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만이 아는 세계/애니메이션

일본 만화 / 목록일본 애니메이션 / 목록
· · · · · · · · · · · · ·
숫자 · 라틴 문자
· · · · · · · · · · · · ·
숫자 · 라틴 문자

만화 《신만이 아는 세계》의 애니메이션판은 TV판으로 분할 2쿨 분량이, 원작 단행본 14권 한정판에 딸린 OAD로 1편이 제작되었다. 그리고 2012년 10월, 텐리편을 OVA의 형태로 발매할 것을 발표했으며 뒤이어 여신편의 제작이 확정되었으며 2013년 9월, 방영 종료되었다.

x250pxx250pxx250px
시즌 1시즌 2여신편

1 설명

애니메이션 공식 홈페이지

TV판은 2010년 10월을 시작으로 분할 2쿨짜리 애니메이션 제작이 결정되었다. 2010년 10월에 1기, 2011년 4월에 2기를 각각 12화씩 방영하는 방식.

참고로 시즌 1 최종화를 본 원작자 와카키 타미키트위터


狂ってる・・・。

— 若木民喜 (@angelfrench) 2010년 12월 22일

"미쳤어…"

라는 말 한 마디만을 남겼다. 작가도 인정하는 亡그로브

원작의 명성에 비해 DVD/BD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권당 2000장 정도. 안습. 그러나 그 손해를 캐릭터송 CD로 팔아먹어 메꾼다는 이야기도 있었고 결국 2012년 12월 7일에 3기 제작이 결정 되었다. 올레! 방영일은 2013년 7월 8일이며 도쿄 TV에서 첫 방영을 시작했다. 그리고 3기의 첫 주 판매량은 1700장.# 망했어요

2 작화

처음 애니메이션 제작이 결정되고나서 잡지에 정보 공개 등이 잇따르면서,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이야기 시리즈와타나베 아키오작 작화가 원작과 달라보여 불만을 샀지만 아래 있는 성우 관련 문제로 묻혀버렸다.

참고로 이와는 별개로 애니판의 여캐들은 원작보다 슴가가 커졌다. 빈유인 하쿠아가 있어보일 정도...80이 빈유라니 2D세계가 얼마나 비틀렸는지 알 수 있다. 정말로 하쿠아가 A이하라고 치면 어깨가 떡대란 건데 이게 강조까지 할 정도로 중요한 정보인가

3 성우 논란

《신만이 아는 세계》가 애니화된다고 하자 "후쿠야마 준케이마가 기대돼요!"라는 반응이 다수였지만.. 정작 후쿠야마는 출연하지 않았다. 주인공 역의 미스캐스팅 논란으로 인해 성우덕들의 성토로 조용할 날이 없었다. 난데없이 성우 인생 최대의 도전을 받게 된 시모노 히로는 대체 무슨 죄야…. 일단 1기 방영 이후, 왠지 병신같지만 멋있는 케이마의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한 캐스팅으로 적절했다는 평도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적으로는 케이마 그 자체라고 일컬어지는 성우를 지지하는 파가 다수인 형편. 연재 초기 케이마의 모델이 를르슈 람페르지였기에 이는 어쩔수 없는 숙명...

그러나 이러한 캐스팅 논란의 진흙탕 속에서 여성캐릭터 성우들은 좋은 평을 받았다. 그중 엘시 역의 이토 카나에시오미야 시오리 역의 하나자와 카나는 애니판에서의 엄청난 버프와 함께 좋은 연기를 펼쳐 좋은 평가를 얻었다. 그외에도 신인 성우인 나카가와 카논 역의 토야마 나오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사실 케이마 쪽이 성우로 인한 이미지가 달라져서 그렇지 다른 캐릭터들은 대부분 좋은 평가를 받았다.

4 음악 관련

250px250px250px
1기 오프닝 싱글 표지2기 오프닝 싱글 표지[1]여신편 오프닝 싱글 표지

오프닝은 항상 영어로 된 가사만 나오는 곡이다.

1기는 오프닝이 상당히 특이한데, 처음 들어본 뒤 EAC 통짜 파일을 듣는 듯 계속해서 이어지는 느낌에, 진짜 찬송가를 듣는 듯한 쓸데없는 경건함까지 느낀 사람들이 많았다는 반응이 주류이다.

