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러시아 해군 함선 | ||||||||||||||||||||||||||||||||||||||||||||||||||||||||||||||||||||||||||||||||||||||||||||||||||
잠수함 | 재래식 | 킬로급, 라다급 | ||||||||||||||||||||||||||||||||||||||||||||||||||||||||||||||||||||||||||||||||||||||||||||||||
핵추진 | 슈카B/바스급, 시에라급, 빅터급, 야센급, 오스카급, 아쿨라급, 델타급, 보레이급, (하바로프스크급) | |||||||||||||||||||||||||||||||||||||||||||||||||||||||||||||||||||||||||||||||||||||||||||||||||
경비정 | 쉬멜급, 랩터급, 그라초녹급 | |||||||||||||||||||||||||||||||||||||||||||||||||||||||||||||||||||||||||||||||||||||||||||||||||
초계함 | 나누추카급, 타란툴급, 부얀급, 부얀-M급, 스테레구시급, 그리샤급, 보라급 | |||||||||||||||||||||||||||||||||||||||||||||||||||||||||||||||||||||||||||||||||||||||||||||||||
호위함 | 크리박급,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 |||||||||||||||||||||||||||||||||||||||||||||||||||||||||||||||||||||||||||||||||||||||||||||||||
구축함 | 우달로이I, 우달로이II, 소브레멘니급, (리데르급), (프로젝트 21956급) | |||||||||||||||||||||||||||||||||||||||||||||||||||||||||||||||||||||||||||||||||||||||||||||||||
순양함 | 키로프급, 모스크바급 | |||||||||||||||||||||||||||||||||||||||||||||||||||||||||||||||||||||||||||||||||||||||||||||||||
항공모함 |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슈토름급) | |||||||||||||||||||||||||||||||||||||||||||||||||||||||||||||||||||||||||||||||||||||||||||||||||
상륙정 | 무레나급, 주브르급, 듀공급 | |||||||||||||||||||||||||||||||||||||||||||||||||||||||||||||||||||||||||||||||||||||||||||||||||
상륙함 | 로푸카급, 앨리게이터급, 이반 그렌급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 (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
미국 | 독일 제국 | ||
러시아 제국 | 영국 | ||
2차 세계대전 | |||
미국 | 일본 제국 |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이탈리아 왕국 | ||
폴란드 | 프랑스 | ||
스웨덴 | 핀란드 | ||
중화민국 | 만주국 | ||
냉전 | |||
소련 | 동독 | ||
현대전 | 미국 | 일본 | |
대한민국 | 인도 | ||
중화민국 | 러시아 | ||
영국 | 중국 | ||
프랑스 | 태국 | ||
독일 | 이탈리아 | ||
스페인 | 호주 | ||
북한 |
목차
1 러시아 해군의 신형 호위함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만재배수량 | 4,550톤 |
구소련 붕괴 이후 스트레거쉬급 초계함에 이어 러시아 해군을 위해 설계 건조된 호위함이다.
1.1 건조 배경
소련의 붕괴 이후 신생 러시아 해군은 경제, 정치의 혼란과 거대한 해군 규모로 인한 예산난으로 매우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새로 건조되던 신조함들은 모두 건조가 중단된 체 방치되었고 주력함인 키로프급, 소브레멘니급, 우달로이급등 주력함의 상당수가 유지비와 사고로 인한 수리비를 감당하지 못해 조기 퇴역 및 치장 물자로 전환 되었으며 키예프급 항공모함과 같이 고철로 팔리는 경우도 생겼다.
파일:Q5PRgwL.jpg
전략적으로 중요한 탄도미사일 잠수함과 원자력 잠수함 세력은 쿠르스크 함 침몰사건와 같은 사건이 일어나기도 하고 타이푼급 전략핵잠수함처럼 1척만 남고 다 퇴역하고 그마저도 음향타일을 제대로 붙이지 못하여 소음이 커지는 등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든 유지하였지만 수상함 세력은 점차 노후화되고 숫자도 줄어가고 있었다.
푸틴 집권 이후 경제 회복으로 러시아군은 다시 군의 현대화를 실시하게 되었고 러시아 해군은 건조중단된 채 방치된 함선의 재건조와 퇴역함정들의 복귀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랜기간 방치되던 함선들중 현대화를 통해 재배치할 수 있는 함정은 제한되어 있고 발전된 무장과 스텔스 기술을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현대전에서도 비교적 활약이 가능한 대형 함정에 비해 연안방어에 필요한 호위함 세력은 80년대 중반 노후화된 호위함들을 대체하기 위해 14척을 건조하려던 뉴트라시미급이 3척을 건조하던 중 소련이 붕괴함으로 한척만이 배치된 채로[1] 있었기에 전력면에서 매우 심각한 상태였다.
파일:GgRswb8.jpg
러시아 해군은 대규모의 예산이 들어가는 대형 수상함이 아닌 넓은 해안선을 방어할 수 있는 표준화된 다목적 소형 수상함을 대량 건조하기로 결정하고 2000년부터 시작된 스테레구시급에 이어 2003년 6월부터 개발이 시작된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 사업을 시작했으며 2006년부터 건조가 시작되었다. 현재 알려진 것에 의하면 2010년 10월 29일 진수되었으며 2011년 취역할 예정이다. 초도함은 북양함대에 배치될 예정이며 가격은 4억 2000만에서 5억 달러 정도이다.
1.1.1 건조 및 전력화 지연
파일:FSg9IVa.jpg
우크라이나 사태로 사실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준 전시사태로 들어가 가스터빈 엔진 수출을 중단하면서, 건조가 지연되고 있다.
