이야기 자체가 손님과 모계로 이루어진 회귀 과정(…)이라는 결말로 달려간다.
  1. 신빙성 없는 화자의 또 다른 예로는 채만식의 <치숙>이 있다. 이 경우는 마르크스주의공산당!에 빠진 매부를 디스하는 철없는 화자를 통해 일제를 에둘러 깐다.
  2. 사랑 손님은 큰 외삼촌의 지인이고, 옥희 집에는 아직 학생인 작은 외삼촌이 같이 살고 있다.
  3. 작품 내 위치는 공기. 옥희의 아버지가 출산 1달 전에 사망했다는 이야기를 전해 주는 정도가 등장의 전부인데, 하술하는 박형서의 작품에서는 결론을 내는데 중요한 소재로 사용된다.
  4. 이 틀을 보면 알겠지만 결말도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