이는 오프닝 곡 자체가 애니메이션에서의 '함락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장치로서 활용되고 있기 때문. 1기 오프닝의 곡명은 〈Oratorio The World God Only Knows ~ God only knows (제3막)〉인데, '제3막'이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 오프닝 버전은 약 8분 가량의 풀버전 중 일부를 편집한 것이다. 여기서 오라토리오(oratorio)란 종교적 메시지를 담아 작곡되는 성악 모음곡의 총칭이다.

입시공화국의 빈약한 예체능 교육의 현실로 인해 오라토리오라는 악곡 형식을 알 턱이 없는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이러한 구성을 취한 것에는 비판적임에도 일단 각 장을 따로 놓고 들었을 때는 전반적으로 괜찮다는 평을 내리고 있다. 특히, 취미 혹은 생계 수단으로 작곡에 종사하거나, 리듬게임을 주로 하는 등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접해본 사람들은 호평이었던 곡. 보컬은 ELISA가 담당.

케이마가 '함락神'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극 중 오프닝 풀 버전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사례가 적지 않은데(특히 11화와 12화), 이 연출에 대해 연출의 의도 및 오라토리오가 본래 종교음악의 형식이라는 사실을 이해하는 시청자와 그렇지 못한 시청자 사이에 상당히 평이 갈리는 편.

한편, 원작 1권 마지막에 케이마의 환상에서 나온 〈집적회로의 꿈의 여행자〉를 진짜 노래로 만들어 시즌 1 마지막 화 엔딩으로 사용했다. 처음 오프닝 싱글의 커플링 곡으로서 처음 발표되었을 때도 '분위기가 너무 산뜻하다'며 충격을 받은 이들이 많았고 최종화 엔딩에나 사용될 법한 곡이라고 평가받았는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난 지금 상황은 그야말로 충공깽. 시모노 히로ELISA[2]가 코러스로 참가했으며, 그 외에도 일본의 유명 코러스팀인 'The Sunshowers'의 아이들이 노래를 부른 것이 특징적이다. 엄청난 덕스러움을 간직한 이 노래의 진실을 아이들은 과연 알고 불렀을까.

2기의 오프닝인 〈A Whole New World God Only Knows〉 역시 표기상으로는 《Oratorio The World God Only Knows》의 일부인 형식을 취하고 있다. 2기 오프닝의 보컬은 ELISA와 함께 미연시의 국가를 부르신 Lia가 참가했다.

2기 마지막화의 삽입곡인 〈HAPPYEND〉는 케이마와 욧큥의 듀엣곡인데, 가사를 잘 들어보면 대부분이 에로게의 제목만으로 이루어져있다. 에로게에 자신있다면 들어보면서 어떤 게임이 들어갔나 확인해보자.

그외에도 2기 엔딩은 히로인들이 모두 참여해서 불렀으니 누구의 목소리인지 파악하면서 듣는것도 재미있다.

3기인 신만이 아는 세계 여신편에 대한 오프닝과 엔딩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었다.

  • OP : Oratorio The World God Only Knows - God only knows-Secrets of the Goddess-
  • EP : 유피테르 자매 - 인연의 행방

........3기에서도 우리는 경건한 오프닝을 들을 전망이다. 1기는 8분, 2기는 4분 내외였던 반면, 3기는 13분이다. 하지만 이 경건한 오프닝이 엔딩과 함께 라디오로 공개되었는데 노래가 경건해서 좋다라는 반응도 있지만, ELISA가 제네온 유니버설에서 소니 뮤직으로 이적함(제네온 유니버설은 애니메이션의 스폰서 중 하나이다)에 따라 하쿠아의 담당 성우인 하야미 사오리가 부른것으로 밝혀졌다.

4.1 관련 음반 목록

아래의 앨범들은 전부 제네온 유니버셜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 중 또는 발매 예정이다.

