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철도 관련 정보
서울 - 대전 - 동대구 - 부산
1 개요
서대동부란 그 자체만으로는 경부선의 최대 요충지인 서울역 - 대전역 - 동대구역 - 부산역을 뜻하나, 실제로는 관광호와 새마을호를 거쳐 KTX까지 계승되어 온, 직통운행을 제외한 최소정차·최단시간·최고등급 열차 운행을 일컫는다.
왜 서대대부가 아니라 서대동부나면, 대구역의 포화 문제로 동대구역이 지어져 대구권의 관문으로 쓰이기 때문이다.[1] 그와는 별개로 대전과 대구가 겹치면 이상하잖아?(...)
2 서대동부의 역사
이 전설의 서대동부는 관광호 시절부터 운행했는데, 당시 서울-부산간 소요시간은 4시간 50분이었다. 꾸준한 선로 개량으로 유선형 객차와 PP가 등장하기 전에 서대동부를 도합 4시간 10분만에 주파하는 전설[2]이 시작되었다.
2004년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자 KTX로 계승되었다. 다만 이 쪽은 #001, #002[3][4] 에 상징성에서 밀렸다. 이후 티스푼 공사계속된 노선 개량으로 전체적인 운행시간은 계속 단축되고 있지만, 서대동부 KTX는 2015년 4월 수요 저조(!)[5]로 폐선되었다. 폐선 직전 최단시간은 하행(서울→부산)기준 2시간 26분.
2.1 현재는?
경부고속선 본선 운행 최속달 편성은 서대동울부 상행(부울동대서)로 2시간 28분[6], 본선이 아닌 경우까지 포함한다면 상행 서대동포 하행(서대동포)로 2시간 16분이다.[7] 호남고속선의 경우는 용익송(또는 용익광- ↑ 반대급부로 2010년대 대구역은 기존 3면 6선에서 2면 2선으로 나가리됐다.
- ↑ 실제로,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부터 줄창 외쳐댔지만 잘 와닿지 않던 서울-부산의 '1일 생활권'은 마의 5시간이 깨진 뒤에야 국민들에게 각인되었다.(물론 70~80년대 고속성장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 ↑ 각각 서울→부산, 부산→서울 무정차라는 정신나간 편성이었다. 2010년 12월 신설하여 1일 1회 운행했으나 2015년 4월 수요 저조로 인해 폐지. 운행 당시 더 철저하게 검표와 안내를 실시했지만 그래도 승객 혼선을 막을 수는 없었다.
- ↑ 경부고속선 1단계 개통시에도 #9, #26이 서울-부산 무정차이긴 했는데... 경부선 재래선을 달리던 시기였던데다 #001, #002와 마찬가지로 승객 혼선이 잦았기 때문에 묻혔다.
- ↑ 이게 일리가 있는 것이, 단순히 사람이 안 탄다는 이유로 짤린 게 아니라, 선로 포화와 한정된 운행수에서는 한 번 운행할 때 조금이라도 더 많이 태워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코레일이 높으신 분들에게 제대로 민영화용으로 찍혀있다보니 빚은 조금이라도 더 갚아야 하고...이에 관해선 철갤의 한 개념글을 읽어보면 좋다. - ↑ 하행의 경우 서아대동부와 서대동울부가 2시간 29분으로 동일하다. 상행의 경우 서광대동부가 추가로 있다.
- ↑ 과거엔 하행도 존재했으나 8월 1일자로 오송역에 추가정차하면서 상행선 하나밖에 남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