한편 2010년 말 진수돼 2016년 11월 배치 예정인 1번함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가 2016년 7월 말 신형 Redut VLS의 장거리 SAM 운용능력 관련해서도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사실이 보도됐다. 금방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으로 보아 전력화는 더 지연될 전망. #1
1.2 특징
기존의 러시아의 수상함들은 특정임무에 적합한 무장을 채용함으로 단일 임무만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고 키로프급이나 슬라바급과 같은 일부 대형 수상함만이 다목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러시아 국영 조선그룹 연합 조선 공사가 "더이상 단일 목적의 함정은 불필요한 낭비다."라며 더이상 단일목적함 건조는 없다고 선언[2]한 것과 같이 고르쉬고프급은 수효가 제한된 수상함 세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다목적 임무를 위해 건조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다목적함이란 평화유지계열의 임무를 부여하기 위해 진행 중인 독일의 F125이나 타입26급과 같은 최근의 추세와는 전혀 맥락이 다르다. 각각 대잠임무와 대함/대공 임무에 특화된 우달로이급/소브레멘니급과 같은 단일목적함을 건조하지 않고 개개 함정에서 고강도 대공, 대잠, 대수상 임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은 호위함임에도 4500톤급의 배수량과 강력한 무장으로 무장되었다. 야혼트 초음속 미사일 또는 클럽 16발을 운영하며 위상배열 레이더와 신형 대공 미사일 체계가 장착되어 9M96E, 9M96D 대공 미사일 32기 혹은 9M317를 운용할 수 있으며 CIWS는 최신형인 팔마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선체면에서는 적극적인 스텔스의 적용으로 서구 선진국의 현용전투함과 동일한 수준의 레이더 반사면적을 가질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선체 내부적으로는 장기간의 작전 효율을 위해 거주성에 상당한 신경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속거리는 일반적인 함선에 비해 부족한 편인데 18노트 순항시에 4000nm수준으로 전면부에 무장을 집중하면서 기관부와 연료구획이 축소되면서 제약을 받게된 것으로 보인다.
1.3 평가
구 소련의 울퉁불퉁한 구식 설계에서 벗어나 최신 전투함 건조 트렌드에 걸맞는 저피탐 설계와 4면 고정 위상배열 레이더를 탑재한 세련된 함선이다. 그러면서도 대함미사일 16발의 강력한 타격력을 보유, 구 소련시절부터의 설계 전통을 계승했다. 고르쉬코프급의 건조로 노후화된 구형의 호위함들을 대체할뿐만 아니라 향후 신형 구축함 사업이[3]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까지는 소브레멘니급, 우달로이급과 같은 대형 수상함정의 일부도 대체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4 방공 레이더
파일:E2Ew2ai.jpg
5P-27 Furke-4
고르쉬코프급은 4면 고정배치된 SP-20K Poliment 위상배열레이더 외에도 마스트 꼭대기에 5P-27 3D 대공수색레이더를 별도로 탑재하고 있는데, 신형 이지스 구축함에 탑재되는 AN/SPQ-9B와 유사하게 시스키밍 대함미사일과 같은 저고도 표적에 대한 조기경보를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5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의 건조와 취역[4]
순번 | 이름 | 번호 | 프로젝트 | 조선소 | 건조 시작 | 진수 | 취역 | 모항 | 기타 |
1 | Admiral Flota Sovetskogo Soyuza Gorshkov | 417 | 22350 | 상트페테르부르크 북부조선소 | 2006년 2월 1일 | 2010년 10월 29일 | 2014년 | 북양 함대 | 시험중 |
2 | Admiral Flota Kasatonov | 22350 | 상트페테르부르크 북부조선소 | 2009년 11월 26일 | 2013년 | 2014년 | 북양 함대 | 건조중 | |
3 | Admiral Golovko | 22350 | 상트페테르부르크 북부조선소 | 2012년 2월 1일 | 북양 함대 | 건조중 | |||
4 | Admiral Yumashev | 22350 | 상트페테르부르크 북부조선소 | 2013년 | 북양 함대 | 건조중 | |||
5 | 미정 | 22350 | 주문 | ||||||
6 | 미정 | 22350 | 주문 | ||||||
7 | 미정 | 22350 | 계획 | ||||||
8 | 미정 | 22350 | 계획 | ||||||
9 | 미정 | 22350 | 계획 | ||||||
10 | 미정 | 22350 | 계획 | ||||||
11 | 미정 | 22350 | 계획 | ||||||
12 | 미정 | 22350 | 계획 | ||||||
13 | 미정 | 22350 | 계획 | ||||||
14 | 미정 | 22350 | 계획 | ||||||
15 | 미정 | 22350 | 계획 | ||||||
16 | 미정 | 22350 | 계획 | ||||||
17 | 미정 | 22350 | 계획 | ||||||
18 | 미정 | 22350 | 계획 | ||||||
19 | 미정 | 22350 | 계획 | ||||||
20 | 미정 | 22350 | 계획 |
2 키예프급 항공모함 어드미럴 고르쉬코프
자세한 것은 비크라마디티야함 항목 참조.
3 관련 항목
- ↑ 1번함은 1985년 건조가 시작되어 1991년에 배치되었지만 2번함은 2009년에나 배치되었고 3번함은 아직도 선체만 남아있다.
- ↑ 출처 밀리터리 리뷰.
- ↑ 신형 구축함 사업은 원래 2010년부터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알려진 것은 배수량은 9000톤이며 2011년 6월 30일에 러시아 해군사령관 언급으로는 핵추진함선으로 2016년까지 초도함을 건조할 계획이라고 한다.
- ↑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active_Russian_Navy_ships