  • OP 앨범
1기: God only knows~집적회로의 꿈의 여행자(集積回路の夢旅人)(2010년 11월 3일、GNCA-0191)
2기: A Whole New World God Only Knows(2011년 5월 18일、GNCA-0192)
여신편: God only knows -Secrets of the Goddess- (2013년 7월 31일、GNCA-0197)
노래 - Oratorio The World God Only Knows
OVA 매지컬 스타 카논 100% 오프닝, 엔딩 : 카논 100%, 너의 색 러브송(かのん100%|君色ラブソング) (2013년 6월 19일, GNCA-0303/GNCA-0304)
노래 - 토야마 나오(東山奈央)
  • ED 앨범
1기: 사랑의 증표(コイノシルシ)(2010년 12월 8일、GNCA-0193)
2기: 사랑의 예감(アイノヨカン)(2011년 5월 25일、GNCA-0194)
노래 - 신만이 아는 부대(神のみぞ知り隊)
텐리편: 빛의 기적|미래로의 문(ヒカリノキセキ|未来への扉) (2012년 12월 19일、GNCA-0195/GNCA-0196)
노래 - 아이리스(eyelis)
여신편: 인연의 행방(キズナノユクエ) (2013년 9월 11일、GNCA-0198)
노래 - 유피테르 자매(ユピテルの姉妹)
  • 캐릭터 CD.0 엘시 starring 이토 카나에(2010년 11월 10일, GNCA-0200)
  • 캐릭터 CD.1 타카하라 아유미 starring 타케타츠 아야나(2010년 11월 17일, GNCA-0201)
  • 캐릭터 CD.2 아오야마 미오 starring 유우키 아오이(2010년 11월 24일, GNCA-0202)
  • 캐릭터 CD.크레용 아스카 소라 starring 사쿠라이 토모(2010년 12월 1일, GNCA-0205)
  • 캐릭터 CD.3 나카가와 카논 starring 토야마 나오(2010년 12월 15일, GNCA-0203)
  • 캐릭터 CD.4 시오미야 시오리 starring 하나자와 카나(2010년 12월 22일, GNCA-0204)
  • 캐릭터 CD.5 카스가 쿠스노기 starring 코시미즈 아미 (2011년 6월 1일, GNCA-0206)
  • 캐릭터 CD.00 하쿠아 starring 하야미 사오리 (2011년 6월 8일, GNCA-0209)
  • 캐릭터 CD.6 코사카 치히로 starring 아스미 카나 (2011년 6월 15일, GNCA-0207)
  • 캐릭터 CD.7 나가세 준 starring 토요사키 아키 (2011년 6월 22일, GNCA-0208)
  • 나카가와 카논 앨범 Birth (2011년 3월 3일, GNCA-1280/GNCA-1281)
노래 - 나카가와 카논 starring 토야마 나오
  • 나카가와 카논 싱글 여름색 서프라이즈(夏色サプライズ) (2011년 9월 14일, GNCA-0210/GNCA-0211)
노래 - 나카가와 카논 starring 토야마 나오
  • 나카가와 카논 앨범 Colors (2013년 10월 30일, GNCA-1393)
노래 - 나카가와 카논 starring 토야마 나오
  • Greetings from special agents Elysia de Lute Ima and Haqua d'rot Herminium (2011년 9월 23일, GNCA-1283/GNCA-1284)
노래 - 도주혼대 starring 이토 카나에 & 하야미 사오리
  • 도주혼대 2nd ALBUM「SECOND MISSION」(2013년 11월 27일, GNCA-1394)
노래 - 도주혼대 starring 이토 카나에 & 하야미 사오리 with 토요구치 메구미
  • 신만이 아는 세계 캐릭터 커버 앨범 ~ 선곡 : 와카키 타마키 (2011년 12월 21일, GNCA-1285/GNCA-1286)
  • 신만이 아는 세계 캐릭터 커버 앨범 2 ~ 선곡 : 와카키 타미키 (2014년 2월 12일, GNCA-1289/GNCA-1290)
  • 신만이 아는 세계 Original Soundtrack(2011년 4월 6일, GNCA-1279)
  • 신만이 아는 세계Ⅱ Original Soundtrack(2011년 7월 27일, GNCA-1282)
  • 신만이 아는 세계 여신편 Original Soundtrack (2013년 12월 25일, GNCA-1398)
  • 나카가와 카논 3rd 앨범 연분홍빛 졸업 (桜色卒業) (2012년 3월 3일, GNCA-0214)
노래 - 나카가와 카논 starring 토야마 나오
  • 캐릭터 CD.神 카츠라기 케이마 starring 시모노 히로 (2012년 3월 14일, GNCA-0212)
  • 캐릭터 CD.8 아유카와 텐리 starring 나즈카 카오리 (2013년 8월 7일, GNCA-0291)
  • 캐릭터 CD.9 쿠죠 츠키요 starring 이구치 유카 (2013년 8월 21일, GNCA-0292)
  • 캐릭터 CD.10 고이도 유이 starring 타카가키 아야히 (2013년 8월 28일, GNCA-0293)
  • 캐릭터 CD.000 엘시&하쿠아 starring 이토 카나에&하야미 사오리 (2013년 9월 4일, GNCA-0294)
  • 캐릭터 CD.2B PENCILS 처음으로 사랑을 한 기억 (2013년 9월 25일, GNCA-0295)
  • 2B PENCILS ALBUM「2B PENCILS」(2013년 12월 11일, GNCA-1396/GNCA-1397)

