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근

司馬覲
(256~290)

1 개요

중국 서진의 황족으로 자는 사조(思祖). 아버지는 낭야무왕 사마주, 어머니는 제갈탄의 딸 제갈씨로 사마주의 장남이며 아내는 하후장의 딸 하후씨(하후광희)다.

283년에 아버지 사마주가 급사하자 뒤를 이어 낭야왕(瑯揶王)이 되었지만 아버지의 유언대로 3명의 동생들과 영토를 분봉해 각각 왕으로 임명됐으며, 동생으로는 동무공 사마담, 동안공 사마요[1], 광릉공 사마최가 있다.

용종복사를 겸했지만 290년에 35세의 나이로 급사한다. 시호는 공왕(恭王).

그의 뒤는 장남 사마예가 뒤를 잇는데 이 사마예에 대한 얘기로 그가 낭야국을 비운 사이에 하후씨가 낭야국의 관리 우금과 사통해서 낳았다는 얘기가 있다. 그러나 이 말의 최초 출처인 위서(북위의 역사서로 25사 중 하나) 자체가 25사 중에서도 질이 나쁘기로 악명이 높아 북조측에서 남조측의 정통성을 깎아내리기 위해 참언을 지어낸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짙다.[2] 다만 이상하게 신 황제의 직계 아버지이면서도 추존을 받지 못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아버지만 못 받았나 할아버지 사마주도 못 받았지[3]

그의 차남 사마혼은 숙부 동안왕 사마요가 304년에 성도왕 사마영에게 살해되어 후사가 끊기자 그의 양자가 된다. 그러나 동안왕이 되었다가 자식없이 요절하여 대가 끊기게 되면서 동안국은 폐지된다.

2 가족 관계

  • 아내 하후씨(하후광희, 하후장의 딸)
    • 장남 동진 원제 사마예
    • 차남 동안왕 사마혼
  1. 문앙을 죽게 만든 장본인이다. 근데 자기 팔자도 그닥 좋지는 못해서 팔왕의 난에 휩쓸려 끔살당했다.
  2. 실제로 위서에서 이 얘기가 나오는 곳은 권96 열전 제84인데, 표제가 (僭)진의 사마예, 곧 황제를 참칭한 사마예란 의미다.
  3. 사실 이런 사례는 이상한 일만은 아닌게 사마근만 그런 게 아니다. 후한을 건국한 광무제, 촉한을 건국한 유비가 그랬고 이 후로도 남송효종, 이종, 도종 등도 자기 아버지를 추존하지 않았다. 물론 남송의 효종, 이종, 도종은 각기 전 황제의 양자로 입적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친아버지가 친아버지가 아니었기 때문에 황제로 추존할 수 없었다. 물론 명나라 가정제같은 양반은 기어이 친아버지를 황제로 추존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