5 DVD/BD 표지

1기 1권1기 2권1기 3권
1기 4권1기 5권1기 6권
2기 1권2기 2권2기 3권
2기 4권2기 5권2기 6권
여신편 1권여신편 2권여신편 3권
여신편 4권여신편 5권여신편 6권

6 만화/애니메이션 비교

일본의 애니메이션들중 많은 수는 직접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있는 작품의 판권을 사서 애니메이션화하는 것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의 대부분의 애니메이션은 원작을 중시 하면서 자신들의 색깔을 발산하는것. 이 두 가지의 모순을 극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슬픈 이야기기도 하고.)

그런데 망글로브는 사람 별로 평가가 다르고 말이 많은 제작진 성향중에서도 원작지향보다는 자신들의 색깔방출쪽이 강한 쪽이다. 그 부분을 생각하면 비교해불 부분이 많다.

6.1 인물

인물 쪽 논란의 경우 5할이 케이마에 관한 불만이다. 과연 캐릭터로 먹고사는 만화. 어?

  • 케이마의 성우 논란
위에 글이 많지만 대채적으로 팬들은 바보같은 면은 역시 시모노 히로가 최고긴 했네. 였다. 하지만 함락신의 퀄리티 상승을 위해 후쿠야마 준을 기용해 천재적인 부분을 살려야 했다라는 의견도 강해서 꽤 격하게 충돌했다. 2기가 끝난 지금도 이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그러나 이 부분은 제작진이 고의로 "제가 아는 모든 게임과 선생님의 수업을 방금 비교해보았습니다. 수업보다 재밌는 게임 타이틀은 5012타이틀, 비슷한 것 15타이틀, 수업보다 재미없는 것 1타이틀." 바로 이 논리적(...)인 대사를 배제한 터라 케이마의 바보같은 면만을 강조했다고 질타받는다.
  • 만화는 케이마의 독단적이면서도 날카로운 카리스마에 의존하지만, 애니는 케이마 이외의 인물에게도 시간을 할애한다. 아무래도 모에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히로인이나 기타 여성 캐릭터의 비중을 늘릴 수밖에 없었던 듯. 나카가와 카논은 과거 설정이나 콘서트 공연 등 오히려 케이마 본인보다 더 조명을 받는다. 하지만 그 때문에 주인공 케이마의 비중이 줄어들었다는 단점도 있다. 그래서 애니판의 케이마는 만화의 케이마에 비해 카리스마가 비교적 떨어진다. (만화에 비해 진행이 느리다는 비판도 있다.)
  • 만화에서는 케이마의 설명이나 분석이 나오는 장면도 애니에서는 대놓고 보여주거나 히로인의 속마음을 통해 드러난다. 미오가 처음 등장할 때 만화는 상체를 강조하며 하체를 제대로 보여주지 않는다. 미오가 높은 굽을 신었다는 사실이 케이마의 분석으로 드러나기 때문. 그리고 이것은 엘시가 케이마에게 호감을 보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애니에서는 첫 등장할 때에 높은 굽을 신었다는 걸 아예 대놓고 보여준다. 이로써 케이마의 분석은 쓸모가 없어졌다.
  • 만화와 애니는 작화 차이가 현격하기 때문에 등장인물 모두가 달라 보인다. 케이마의 경우는 인상이 상당히 날카로우며 항상 도끼눈을 뜨고 다닌다. 원작에서도 냉정한 표정을 짓는 경우는 자주 있었지만, 그만큼 눈매가 선한 장면도 많다. 하지만 애니에서는 평범한 얼굴을 하는 경우가 별로 없다.치히로도 누군지 몰라볼 정도 애니보정
  • 만화에서는 상당히 코믹하고 희극적인 인물. 냉철한 면도 있지만, 워낙 게임 세계에 사는 인간이다보니 비상식적일 때가 많다. 그것이 현실과 충돌하며 웃음을 불러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애니에서도 현실과 충돌하는 때가 많다. 그러나 만화와 달리 케이마의 기괴한 성격을 강조하는 편으로 주로 쓰인다. 애니의 연출이 만화보다 더 과장되기 때문.
  • 내면 성장의 계기가 좀 더 빠르다. 만화에서는 현실녀(…) 공략이 끝난 다음에 자신을 뒤돌아본다. (결국 발전은 별로 없지만.) 애니에서는 시오리 공략이 끝난 후, 게임에서 선택지 고르는 장면을 강조함으로써 내면의 변화가 생겼음을 암시한다. (하지만 발전이 별로 없는 것은 비슷한 듯.)
  • 원작의 카스가 쿠스노키 공략에서는 강함과 귀여움의 조화를 이야기하며 게임 캐릭터(피카츄로 보인다)를 예로 들었다. 그래서 게임 이야기나 한다고 쿠스노키에게 (양쪽으로) 까였고, 그 다음으로 고양이와 엘시를 예시로 든다. 애니에서는 게임 캐릭터가 빠지고 곧바로 고양이 예시가 나온다. 언제나 현실보다 게임이 먼저인 케이마의 성격을 드러내는 장면인데 삭제된 것. 물론 한 컷뿐인 장면이긴 하지만, 없는 장면도 만들어서 집어넣는 와중에 원작에 있는 성격 묘사를 삭제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6.2 연출력

  • 케이마가 종종 말하는 게임의 법칙 역시 만화에서는 한 컷으로 임팩트 있게 끝난다. 애니에서는 좀 더 길게 설명하는 편이며, 원작에 없는 장면을 추가로 집어넣는다. 그만큼 볼거리가 늘어나지만 한 컷의 임팩트는 약하고 질질 끄는 느낌을 피할 수 없다. 시오리 공략 때의 블랙잭 패러디는 만화에서 짧은 한 컷이었지만, 애니에서는 대사까지 추가하며 40초 가량으로 엄청나게 길어졌다.
  • 게임 규칙대로 행동한다는 부분이 약해졌다. 만화의 케이마는 항상 미소녀 게임에 의존하여 행동하는데, 애니의 케이마는 좀 더 독립적이다. 가령, 아유미에게 고백하기 전, 만화의 케이마는 어느 게임 시나리오대로 진행할지 선택해야 했다. 이때까지 엘시는 케이마가 게임 세계의 인간이란 것 때문에 공략이 성공할지 긴가민가했다. 하지만 애니의 케이마는 게임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장면이 없이 바로 고백한다. 그리고 엘시가 케이마를 게임 세계의 인간으로 보는 면도 그만큼 줄어들었다.
  • 만화에서는 케이마의 공략에 비중을 둔다. 히로인이 속마음을 숨긴 상태에서 케이마가 그것을 분석하고 공략하는 편. 사건을 이끌어가는 인물은 케이마이다. 애니에서는 히로인의 비중이 늘어나서 숨겨진 사정도 여러 가지 나온다. 카논이 3인조 그룹으로 활동하던 때가 나오거나 시오리가 어렸을 적에 과묵했던 시절이 나오는 등. 따라서 케이마 쪽에서 일방적으로 분석한다는 개념이 없어지고, 케이마와 히로인의 비중이 비슷해졌다. 따라서 사건 진행은 케이마와 히로인 양쪽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만화가 케이마의 "탐정"같은 면모를 중시한다면 애니메이션은 "교류"라는 것을 중시하는 셈.

6.3 이야기가 많은 화들

사실 이 세 에피소드의 공통점은 원작 만화에선 한 화나 한 컷으로 빠르게 연출되고 넘어간 부분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제작진들의 특이한 작품 이해나 똘끼(...)를 담아 이야깃거리가 나올 만한 에피소드가 되었다.

  • 1기 7화
애니메이션 라이브의 보정은 굉장히 크다. 이유로는
  • 이벤트의 규모 : 사람이 많고 회장의 크기가 크다. 이를 위해 주연을 잡는 카메라 각, 이 라이브가 무엇을 상징하는지 등을 부여해야 한다. 이벤트 단 한순만 나오고 그것이 중요한 다른 이벤트와 동급이라 할 수 없다.
  • 이벤트의 조건 : 교실 같은 일상 생활이나 캠핑 같은 소소하고 누구나 할 만한 이벤트와 달리 라이브는 특정 존재(가수,밴드부 등)가 특정한 시기에만 할 수 있는 한정이벤트라는 점.
  • 곡의 퀄리티 : 높으면 높을수록 잘팔린다.
이벤트 자체가 어느정도 컸던 만큼 애니메이션에서 꽤 공들인 화였고 그에따라 평가가 좋다 하지만 캐릭터CD에 미친거냐,제작진이 카논빠냐등 4화의 잔재이 가시지 않은터라 이야기거리가 많다.
  • 1기 11화
시오미야 시오리 공략 마지막 날. 9,10화의 멈춰지고(사람에 따라 "늘어지는"이라 비하되는) 연출로 시오리의 말없음과 내면만을 보여주던 화와 다르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엔딩 10초전까지 멈춰지고 느린 진행을 보여주다가 마지막 순간 수많은 책들이 쏟아지고, 올라가고, 날아가는 연출을 보여주면서 앞뒤의 끊음이 좋았다는 평을 받는다. 다만 이 화 역시 9,10화의 오리지날 연출과 앞뒤가 다르다고 까이는 평도 있다.
  • 1기 12화
압도적인 엔딩
망글로브사가 인식한 케이마의 형상은 대충 이런 것이라고 알려주는 화. 원작자마저 "미쳤어…"라는 말을 내뿜게 했다. 그야말로 애니 제작진의 똘끼가 작렬한 부분. 좋고 나쁨은 심하게 갈렸지만 그야 말로 2010년 가장 인상깊은 (마지막화만 한정)엔딩으로 손색없다.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확실한건 신이상, 인간미만이라는 12화의 제목은 탁월하다. 인간 같진 않지만 신보다 더 압도적이다.
  • 여신편 1화
5권 중반부터 12권 중반까지의 히로인 공략을 5분으로 압축했다.이 놈들이?
  • 여신편 12화
잘 만들었다는 평이 다수, 여신편의 클라이맥스를 제대로 장식했으며 원작과는 다른 연출도 보여주며 호평을 받고 있다. 제작사 독자적인 색깔을 제대로 담아냈다. 케이마의 집에서 나오는 장면에서 원작의 덤덤한 치히로의 표정과는 달리 다양한 표정을 보여주어 감정변화를 잘 읽을 수 있도록 연출했다. 팬이라면 한 번 원작의 같은 부분과 비교해서 보는 재미도 있다.

6.4 비난받는 부분

  • 만화의 소라 공략 편은 케이마가 버그 게임을 하는 내용이었다. 덕후 중의 덕후인 케이마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게 주제. 애니에서는 게임을 한다기보다 사실상 '또 하나의 히로인 공략'으로 바뀌었다. 케이마의 덕후스러움을 강조하는 것보다 아스카 소라를 히로인으로 띄워주기 위한 쪽으로 치우쳤다. 아예 소라 전용 엔딩 크레딧을 따로 만들었다. 여기까진 뭐 그러려니 하지만 그걸 캐릭터 CD로 포장해 팔았다. 요 부분 때문에 신나게 까였다.
  • 여신편 1쿨전개, 그런데 "여신편" 자체는 생각보다는 잘뽑혔다는 평이 많다. 여신이 있었던 쿠죠 츠키요,고이도 유이쪽을 별 언급없이 5분으로 때워서 그렇지(...)[3], 사실 여신편이 2년 가까이 연재를 해서 잘 모르지만 작중 시간은 엄청 급박하게 흘러갔다. 오히려 1,2기가 TVA로 봤을때 루즈한 진행으로 지탄받았던 걸 생각하면 이정도면 깔끔하게 끝냈다. 종영 이후엔 차라리 텐리편처럼 츠키요와 유이의 공략편과 히노키, 아카리 공략편까지 OVA로 냈었다면 여신편이 더욱 납득이 가지 않았을까 하는 평이 많다.

7 엔드 카드

차회 예고가 여러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린 엔드 카드를 배경으로 텍스트계 미연시의 화면 구성을 취한 것이 특징. 대사창 부분에는 캐릭터들의 대사가 그대로 글로 적혀 나온다. 이런 것을 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

자세한 사항은 신만이 아는 세계/엔드 카드 항목 참조.

8 여담

2기 5화에 함락신이 하고 있는 게임에 등장하는 히로인이 디플래그타카오 부장을 쏙 빼닮았다. 이름은 부장으로 확인사살까지. #

  1. 지미 헨드릭스의 Bold As Love의 패러디.
  2. ELISA의 세 번째 앨범인 Lasei에는 〈집적회로의 꿈의 여행자〉의 ELISA 보컬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3. 좀 더 보태서 카스가 히노키, 쿠라카와 아카리 공략도 여신편 도입이전에 되게 중요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